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이봉우 ( Bong Woo Lee ),심규철 ( Kew Cheol Shim ),신명경 ( Myeong Kyeorig Shin ),김종희 ( Jong Hee Kim ),최재혁 ( Jae Hyeok Choi ),박은미 ( Eun Mi Park ),윤지현 ( Ji Hyun Yoon ),권용주 ( Yong Ju Kwon ),김용진 ( Yong J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are targeted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EASST).” For the analyses, we extrac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cience education theories in the question items of the EASST of 2008 through 2012, and categorized those theories into science curriculum, history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science, scientific inquily,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there were high proportions of question items related to the following topics: content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method,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process of inquily, Ausubel`s theory, learning cycle model by Lawson, cooperative learning,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tc. While we, as science educators, believed that the other categories such as ``history of science`` provides important topics for pi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s items dealing with those were rarely found in the past EASSTs. As EASST has strong influenc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e research should be pursued on how much and what domain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tes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문항들에서 어떤 과학교육학 이론이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시행된 중등과학교사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관련 문항들은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과학 탐구, 과학 교수학습이론, 과학 교수학습모형, 고학 평가 등의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그 겨로가, 과학 교수학습이론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각 영역 내에서는 ``차시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 ``과학적 방법``과 ``현대과학철학``, ``탐구과정요소``,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로슨의 순환학습``과 ``협동학습``, ``수행평가 준거 개발`` 등에서 많은 내용이 출제되었다. 반면에 과학교육자들 사이에서 ``과학사``와 같이 예비 고학교사에게 중요한 주제로 여겨지지만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는 출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도 많이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익혀야 할 과학교육학 이론의 양과 수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