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본의 방위정책 결정요인 분석

        신경식(Kyong-shik Shin)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5

        이 논문은 전후 일본방위정책에 대한 연구가 군비규모를 놓고 ‘왜소한 반군사문화’, ‘군사대국화’ 또는 ‘군국주의 부활’ 등 양극단의 시각 차를 보이고 있어, 규모의 대소보다 환경변화에 적응해나가는 일본의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고 방위정책의 목표나 성격도 파악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접근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군비증강정책 결정의 핵심변수와 역할변화의 모형을 구성하고, 일본의 ‘방위력정비계획’ 내용을 통해 점검했다. 그 결과 일본의 군비증장에는 대외위기 등 요인보다 ‘미국의 압력’이 가장 강하게 동기부여하고 ‘경제적 제약’이 억제하며, 두 변수의 조합이 형성하는 4 가지 상황에서는 서로 다른 결정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①경제불황 하에서는 미국의 압력이 강해도 경제회복에 최중점을 두고 안보는 미국에 의존하려 한다. ②경제가 더 악화되고 미국의 동기부여도 후퇴하면 기존사업의 취소는 물론 모든 기동훈련도 중지하는 최악의 군비축소를 선택하면서 대미 의존을 대폭 강화한다. ③반대로 경제가 호전되면 미국의 요구가 아니라도 자발적으로 군비를 증강하여 경제적 및 군사적 합리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④경제호황이 지속되는 데다 미국의 강한 압력이 작용하면 갈등은 고조되지만 야심 있는 지도자는 갈등을 조정하고 ‘경제력’과 ‘미국의 요구’를 적절히 정치에 이용하기 위해 ‘최대 조건’의 군비확장도 결정한다. 이런 특징을 냉전종식이후의 정책결정에 적용해보니, 초기의 자주방위노력이 실패하고 경제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일본정부는 군비축소를 결정하고 대미의존을 강화하는 등 기존 최악조건에서의 정책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미국의 압력’과 ‘경제적 제약’ 등 기존의 동기부여와 억제역할이 탈냉전의 시기에도 지속 작용한다는 의미가 된다. Previous studies on Japan’s military buildup stand largely on two categories. They end up with sharply different arguments such as “a minimalist security policy”, “a free-rider” on the one side (the American perspective), but “a military great power”, “the resurgence of Japanese militarism” on the other (those of Japan’s neighbours such as Korea, China). However, they lack a systematic and academic view of inquiry on the multi-dimensional subject of Japanese military affairs. This study is an effort to explain the main factors in Japan’s decision of the military buildup from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For that purpose I have examined the process of managing the “Defense Buildup Plans” during the years of 1958 to 2001. 〈표〉 As a result I have confirmed that American pressures have more powerfully motivated the Japanese government to strengthen the military’s capability than any other factor. On the other hand, the consensus on the economic development first policy among the Japanese people have constrained it. The government would take one of 4 types of decision under the different situations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2 factors as the matrix shows. The end of the Cold War was imagined to be a determinant which might have changed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Japanese government’s decision-making. Nevertheless, Japan finally decided to keep the security relation with America as before. This means that Japan wants to maintain the military buildup in such an existing way as incrementalism under the impacts of “American motivation” and “economic constraint” again, even in the Post-Cold War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