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변국에 대한 이미지가 상호문화태도에 미치는 인과관계 : 한일비교조사를 통한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

        신지원 ( Shin Ji-won ),시오무라기미히로 ( Shiomura Kimihiro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2 日本硏究 Vol.- No.9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에서 “상대국과의 교류의도”, “상대 국민 이미지”, “상대 국가 이미지”, “상호문화 태도”가 국적 및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고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2018년 10월 일본과 한국에서 20대에서 40대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에서 432명, 한국에서 439명이 참가하여 총 871명의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일본에서는 한국에 대한 낮은 관심, 부정적 한국 이미지, 타문화에 대한 낮은 관심이 확인되었다. 한국에서는 남성이, 일본에서는 여성이 상대 국가 문화에 더 많은 관심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상대국과의 교류의도”, “상대 국민 이미지”, “상대 국가 이미지”, “상호문화 태도”의 인과관계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상대국과의 교류의도” → “상대 국민 이미지” → “상대 국가 이미지”→ “상호문화 태도”가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함께 한국과 일본은 변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 일부에 차이가 보였다. 또한, “상호문화 태도”는 자신을 타자와 독립된 존재로 보는 “상호독립적자기관”과 자신을 사회적 관계에 의한 존재로 보는 “상호협조적자기관” 둘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상황과 상대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태도 및 행동을 유연하게 바꿀 수 있는 이중문화역량(bi-culture)이 “상호문화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20대에서 4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다문화 사회를 위한 정책 및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intention to interact with the other country”, “image of the other citizens”, “image of the other country”, and “intercultural attitudes (feelings toward other people and ethnic groups)”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general respondents in their 20s to 40s in Japan(n=432) and Korea(n=439), using respondents (panel) owned by an online survey company. The results showed low interest in Korean cultures among Japanese respondents. Especially, low interest in Korea among Japanese males is particularly striking.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upported the causal relationship from “intention to interact with the other country” via “image of the other citizens” and via “image of the other country” then to the variable “intercultural attitud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relevant variables could be used in order to improve Japan-Korea relations. In future research, it is hoped that we will be able to recommend specific methods for policies and interventions, and provide evidenc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ose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