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

        쉬슈오,임성택,홍송이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 comprised of 200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by gender and grade, but only by the type of paren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raditional families (with biological mother and fath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of their parents' emotional warmth in parenting style than those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cor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and family reg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raditional famil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 single-parent families. When types of parents were controlled, the perceived rejective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family projection process,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gration of self,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predicted only family regression which is a component of self-differenti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presented for Chinese parents,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본 연구는 중국 중학생의 성별, 학년,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를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요녕성 중학생 200명이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활용하여 학년과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부모 형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이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차이는 없었고, 부모 형태에 따른 점수 차이만 나타났다. 양친부모 가정의 중학생은 한부모 가정의 중학생보다 부모의 애정적 양육방식을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자기분화의 경우, 양친부모 가정 중학생들의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 퇴행 영역 점수가 한부모 가정 중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부모 형태를 통제하였을 때 지각된 거부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을 모두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애정적 양육방식은 자아통합과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과보호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 퇴행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학생의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형태와 부모 양육방식 연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 학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

        쉬슈오(Xu, Shuo),임성택(Lim, Sungtaek)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중국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학부모 학습관여가 중국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표집대상은 중국 요녕성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300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중에서 278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녀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 및 학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자녀의 숙달목표는 학업소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관련성을 나타내었으며 자녀의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소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자녀의 수행-접근목표는 학업소진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부모 학습관여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였고, 자녀의 숙달목표지향성이 높아짐에 따라 자녀의 정서적 고갈을 낮추는 방향으로 조절되었다. 그러나 수행목표지향성을 지닌 자녀는 학업소진에 대한 학부모 학습관여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o academic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in those relationships. 278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in Liaoni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o academic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Mastery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burnout. In contrast,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and the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cademic burnout. The parental involvement showed moderating effects in direction to decrease emotional exhaustion when children have higher level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However, parental involvement has no moderating effects in academic burnout when children hav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