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대학 색채교육방향 개선에 관한 연구

        송지성(Ji Sung Song),김지연(Jee You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교육적 측면에서 색채에 대한 이해는 모든 창작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또한 시각, 제품, 패션, 환경,영상 디자인 등 그 분야는 다양하지만 색채는 디자인의 기초요소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색채교육은 색채관련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디자인 기초과정전반이 필요한 디자이너를 희망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교육과정이다. 특히 전문직업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하는 전문대학의 색채교육은 이론적인 이해와 단순한 실습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산업현장과 연계시켜 이해하고, 응용하는 전문성, 현장성, 활용성 있는 실무중심의 색채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컬러리스트의 전문성과 직무 범위, 컬러리스트 자격시험의 교과목 분석으로 시작한다. 또한 색채교육과 컬러리스트 자격제도의 연관성을 도출하였으며, 수도권 전문대학 디자인관련학과(시각, 산업, 패션디자인) 색채교육의 교과목 현황과 교과목 내용 및 범위, 수업형식을 분석하였다. 전문대학 디자인 관련학과의 색채교육은 취업과 디자인 현장에서 실무수행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에서의 색채에 관한 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학습하기에 절대적으로 그 비중이 부족하다. 또한 색채교육의 내용과 형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대학 디자인관련학과의 색채교육개선 방향으로 다음의 내용을 제안 하였다. 디자인 업무에서의 색채에 대한 기초능력과 실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과목 시수 증가, 교육형식 개선,다양하고 세분화된 디자인 전공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차별화, 색채 기본적 지식, 색채 활용 실습, 색채실무기본, 색채실무심화로 교육범위를 재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전문대학 학생들이 색채관련 직무능력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색채교육 시스템을 통하여 취업과 디자인 산업 현장에서 전문성 높은 직무의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From educational perspective, understanding of color is essential in all creative activities. Also, even though the areas may be diverse, such as visual, product, fashion, environmental, or image design, but color is a fundamental element of design. In this sense, color education is an absolutely necessary curriculum, not onl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color-related studies, but for all students who wish to be designers that require the overall basic design curriculum. Especially, the color education in junior colleges, which its educational goal is to train professionals, should not stop at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mere practical education but be practice-oriented, which entails professionalism, realism, and utilization that understand and apply in relation to the design industry sites. For this,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ofessionalism of colorists and their scope of work, and the analysis of curriculum for colorist qualification exam.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education and colorist qualification system was drawn, and the current status, contents, range, and class form of color education curricula in design-related departments (visual, industrial, fashion design) at junior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Although its purpose is to train and foster professionals with practical abilities for employment and design sites, the color education in design-related departments at junior colleges absolutely lacks the importance in terms of learning fundamental abilities about color and practical abilities. Also, the contents and form of color education are not systematically form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i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color education in design-related departments at junior colleges: increase in assigned hours on the subjects, improvement in education form, differentiation in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for different and segmented design majors, and reestablishment of educational range as fundamental knowledge of color, color utilization practice, basic practice of color, intensive practice of color for the improvement in fundamental ability and practical ability on color in design work. Accordingly, through efficient color education system based on color-related practical abilities, junior colleges students are expected to perform more professional role in employment and design industry sites.

      • KCI등재

        컬러리스트 국가기술자격시험 출제경향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송지성(Ji Sung Song),김지연(Jee You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현대사회는 개인의 학력보다는 재능, 능력과 전문성있는 자격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직업의 다양화, 세분화, 전문화 현상에 따라 보다 앞선 경쟁력과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디자인 산업에서도 디자인 전반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컬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전문화되며, 그 결과 디자인 관련 산업현장에서 색채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고 자문할 수 있는 컬러리스트 인력이 확산되고 있다. 컬러리스트 국가기술자격시험은 2002년부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디자인관련 국가기술자격시험 중 가장 활성화되어있다. 그러나 컬러리스트자격은 국가기술자격으로서 전문가의 자질과 역량을 검증해주는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취업과 실무현장에서 활용도가 떨어진다고 평가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컬러리스트의 전문성과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기술자격증의 인식과 기능에 대한 분석으로 출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보다 일찍이 시행한 일본의 컬러코디네이터 국가기술시험의 현황과 구성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컬러리스트는 활동 영역이 광범위하고 타 직종의 전문성과 결부되어 직무범위가 넓고, 부가가치가 높아지므로, 단순한 이론적 지식암기와 반복적 실기연습으로 익힌 내용을 일회성 검정에 의해 자격을 얻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출제경향의 분석결과 개선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현장에서 자격증의 전문성, 적합성, 활용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컬러리스트 국가기술시험제도의 출제는 취업관련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분야의 전문지식 검증내용과 둘째, 전공분야의 기초지식습득과 학점 인정의 학력보완제도의 검증내용으로 구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참고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되도록 함은 물론 컬러리스트 국가기술자격시험제도의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고찰 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individual talents, abilities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 are considered to be more significant that educational background. Further competitiveness and professionalism have also been important due to varied, subdivided and specialized jobs. In case of design industry,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been emphasized and specialized to improve added value of design. As a result, the number of colorists who deal with general color business and are able to give an advice at design industry has increase. Coloris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has been conduc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sin 2002 and is the most activated test among national qualification test related to design. Even though colorist qualification is verified a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with professional``s talents and abilities, it seems that the certification is not utilized to get a job or to work at practical field. Thu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colorists`` professionalism and current state and analyze awareness and functions of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ion. It also discovers the current state and contents of color coordinator national technical test in Japan that started earlier than one in Korea through comparison analysis. As colorists work in various fields of activity and is connected with professionalism of other fields with high values, current way to test simply memorized theory and repetitive practice has its limit. Thus, improvement plans after analysis of the test question trends are follows: first, the tes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related to job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to improve professionalism, suit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certificate. Second, the test should consist of basic knowledge about the major and earing credits to implement academic ability. It is expected to offer useful information to students and be utilized and direc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colorist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test is revealed.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적용한 중소기업의 브랜드 개선 연구

        임지선(Jee Sun Leem),송지성(Ji Sung S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국내외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환경 개선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서비스디자인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대부분의 서비스디자인 연구는 공공부문과 대기업중심 프로젝트 영역에 국한되어있다. 그러나 국내 산업의 대부분이 중소기업 분야라는 점을 감안하면,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고객경험 분석을 통한 브랜드 개선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고객경험을 세밀하게 다룬 디자인 연구가 부족했다. 반면, 해외에서는 오랜시간에 걸쳐 서비스디자인 분야에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여러가지 방법적 도구를 개발하고, 발전시켜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의 브랜드개선 프로젝트에 서비스디자인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를 기획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문헌자료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의미를 고찰하고 다음으로 서비스디자인과 경험의 관계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실제 프로젝트들에 적용하여 서비스디자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브랜드관련 이슈들을 단계별로 면밀히 조사할 수 있었으며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는 서비스디자인이 맥락중심으로 서비스를 분석하여 이해를 돕고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중소기업의 사례의 경우, 매출상승이라는 효과와 더불어 긍정적인 고객의 반응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례연구와 같이, 별도의 광고비를 지출할 수 없는 중소기업국내외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환경 개선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서비스디자인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대부분의 서비스디자인 연구는 공공부문과 대기업중심 프로젝트 영역에 국한되어있다. 그러나 국내 산업의 대부분이 중소기업 분야라는 점을 감안하면,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고객경험 분석을 통한 브랜드 개선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고객경험을 세밀하게 다룬 디자인 연구가 부족했다. 반면, 해외에서는 오랜시간에 걸쳐 서비스디자인 분야에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여러가지 방법적 도구를 개발하고, 발전시켜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의 브랜드개선 프로젝트에 서비스디자인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를 기획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문헌자료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의미를 고찰하고 다음으로 서비스디자인과 경험의 관계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실제 프로젝트들에 적용하여 서비스디자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브랜드관련 이슈들을 단계별로 면밀히 조사할 수 있었으며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이는 서비스디자인이 맥락중심으로 서비스를 분석하여 이해를 돕고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중소기업의 사례의 경우, 매출상승이라는 효과와 더불어 긍정적인 고객의 반응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례연구와 같이, 별도의 광고비를 지출할 수 없는 중소기업서비스의 경우,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하여 꼭 필요한 판매촉진 아이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고객경험을 만드는 것이 브랜드의 신뢰를 형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는 결론도 얻을 수 있다. With increasing needs of improvement on service environment, there has been high interest in service design field all around the world. A great number of service design researches are restricted only to public service or business service of large company. However, considering that major part of korean industries are consis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rand using service design with the analysis of customer experience in small and medium business. There has been a lack of in-depth researches on customer experience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overseas, researches on customer experience have developed a variety of methodical tools and been foster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this study plans for the empirical research to investigate various possibilities of using service design for brand design improve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ith this reason,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First, the research examines fundamental concept of service desig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the next part explains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design and customer experience. Last, this research applies the service design method to several case studies to find the positive effects. We find that service design methods helps to scrutinize several issues of brand and to gain clues to them. This is due to the character of service design that it analyzes the service in its context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provides the practical methods to solve problems. In the case of small and middle businesses applied with service design in this study, we find the increase in their sales and the positive response of customers. In addition, we conclude that for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like the case study which cannot afford to spend specially on advertising, prioritizing the essential items for sales promotions with the service design and making customers experience with these items are the effective ways to build the trust of brand.

      • KCI등재후보

        형태 분석법과 AHP 분석에 따른 경극 가면 디자인 활용 방안

        왕카이팅(Kai-Ting Wang),송지성(Jee-Sung So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6 No.-

        중국 전통문화 경극에서 경극 가면은 직관적인 예술적 상징이며 독특한 국가적 특징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 전통문화 콘텐츠가 '전통'에서 문화와 창의성의 결합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전통문화 기호를 대중처럼 전달하는 과정에서 '영감'이라는 표현 외에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디자인 기법이 결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전통적인 서유기 손오공의 경극 가면 문화를 연구 대상으로 전통문화의 예술적 형식과 전승 가치를 결합하여 형태분석의 관점에서 경극 요소들의 의미와 형식을 분해하고 재구성하며, 다시 계층화 분석법의 관점에서 정성적·정량적 기초 위에서 원형의 특징을 파악하여 새로운 방안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전통적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 결론은 사회적 경제의 발전과 함께 전통문화의 혁신적인 디자인이 중국 전통문화의 새로운 유행이 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서유기에서 경극 가면의 디자인에 관한 실용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전통문화의 응용에서 형태 분석법 및 계층화 분석법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Peking Opera, Peking Opera masks are relatively intuitive artistic symbols and contain unique nation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hat in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from “tradition” to the combination of culture and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raditional cultural symbols to the public, in addition to the expression of “inspir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mbin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sig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takes the traditional Peking Opera mask culture of Journey to the West Monkey King as the research object, combines the artistic form and inheritanc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decomposes and reconstructs the meaning and form of Peking Opera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ical analysis, and then analyzes the hierarchy of method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asi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d on the premise of mast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ype, the reconstruction of the new scheme is carried out to create a new traditional image. The conclusion found tha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the innovative design of traditional culture has become a new trend in Chinese traditional culture. Focusing on the practical research on the design of Peking Opera masks in Journey to the West,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morphological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verified, and a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 has been provided for the design of cultural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