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31주 산모의 복부 자상으로 인해 발생한 태아 두부 손상

        송은송 ( Eun Song Song ),김수영 ( Soo Young Kim ),최영륜 ( Young Youn Choi ),김윤하 ( Yoon Ha Kim ),태복 ( Tae Bok Song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3

        Penetrating trauma in a fetus is uncommon but may cause potentially life-threatening injuries. We experienced a case of preterm infant who delivered by C-section and showed two deep laceration wounds on face, facial nerve palsy, skull fracture and intracranial hemorrhage due to penetrating injury of an abdominal stab wound in a 31 weeks pregnant woman.

      • KCI등재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출생한 미숙아에서 HELLP 증후군 동반 여부에 따른 주산기 예후

        김미정 ( Mi Jeong Kim ),김수영 ( Soo Yeong Kim ),송은송 ( Eun Song Song ),최영륜 ( Young Youn Choi ),김윤하 ( Yoon Ha Kim ),태복 ( Tae Bok Song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1

        목적: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3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HELLP 증후군 동반여부에 따라 임상양상과 사망률, 이환율 및 예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분만실로 입원한 5,373명의 산모 중, 1996년에 발표된 미국 산부인과 학회의 정의에 따라 중증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된 302명의 산모(단태 임신 270명, 쌍태임신 32명)와 이들의 태아 334명(단태아 270명, 쌍태아 64명), 생존출생 미숙아 314명(단태아 262명, 쌍태아 5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의 HELLP 증후군 동반여부에 따라 두 군 즉, HELLP 증후군을 동반한 산모 84명(단태임신 70명, 쌍태임신 14명)과 태아 98명(단태아 70명, 쌍태아 28명) 및 생존 미숙아 86명(27.4%, 단태아 68명, 쌍태아 18명)을 연구군으로, HELLP 증후군이 동반하지 않았던 산모 218명(단태임신 200명, 쌍태임신 18명)과 태아 236명(단태아 200명, 쌍태아 36명) 및 생존 미숙아 228명(72.6%, 단태아 194명, 쌍태아 34명)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임상양상, 산모와 태아 사망, 신생아 이환 및 사망을 비교하였다. 두 군간 임상양상과 이환 및 사망은 Student`s t test, x2 검증, Fisher`s exact test 및 Logistic regression test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중증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된 302명의 산모 중 84명, 27.8%가 HELLP 증후군이었다. 생존 출생미숙아 314명 중 연구군 86명과 대조군 228명의 재태주령은 각각 32.4±9.6주, 33.1±7.2주(P=0.443), 출생체중은 1,481±644 g, 1,505±903 g (P=0.201)으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고 남녀 차이도 없었다. 태아 사망은 각각 12명(12.2%), 8명(3.4%) (P=0.006), 주산기 사망은 18명(18.4%), 21명(8.9%) (P=0.020)으로 HELLP 증후군 산모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출생 후 신생아사망은 각각 6명(7.0%), 13명(5.7%) (P=0.065)로 차이가 없었다. 두 군간에 자궁내발육지연, 호흡곤란증후군, 뇌실 내출혈, 괴사성장염, 패혈증 및 주산기 가사의 발생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인공호흡기 기간(12.2±14.5 vs. 7.6±9.9일, P=0.019)과 총 입원 기간(일) (25.6±12.3 vs. 13.0±10.5일, P=0.013)이 HELLP 증후군 산모아에서 길었다. 결론: 중증 임신성 고혈압 산모는 대부분 조산을 일으키고, 특히 HELLP 증후군이 동반된 산모에서 태어난 미숙아에서 HELLP 증후군이 동반되지 않은 산모에서 태어난 미숙아에 비해 태아 사망과 주산기 사망이 높았고 인공호흡기 기간 및 총 입원기간이 길었다. 따라서 이들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산전관리와 출생 후 장기간의 신생아 집중치료가 필요하므로, 산부인과와 신생아 전문의 간의 효율적인 협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inatal outcome of preterm infants born to sever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moth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HELLP syndrom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in 314 premature live infants born to 302 severe PIH mothers who admitt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2 to May 2008. Maternal and neonatal characteristics and their outcome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program using Student`s t test, x2 analysis, Fisher`s exact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est. Results: Among 302 severe PIH mothers (single pregnancy 270, twin pregnancy 32), 84 (27.8%) were associated with HELLP syndrome. Among their 334 fetuses (singleton 270, twins 64), total 20 (6.0%) resulted in fetal death and the rate of fetal death was higher in HELLP syndrom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2.2% vs. 3.4%, P=0.006). Among the 314 live premature infants, 86 (27.4%) were born to severe PIH with HELLP syndrome (study group) and 228 (72.6%) were born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ternal and neonatal characteristics, maternal death, neonatal morbidity and neonatal death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12.2±14.5 vs. 7.6±9.9 days, P=0.019) and hospitalization (25.6±12.3 vs. 13.0±10.5 days, P=0.013) were longer in the study group. Conclusion: Most of severe PIH mothers complicated by preterm birth, and especially combined with HELLP syndrome showed higher fetal and perinatal death than without HELLP syndrome. Moreover, their live-born premature infants needed longer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hospitaliz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reful fetal monitoring and delivery with the co-operations of obstetricians and neonatologists is essential to improve the perinatal outcome.

      • KCI등재

        임상 ; 자궁내 태아사망의 모성 및 출생전후기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태복 ( Tae Bok Song ),김윤하 ( Yoon Ha Kim ),김종운 ( Jong Woon Kim ),조혜연 ( Hye Yeon Cho ),김은경 ( Eun Kyoung Kim ),조아라 ( Ah Ra Cho ),김현정 ( Hyun Jung Kim ),송은송 ( Eun Song Song ),최영륜 ( Young Yu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3

        목적: 자궁내 태아사망률은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전체 주산기 사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아직도 자궁내 태아사망의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의 위험인자들을 조사하여 향후 산전관리에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자궁내 태아사망의 발생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5년 동안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임산부에서 단태아이면서 임신 28주 이상인 경우 중 자궁내 태아사망이 있었던 경우(연구군)와 없었던 경우(대조군)에 대하여 임상기록을 토대로 발생빈도를 알아보고, 임신부와 태아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시행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인자들을 교차비, Student t 검사,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조사하고 또한 찾아낸 태아사망 위험 인자들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를 산출하였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임신 28주 이상 총 분만 3,637예 중 단태분만은 3,298예이었고 이중 자궁내 태아사망은 53예로 발생빈도는 1.6%이었다. 태아사망군의 임신부 연령분포는 25-29세에 20예(37.7%)로 가장 많았고, 임신28-32주가 22예(41.5%)로 가장 많았으며, 미산부가 23예(43.4%)이었다. 자궁내 태아사망은 20세 미만 전체의 5.3%에서, 40세 이상 전체의 3.0%에서 발생하여 20세 미만과 40세 이상 연령군에서 다른 연령군의 1.3-1.8%보다 더 많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태아사망 위험 인자로는 분만직전 체중이 적은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작은 경우, 모체 키가 작은 경우, 그리고 태반조기박리이었다. 이 인자들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한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로는 태반조기박리(β=-0.067, P=0.000)와 임신 중 작은 체중증가(β=0.002, P=0.000) 이었다. 결론: 임신 28주 이상 단태임신에서 자궁내 태아사망의 위험인자는 분만직전 체중이 적은 경우, 임신 중 체중증가가 작은 경우, 모체 키가 작은 경우, 그리고 태반조기박리 등이었으며 이 중 기여도가 높은 위험인자는 태반조기박리와 임신 중 작은 체중증가이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intrauterine fetal death (IUFD). Methods: We carried out a case control retrospective study,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We included all pregnant women diagnosed as singleton IUFD in pregnancies of 28 weeks of gestation or more, admitted to the hospital from Jan 2003 to Dec 2007. There were 53 cases of singleton IUFD and 3,298 cases of singleton live birth during that period. The incidence, age distribution, and prevalent gestational weeks were analysed. The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using odds ratio, Student`s t test, and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independent risk factors.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IUFD was 1.6%. The age distribution of mother with IUFD was highest in the age group of 20 year old or less (5.3%). IUFD was the most prevalent at 28-32 weeks of gestation (41.5%).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maternal body weight just before delivery,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β=0.002, P=0.000) and abruptio placentae (β=-0.067, P=0.000). Conclusion: Lower maternal body weight just before delivery, lower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abruptio placentae ar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UF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complex etiology of stillbirth.

      • KCI등재

        체외 수정술로 태어난 쌍생아에서 발생한 Russell-Silver 증후군 3예

        조화진 ( Hwa Jin Cho ),김수영 ( Eun Song Song ),송은송 ( Yoon Ha Kim ),김윤하 ( Tae Bok Song ),태복 ( Young Youn Choi ),최영륜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3

        In vitro fertilization (IVF) is a main option for the infertility treatment and its major concerns are the risk of multiple pregnancy, preterm delivery,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UGR), and congenital malformation. Russell-Silver syndrome (RS) is a congeni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intrauterine and postnatal growth retardation associated with inverted triangular face, clinodactyly, and asymmetry of the body. The possibility of genomic imprinting defect has been suggested because the risk of RS syndrome is increased after IVF like other imprinting defect disorders such as Angelman or Beckwith-Wiedemann syndrome, and the major epigenetic disturbance of RS syndrome is the hypomethylation of the imprinting in 1 lp15. We report three cases of RS syndrome in one of IVF twin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