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공학계열 전공변경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충남 소재 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송윤심,강혜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2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s who changed their majors from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engineering, deepen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 situation, and explore challenges posed when changing their major and how to cope with them as well. Thus, a total of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to achieve the study goal. First, what did the undergraduat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xperience ‘before changing their major’ to the engineering? Second, what did they experience ‘when working on to change their major’ to the engineering? Third, what did they experience ‘after changing the major’ to the engineering? For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four research subjects who attended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changed their major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the engineering were analyz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it turned out that main theme before changing their major was “to reconstruct career and lay the foundation stone again for the major.” As they compromised with reality and chose their major indecisively, they came to experience discrepancy between the major and career but started to clarify why they changed to the engineering through in-depth self-exploration and make final decision. Second, the main theme when working on to change their major was “to have a new self-directed foothold to change the major.” They had difficulties when working on to change their major to the engineering as they’re unprepared. But they established the self-directed foothold in terms of relationship, study, and environment to successfully change their major. Third, the main theme was after changing the major was “to move forward expanding the self-concep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cademic adjustment, building relationships and lack of information afterwards but tried to convert them with positive belief, while focusing on their reconstructed career goal and getting over with changes they had to undergo courageously. Lastly, this study came up with implication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계열에서 공학계열로 전공변경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전공을 변경하게 된 개인적 특성 및 맥락적 상황을 이해하고 전환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대처전략들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은 공학계열로의 ‘전공변경 이전’에 어떤 경험들을 하는가? 둘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은 공학계열로의 ‘전공변경 실행’에서 어떤 경험들을 하는가? 셋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은 공학계열로의 ‘전공변경 이후’에 어떤 경험들을 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의도적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충남 소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중 인문․사회계열에서 공학계열로 전과한 총 4명의 연구 참여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변경 이전의 핵심주제는 “진로재구성 및 전공 주춧돌 다시 세우기”로 나타났다. 현실과 타협한 막연한 전공 선택으로 현 전공에서의 전공-진로 불일치를 경험하였으나 심층적인 자기탐색을 통해 공학계열 전공으로의 변경 이유를 명확히 밝히고 최종 결정을 하였다. 둘째, 전공변경 실행에서 핵심주제는 “전공변경을 향한 자기주도적 성장발판 마련하기”로 나타났다. 공학계열로의 전공변경 실행 과정에서 준비 부족의 어려움이 경험되었으나 관계적․학업적․환경적 측면에서 자기주도적인 기반 구축을 통해 성공적인 전공변경을 이루어냈다. 셋째, 전공변경 실행 이후의 핵심주제는 “자기개념 확장으로 전진하기”로 나타났다. 전공변경 실행 이후에도 이들은 학업적응, 관계형성, 정보 부재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나 긍정신념으로 전환하고 재구성한 진로목표에 집중함으로써 전공변경 실행 이후에 경험되는 변화를 용기있게 극복해 나아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선호직업에 대한 직업이미지 분석

        강혜영,이지은,송윤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seven preferred job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jobs were researched by Lim et al. (2012).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reasons that students prefer these jobs. In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are defined: first, what are the overall impressions that students have of these seven jobs, and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ir job perception by items? The 488 students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attend four different middle schools in the cities of Seoul, Daejeon and Daegu.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developed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through the advice of exper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se measuring instruments were assessed by both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average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by the data analysi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nd the one-way ANOVA was applie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students have a positive impression of these seven jobs, which is demonstrated by scoring, on average, over 4.30 on the seven-point Likert scale. “Doctor” (M=5.31, SD=1.04) had the most positive impressions, and “athlete” (M=4.33, SD=0.75) had less positive impre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the differences between job impressions are revealed, and the reasons for these preferences can be described from the differences indirectly. In most cases, students’ impressions of jobs were realistic except some cases. In this respect, the investigation presents important conclusion, namely,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impression of jobs are essential for the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임언 외(2012) 연구에서 조사된 중학생의 선호직업 7개에 대해 중학생들이 가지는 직업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특정 직업에 대한 선호이유를 이해해보고 얼마나 현실과 일치되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상담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중학생이 선호하는 7개 직업에 대한 전체적인 직업이미지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이 선호하는 7개 직업에 대한 이미지 요소(문항)별 직업이미지는 어떠한가? 이다. 예비연구와 본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4개 중학교 재학생 488명이었다. 이미지 측정도구는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연구진이 개발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 1에 대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연구문제 2에 대해서는 각 문항별 일원 배치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선호하는 7개 직업에 대한 전체적인 직업 이미지를 살펴본 결과, 7개 모든 직업은 7점 척도에서 평균 4.30이상의 점수를 얻어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가운데 특히, ‘의사’가 가장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으며(M=5.31, SD=1.04), ‘운동선수’가 가장 덜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M=4.33, SD=0.75). 둘째, 중학생이 선호하는 7개 직업에 대해 20개의 이미지 요소(문항)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이미지 요소별로 특정 직업에 대해 각기 다른 이미지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정 직업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미지들은 특정 직업의 현실과 부합하는 것도 있었지만 부합하지 않은 것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진로교육과 상담과정에서 학생들이 갖고 있는 직업에 대한 이미지를 이해하고 직업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적절한 정보제공이 중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