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동부 연안 I-95, I-85회랑지대의 지식 기반 서비스업 고용 변화에 대한 연구

        송예나 ( Ye Na Song ),웨리엄앤더슨 ( William P. Anderson ),티알락쉬만 ( T. R. Lakshmanan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미국 동부 지역의 두 고속도로 회랑지대, I-95와 I-85 일대의 지식 기반 서비스업의 고용변화를 확장된 shiftshare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지식 기반 서비스업으로 선정된 산업은 금융, 보험, 비즈니스 서비스와 의료 산업이며 1977년부터 1990년, 1990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대도시 지역이 연구 대상이다. 1977년부터 1990년 사이에는 생산량과 노동 생산성 측면에서 두 지역 모두 주변 지역 및 국가 전체 평균보다 월등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1990년에서 2005년 사이에는 산업별 차 이가 있었지만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성장 속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거나 동일한 회랑지대에 위치한 대도시들도 유사한 고용 변화 패턴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Aiming to reveal the employment evolution around interstate highway corridors, an extended shift-share analysis is conducted for metropolitan areas in two interstate highway corridors on the U.S. east coast: I-95 and I-85. Our focus is on knowledge service sectors, specifically finance, insurance, business services and health services for two time periods, 1977-1990 and 1990-2005. In the first period, the two corridors` metropolitan areas have outperformed their regions in terms of both output and labor productivity. But this picture turned negative in later period with some variation by industries. Also variation in performance over time was found even in metropolitan areas in the same corridor or in geographically adjacent areas.

      • KCI등재

        서울 대도시권 하루 시간대별 지하철 통행흐름 패턴과 토지이용과의 관계

        이금숙 ( Keum Sook Lee ),송예나 ( Ye Na Song ),박종수 ( Jong Soo Park ),( Wiliam P. Aderson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1

        요약: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도시권에서 도시 내 통행흐름의 사-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서울대도시권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기록을 담고 있는 교통카드 데아터베이스에서 지하철 이용자의 하루 동안의 탑승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통행흐름의 유형과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각 지하철역별 아침, 낮, 저녁 시간대별 승하차 여객 수를 산출하고 그의 공간적 분포를 GIS를 이용하여 시각화 하였다. 이러한 각 역의 시간대별 승객의 타고 내리는 승객흐름을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법을 이용하여 서울대도시권 지하철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353개 역들을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승객 흐름의 유형별 군집에 따라 지하철 역 인접 지역의 토지이용을 나타내는 지역변수들과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교통계획은 물론 도시계획의 다양한 단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space characteristics of intra-urban passenger flows in the Metropolitan Seoul area.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it rider-ship and land use through the use of the subway passenger flow data obtained from the transit transaction databases. For this purpose, the strength of each subway station, i.e., the number of total in-coming and out-going passengers at each station, in the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is calculated and visualized, which reflects urban land use patterns. Then the subway station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via a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passenger flows at 353 stations. Each group appears to have characteristic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egion, e.g., residential areas and central business districts. This has been confirmed by the analysis which probes explici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socio-economic variables and station groups. This analysis, disclos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ubway network and urban land use may be useful at various stages in urban as well as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rovides analytical tools for a wide spectrum of applications ranging from impact evaluation to decision-making and planning support.

      • KCI등재

        복합용도개발과 교통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김경민 ( Kyung Min Kim ),이금숙 ( Keum Sook Lee ),송예나 ( Ye Na So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토지이용이 조밀하면서도 지역 간 주택가격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우리나라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복합용도개발현황과 TOD 상황을 보여주는 접근 성을 고려한 뉴어버니즘의 주요 개념들이 실제 주택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모든 도시민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토지이용을 거주지, 일자리, 쇼핑시설로 보고 지역에 이들의 토지이용이 혼합되어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용도혼합지표를 개발하였다. 특히 동 단위를 근린지역의 범위로 보고, 동별 토지이용의 혼합정도를 측정 하는 용도혼합지표를 수도권지역 읍면동 단위의 인구수, 오피스 고용자 수, 상업 고용자수를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적용 하였다. 또한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교통요인으로 지하철 접근성과 도로교통 접근성을 산출하고, 서울시 동별 복합용 도개발지수와 지하철과 도로교통 접근성 변수와 더불어 주택수요, 지역성장율 등 사회경제변수들로 구성된 주택가격모형을 통하여 이들이 해당 동별 아파트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용도개발과 교통이 주택가격 에 영향을 준다는 뉴어바니즘의 개념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mixed-use development and transportation on housing values in Seoul, Korea. An index measuring the land use mix is proposed using three components of land uses, residence, office, and retail, which are the essential elements for everyday urban life. This index offers a relatively easy way in measuring the level of mixed-use and proves itself useful providing sensible and reliable results in this empirical study. Also surface and underground transportation accessibilities are measured. By covering both surface and underground, a comprehensive view of Seoul`s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s provided. Finally, housing value models are constructed with developed variables, i.e. land use mix index and accessibility measures, as well as relevant socio-economic variables. The empirical outcomes verifies that mixed-use development and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positively affect housing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