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이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실재감을 중심으로

        송고은(Song, Ko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1학기 동안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전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과 학업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실재감의 구조적 역할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 H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에 한 학기동안 참여한 재학생을 학년별로 1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3.0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상관분석, 이중매개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 인지실재감과 학업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과 학업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인지실재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높아지고, 인지실재감도 높아져, 학업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비대면 학습이 장기화되어질 경우, 학생들의 학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도록 수업 내외에서 교수자들의 노력과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습이 고도화될 수 있도록 대학차원에서의 준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ole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ognitive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full online classes in the context of untact learning environment during the semester caused by COVID-19.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00 students, 100 students per grade, who participated in untact lectures at H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For data analysis, basic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double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3.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s, cognitive presense, and academic satisfaction. Second, in an untact learning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ognitive presence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y, the higher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e higher the cognitive realism, and the higher the academic satisfaction. Conclusions If untact learning is prolonged, an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students academic satisfaction, and instructors’ efforts inside and outside classess are needed to increas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lso, preparations at the university level should be prepared so that student’s practical learning should be advanced.

      • KCI등재

        탈북청년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의 이중매개효과

        김재환 ( Jaehwan Kim ),박한나 ( Hannah Park ),가요한 ( Yohan Ka ),송고은 ( Koeun Song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탈북청년을 대상으로 불안정성인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과 대인 관계능력이 이중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35세 탈북청년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정서지능, 대인 관계능력,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12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1.0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효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 정서지능, 대인관계 능력, 심리적 안녕감 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안정 성인애착은 정서지능, 대인관계 능력,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지능, 대인관계 능력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탈북청년의 불안정 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지능과 대인관계 능력 수준이 낮음으로 인해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탈북청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서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을 고려해야 함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have a serial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youth defectors aged between 19-35 years were surveyed for adult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data of 122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r analysis,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secure adult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secure adult attach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nsecure adult attachment serially media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t means that the higher level of insecure attachment of youth defectors, the low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ich could negative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th defectors by consideri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lso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