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분식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BDOC<sub>rapid</sub>와 BDOC<sub>slow</sub> 결정

        손희종,노재순,강임석,Son, Hee-Jong,Roh, Jae-Soon,Kang, Lim-Seok 한국물환경학회 200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0 No.4

        In this study, biodegradable organic matter was divided into a rapidly biodegradable fraction($BDOC_{rapid}$) and a slowly biodegradable fraction($BDOC_{slow}$) for various waters with different types of DOC. These fractions($BDOC_{rapid}$ and $BDOC_{slow}$) were defined by using a shaking incubation method modified from Carlson's method. Also, in this study, optimum incubation time and accuracy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BDOC_{rapid}$ and $BDOC_{slow}$. When suspended bacteria obtained from raw water and BAC effluent, or attached bacteria from BAC was respectively used as an inoculum, the difference in total BDOC($BDOC_{total}$) was minimal. Therefore, total BDOC was determined in 7~8 days by the shaking method, which is comparable with Servais's method by which BDOC was determined in 28 days.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BDOC between these two methods was within 7%. Although $BDOC_{rapid}$ and $BDOC_{slow}$ were effectively determined by a method defined by Klevens, the difference in optimal incubation time was significant for different water samples. However, when using the shaking method, optimal incubation time for $BDOC_{rapid}$ was found to be 3 days, therefore, the $BDOC_{rapid}$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DOC_0$ and $DOC_{3days}$, and $BDOC_{slow}$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BDOC_{total}$ and $BDOC_{rapid}$. As a conclusion, for determining the fraction of BDOC using the shaking method, the concentrations of an inoculurns and optimal incubation times used in this study were very effective.

      • KCI등재

        낙동강 하류지역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군집 변화

        손희종(Hee Jong Son)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4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낙동강 하류 물금지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의 군집비율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a 농도)은 점진적인 감소 추세였던 반면, 우점종의 개체수는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 종별로 우점종의 연도별 개체수 비율변화에서 규조류는 감소 추세를 보인 반면, 남조류는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점기간의 경우 매년 우점기간의 75% 이상을 규조류가 차지하였다. 연중 식물플랑크톤 비율변화에서 규조류는 11월에서 5월까지 매우 높은 우점비율을 보였고, 6월부터 9월까지도 우점일수의 56%~74%를 차지하여 연중 규조류가 300일 정도 우점하였다. 남조류는 6월부터 9월까지 개체수 및 우점기간의 68%~94% 및 26%~36%를 차지하였으며, 녹조류는 4월부터 9월까지 낮은 우점률을 나타내었다. 규조류와 남조류 우점종들의 연중 천이패턴은 규조류의 경우 12월~5월은 Stephanodiscus spp., 5월~10월은 Aulacoseira spp.와 Fragilaria spp.가 대부분 우점하였으며, 남조류의 경우 5월~11월에 Microcystis spp.가 대부분을 우점하였다. 또한, 녹조류는 4월~9월에 Actinastrum spp., Pediastrum spp., Micractinium spp. 및 Pandorina spp.가 우점하였다. The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from 2002 to 2012 was investigated.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concent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but dominant species cell number was gradually decreased. In changes of percentage of dominant species cell number from 2002 to 2012, Diatoms was gradually decreased, but blue-green algae was gradually increased. In changes of annual percentage of dominant period, Diatoms showed high percentage from November to May, and dominant period (%) of diatoms was 56%~74% from June to September, also dominant period of diatoms was about 300 days every year. Percentage of dominant species cell number and dominant period of blue-green algae was 68%~94% and 26%~ 36% from June to September, respectively. And green-algae showed low percentage from April to September. In the transition patterns of diatoms and blue-green algae, Stephanodiscus spp. was the highest dominant species, from December to May, and Aulacoseira spp. and Fragilaria spp. were showed high dominant percentage from May to October. In the case of blue-green algae, Microcystis spp. was the highest dominant species, from May to November, also in the case of green algae, Actinastrum spp., Pediastrum spp., Micractinium spp. and Pandorina spp. were dominant species from April to September.

      • KCI등재

        낙동강 수계에서의 과불화 화합물(PFCs) 검출 특성

        손희종(Hee Jong Son),황영도(Young Do Hwang),염훈식(Hoon Sik Yoo),최진택(Jin Taek Choi),권기원(Ki Won Kwon)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2

        낙동강 수계에서의 과불화 화합물(PFCs)들의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PFOS, PFHpA, PFOA, PFNA, PFDA, PFUnDA 및 PFDoDA와 같은 7종의 PFCs가 본류 및 지류에서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에서 검출된 PFCs의 구성비율을 조사한 결과, 중류 부근에서는 PFOA와 PFHpA가 5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류로 갈수록 PFUnDA, PFDoDA 및 PFOS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낙동강 본류에서 가장 높은 검출농도를 나타낸 지점은 고령지점(고령교)으로 2월과 8월에 각각 259.5ng/L와 132.6ng/L가 검출되었고, 지류에서는 진천천 지점으로 2월에 1168.2ng/L와 8월에 627.8ng/L의 검출농도를 나타내었다. PFCs는 낙동강 상류부근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중류부근인 구미 지점부터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영향을 받아서 농도가 증가하였고, 금호강과 진천천(hot spot)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고령지점에서 최대농도를 나타낸 후 하류로 갈수록 희석효과에 의해 농도가 점점 감소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confirm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in Nakdong River basin (mainstream and its tributaries). 7 (PFOS, PFHpA, PFOA, PFNA, PFDA, PFUnDA and PFDoDA) out of 11 PFCs were detected in 29 sampling sites and PFOA and PFHpA were predominant compounds in upstream, but PFUnDA, PFDoDA and PFOS were predominant compounds in middle stream of Nakdong River basin. The total concentration levels of PFCs on February 2009 and on August 2009 in surface water samples ranged from 4.3. to 1168.2ng/L and 16.4 to 627.8ng/L,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 level of PFCs in the mainstream and tributaries in Nakdong River were Goryeong and Jincheon-cheon, respectively. The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long the river affect the PFCs levels in river and the PFCs levels decreased with downstream because of dilution effects.

      • KCI등재

        연속 컬럼흡착 실험을 이용한 GAC 공정에서의 과불화 화합물(PFCs) 흡착 특성 평가

        손희종(Hee Jong Son),유수전(Soo Jeon Yoo),장성호(Seung Ho Jang)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3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에서의 PFCs 11종의 파과 순서는 PFODA가 가장 빨리 파과에 도달하였고, 다음으로 PFHDA, PFTeDA, PFTDA, PFDoDA, PFUnDA, PFDA, PFNA, PFOA, PFOS, PFHpA 순으로 나타났으며, PFCs의 사슬(chain) 길이가 길어질수록 빨리 파과에 도달하였다. 최대 흡착량(X/M)의 경우는 PFODA가 2.43 ?g/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FHpA가 64.50?g/g으로 가장 높은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었고, PFOA와 PFOS의 경우는 각각 55.37 ?g/g 및 60.72 ?g/g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탄 사용률(CUR)의 경우는 PFODA가 0.291 g/day로 나타나 PFHpA의 0.026 g/day 보다 11.2배 정도 높은 활성탄 사용률을 나타내었다. 석탄계 GAC 신탄을 이용한 입상활성탄 흡착공정에서 11종의 PFCs에 대해 최대 흡착량(X/M)과 분자량(사슬 길이)과의 상관성을 평가해 본 결과, r2가 0.89로 나타나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accessed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11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on coal-based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The breakthrough appeared first for PFODA and sequentially for PFHDA, PFTeDA, PFTDA, PFDoDA, PFUnDA, PFDA, PFNA, PFOA, PFOS, and PFHpA.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X/M) for the 11 PFCs with apparent breakthrough points ranged from 2.43 ?g/g (for PFODA) to 64.5 ?g/g (for PFHpA). Carbon usage rate (CUR) for PFODA was 0.291 g/day, 11.2 times higher than that for PFHpA (0.026 g/day). The X/M values for the 11 PFCs were fitted well with a linear regression (r2 = 0.89) by their molecular weight (chain length).

      • KCI등재

        완속 모래여과 공정에서의 Geosmin 제거 특성

        손희종(Hee Jong Son),염훈식(Hoon Sik Yoom),장성호(Seong Ho Jang)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8

        완속 모래여과 컬럼의 생물막(schmutzdecke)은 운전 시작 30일 정도에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체량과 활성도는 각각 4.5×10(6) CFU/g과 3.42 mg·C/m3·hr로 나타났다. 정상상태에 도달한 생물 여과층의 박테리아 종 분포는 Pseudomonas sp.가 차지하는 비율이 56%였으며 그 중에서 Pseudomonas fluorescens가 전체비율의 22%를 차지하였다. 운전 시작 30일 후의 용존 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DOC)와 geosmin의 제거율은 각각 27%와 95%로 나타나 최대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DOC와 geosmin의 제거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수온 변화에 따른 DOC와 eosmin의 제거율 변화에서 유입수의 수온이 5℃일 경우 geosmin과 DOC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62%와 10%로 나타났으나 수온을 15℃와 25℃로 증가시켰을 경우에는 geosmin과 DOC의 평균 제거율이 각각 88%와 25% 및 100%와 42%로 나타났다. 수온 변화에 따른 완속 모래여과 컬럼의 상부 생물막 층에서의 geosmin과 DOC에 대한 생물분해 속도상수(k)는 1.842~15.965 hr-1와 0.253~1.123 hr-1 이였고, 상부의 생물막 층이 그 하부 보다 DOC와 geosmin에 대한 생물분해 속도상수가 각각 18~32배 및 20~51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Geosmin removal by biodegradation was investigated in lab-scale slow sand filtration column with different empty bed contact times (EBCTs) and water temperature. Schmutzdecke layer was built up after 30 days operation and biomass and activity were 4.5×10(6) CFU/g and 3.42 mg·C/m3·hr, respectively. The attached bio-film microorganisms in schmutzdecke layer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dominant species was Pseudomonas sp. that had occupied 56%. Removal efficiencie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geosmin were 27% and 95% after 30 days operation. In lab-scale slow sand filtration column, geosmin and DOC removal efficiencies were 62% and 10% at 5℃, respectively. And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15℃ and 25℃) increased the geosmin and DOC removal efficiencies (88~100% and 25~42%) in lab-scale slow sand filtration column. Geosmin and DOC biodegradation rates (k) in the schmutzdecke layer (in the upper 5 cm filter bed) were 1.842~15.965 hr-1 and 0.253~1.123 hr-1, respectively. It were about 18~32 times and 20~51 times of the rates in the deeper filter bed (5~60 cm).

      • KCI등재
      • KCI등재

        정수처리에서 염소 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손희종(Hee Jong Son),염훈식(Hoon Sik Yoom),김경아(Kyung A Kim),송미정(Mi Jeong Song),최진택(Jin Taek Choi)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8

        본 연구에서는 염소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iodo-trihalomethanes, I-THMs)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염소를 소독제로 사용하여 염소 투입농도, 수온, pH, 브롬이온과 요오드이온 농도, 염소 접촉시간,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및 용존 유기물질의 특성 변화에 따른 I-THMs 6종에 대한 생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중의 요오드이온과 브롬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에 따른 I-THMs 생성에서는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 상승에 비례하여 I-THMs 생성농도도 증가하다가 염소 투입농도 3 mg/L 및 수온 30℃ 이상의 조건에서는 오히려 I-THMs 생성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시료수의 pH가 상승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수중의 NH₄ +-N 농도가 증가할 수록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클로라민에 의해 I-THMs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휴믹산 조제수, 조류유래 유기물질 함유수 및 4개의 낙동강 시료수(고령, 매리, 하구 및 진천천)와 같은 7개의 시료수의 유기물질과 I-THMs와의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가 I-THMs와의 반응성(12.31 μg/mg)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휴믹산 시료수 (4.96 μg/mg)로 나타났고, 조류유래 유기물질이 가장 낮은 결과(0.99 μg/mg)를 나타내었다. 또한, SUVA₂54값과 I-THMs 반응 성과의 상관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상관계수(r2)가 0.002로 매우 낮게 나타나 SUVA₂54값과 I-THMs 생성과는 연관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Effects of bromide (Br-) and iodide (I-) concentrations, chlorine (Cl₂) doses, pH, temperature,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s, reaction times and water characteristics on formation of iodinated trihalomethanes (I-THMs) during oxidation of iodide containing water with chlorin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yields of I-THMs increased with the high bromide and iodide level during chlorination. The elevated p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yields of I-THMs during chlorination. The formation of I-THMs was higher at 20℃ than 4℃, 10℃ and 30℃. In chloramination study, addition of ammonium chloride (NH₄Cl) markedly increased the formation of I-THMs. Among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water sources includ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effluent water (EfOM water), prepared humic containing water (HA water) and algal organic matter (AOM) containing water (AOM water), EfOM water generated the highest yields of I-THMs (12.31 μg/mg DOC), followed by HA water (4.96 μg/mg DOC), while AOM water produced the lowest yields of I-THMs (0.99 μg/mg DOC). SUVA₂54 values of EfOM water , HA water and AOM water were 1.38 L/mg·m, 4.96 L/mg·m and 0.97 L/mg·m, respectively. The I-THMs yields had a low correlation with SUVA₂54 values (r2 = 0.002).

      • KCI등재

        상수원에서의 잔류 의약물질 검출, 거동, 분포 현황 및 독성

        손희종(Hee Jong Son),장성호(Seong Ho Jang)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6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수환경에서의 잔류 의약물질들의 오염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잔류 의약물질들은 다양한 종류와 그들이 가지는 물리·화학적인 특성들로 인해 수환경에서의 거동, 오염현황, 영향 및 독성 등도 매우 다양하여 수환경 및 수처리 공정에서의 거동을 예측·평가하기가 어렵다. 선진 외국의 경우 환경 중에서의 오염 현황 및 사용량을 정량화하기 위한 조사를 이미 시작하였고, 잔류 의약물질들의 인체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뿐만 아니라 상수나 하수처리 공정에서의 제거기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잔류 의약물질들에 대해 전국 주요하천과 상수원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우선 국내의 경우는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전국 주요 하천과 호소에 대해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오염현황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잔류 의약물질들이 비교적 고농도로 검출되는 상수원에 대해서는 주오염원에 대한 조사도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의약물질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하수처리 시설에 대한 부하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수환경에서의 유해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하수처리 공법의 도입이 절실하며, 상수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도 잔류 의약물질들의 수환경중에서의 물리·화학적 거동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요구된다. Residual pharmaceutical compounds have been recognized as emerging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are widely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These compounds cause bioaccumulation and biomagnification during present for a long time in the environment: thereby after adversely biota and human bodies. It is difficult to remove residual pharmaceutical compounds using conventional water/wastewater treatment because of resistant property to photodegradation, biodegradation and chemical decomposition. Moreover, domestic literature data on the pollution of residual pharmaceutical compounds in rivers and lakes are limited. In this paper, species, sources, fate and risk of residual pharmaceutical compounds as well as behavior properties in freshwater resources are demonstrated to encourage the domestic concern about residual pharmaceutical compounds. An extensive review of existing data in the form of figures and tables, encompassing many therapeutic classes are presented.

      • KCI등재

        활성탄 재질 및 사용연수에 따른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흡착특성

        손희종(Hee Jong Son),정종문(Jong Moon Jung),황영도(Young Do Hwang),노재순(Jae Soon Roh),유평종(Pyung Jong Yu) 大韓環境工學會 200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0 No.9

        입상활성탄 재질별 신탄 및 사용탄에서의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4종에 대한 파과특성의 경우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늦게 파과에 도달하였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목탄계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물질별 활성탄에서의 파과특성을 살펴보면 tetracycline(TC)의 파과시점이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oxytetracycline(OTC), chlortetracycline(CTC), minocycline(MNC)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g당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4종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야자계와 목탄계 순으로 나타났다.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4종에 대한 석탄계 활성탄의 최대 흡착량(X/M)은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에 비해 각각 1.27∼1.36배 및 1.69∼1.84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활성탄 사용율(carbon usage rate, CUR)은 tetracycline의 경우 석탄계 재질의 활성탄이 2.96 g/일, 야자계나 목탄계 활성탄은 각각 3.40 g/day 및 4.53 g/day의 활성탄을 사용하여야만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어 석탄계 활성탄이 다른 재질의 활성탄들에 비해 적은 양으로도 tetracycline계 항생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3종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석탄계 활성탄 신탄과 사용탄에 대한 CUR을 비교해보면 tetracycline의 경우 신탄을 사용하였을 경우 보다 1.3년 사용탄 및 3.1년 사용탄을 사용하였을 경우가 CUR이 1.96배 및 2.5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sorption performance of tetracycline antibiotic compounds such as tetracycline(TC), oxytetracycline(OTC), chlortetracycline(CTC) and minocycline(MNC) on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w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coal-based activated carbon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carbons in adsorp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 compounds. The wood-based activated carbon was less effective than coconut- and coal-based carbon in adsorption nevertheless having larger pore volume and specific surface area than others carbons.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X/M)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 for the four tetracycline species was 1.27∼1.36 and 1.69∼1.84 times larger than coconut- and wood-based activated carbon, respectively. Carbon usage rates(CUR) of coal-, coconut- and wood-based activated carbons for tetracycline(TC) were 2.96 g/day, 3.40 g/day and 4.53 g/day, respectivel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dsorption of the rest three tetracycline species. It is concluded that coal-based activated carbon could removed the tetracycline antibiotic compounds better than other material-based activated carbons.

      • KCI등재

        낙동강 수계에서의 Perchlorate 검출 및 활성탄 공정에 의한 제거특성

        손희종(Hee Jong Son),정철우(Chul Woo Jung)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4

        2006년 6월부터 12월까지 낙동강 본류 및 주요 지천들에서의 perchlorate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2006년 6월에 구미 하류인 왜관에서 82.1 μg/L가 검출되었으며, 고령에서 34.1 μg/L, 대암 18.3 μg/L, 적포 12.6 μg/L, 남지 13.6 μg/L 및 부산시 상수 취수원인 물금에서 7.6 μg/L가 검출되었다. 이런 결과는 구미와 왜관 사이에 perchlorate 오염원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하류로 갈수록 perchlorate 검출농도가 낮아졌다. 또한, 2006년 7월부터 12월까지 채수한 낙동강 본류 및 지천 시료에서는 perchlorate가 전혀 검출되지 않아 2006년 6월에 일시적으로 perchlorate가 구미와 왜관 사이의 본류에서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공정에서의 perchlorate 제거 특성을 조사한 결과, 3.1년 사용탄에서는 활성탄 재질별로 거의 흡착능이 없었으며, 석탄계 및 야자계 재질의 활성탄 신탄에서는 운전초기에는 흡착 제거되어지나, 목탄계 활성탄에서는 신탄에서도 제거능이 낮았으며, 석탄계 신탄은 BV 2,300 정도에서 파과에 도달하였고, 야자계와 목탄계 신탄의 파과시점은 BV 719와 288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탄 g당 perchlorate에 대한 최대 흡착량(X/M)은 석탄계 활성탄이 768.2 μ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야자계 299 μg/g, 목탄계 99.2 μg/g로 나타났다. CUR의 경우 석탄계 활성탄은 0.71 g/일,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은 2.16 g/일과 3.45 g/일로 나타났다. 석탄계, 야자계 및 목탄계 활성탄의 k값은 각각 307.2, 102.5 및 94.2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perchlorate contamination in Nakdong river. The perchlorate was detected in Nakdong river and ranged from ND to 82.1 μg/L.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Wheguan. The perchlorat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with the down stream of Nakdong river. Three different virgin activated carbons made of each coal(Calgon), coconut(Samchully) and wood(Picabiol) based activated carbon(AC) were tested for an adsorption performance of perchlorate in a continuous adsorption column. Breakthrough behavior was investigated that the breakthrough points of coal, coconut and wood based AC as 2,300 bed volumn(BV), 719 BV and 288 BV respectively. Adsorption capacity(X/M) of coal, coconut and wood based AC was observe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dsorption capacity showed that coal based AC was highest(768.2 μg/g) coconut based AC was intermediate(299 μg/g) and wood based AC was lowest(99.2 μg/g). Moreover, carbon usage rates(CURs) for coal, coconut and wood based AC had been shown as 0.71 g/day, 2.16 g/day and 3.45 g/day respectively. The constant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k of coal, coconut and wood based ACs were found to be 307.2, 102.5 and 94.2,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