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머리뼈 얼굴편평도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고기석(KOH K1 Seok),손현준(SHON Hyun Jun),정락희(CHUNG Rak Hee),강호석(KANG Ho Suc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0 No.1

        간추림 한국인 머리뼈에서 얼굴정중면에 위치하는 몇 개 점의 상대적 돌출정도를 확인하는 얼굴편평도를 계측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얼굴뼈의 몇가지 채질인류학적 계측점에서 영굴의 정중면을 잇는 너비와 투영거리 풍 12 항목을 계측하여 계측지를 얻고 이 계측지률 이용하여 6개의 지수 계산을 통하여 얻었다. 얻어진 지수는 현재까지 한국인에 대하여 발표되었던 다른 자료들과 비교하였으며 이웃하는 민족의 영굴연명도와 비교하였다 Frontal index 는 한국인에서 비교적 낮으며 simottc index 는 아시아계 민족 중에서는 높은 연이였으며 zygomaxIllary index 논 중간 정도의 편평도를 보였다. 군정용석을 한 결과 한국인은 북중국인과 가장 가깝고 영본인과도 비교적 가깝게 나타났으나 옹 골인, 에스키모인 빛 시베리아의 여러 민족들의 얼굴현명도와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눈확사이너비에 관련한 몇가지 얼굴편평도 지수를 비교하여 다른 인종, 특히 미국의 백인과 한국인은 쉽게 구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옛 한국인과 현대 한국인의 얼굴편평도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고기석(Ki Seok Koh),손현준(Hyun Jun Shon),이은경(Eun Kyung Rhee),박선주(Sun Joo Park),김희진(Hee Jin Kim),한승호(Seung Ho Han),정락희(Rak Hee Chung)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2 No.2

        한국인 머리뼈에서 얼굴정중면에 위치하는 몇 개의 정의 상대적 돌출정도를 확인하는 얼굴편평도를 계측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현대 한국인,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한국인, 철기시대 한국인, 후기신석기시대 한국인의 얼굴뼈에서 몇 가지 체질인류학적 계측정과 얼굴정중면 사이의 너비와 투영거리 등 6 항목을 계측하여 계측치를 얻고 이 계측치를 이용하여 이마뼈지수, 코뼈지수 및 광대위턱뼈지수의 3 개의 지수를 계산하여 이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얼굴편평도에 관련된 지수를 지금까지 발표되었던 한국인에 대한 자료들과 비교하였으며 이웃하는 민족의 얼굴편평도와 비교하였다. 얼굴편평도에 관련된 모든 지수는 현대 한국인과 고려시대 및 조선 시대의 한국인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광대위턱뼈지수는 현대 한국인과 옛 한국인, 특히 청기시대나 후기 신석기 시대의 한국인과 차이를 보였으며 이 차이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옛 한국인과 현대 한국인 사이의 광대뼈너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대 한국인과 고려 및 조선시대 한국인의 경우 이웃하는 민족들에 비하여 이마뼈지수는 비교적 작고 코뼈지수는 큰 경향을 보였다 한편 광대위턱뼈지수는 중간 정도였다. 군정분석을 시행한 결과 헌대 한국인, 고려 및 조선시대의 한국인은 북중국, 현대 일본인 등과 거리가 가깝게 나타났으나 옛 한국인은 시베리아 계통의 민족들과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인 안와형태에 대한 재평가

        고기석(KOH Ki Seok),황영일(HWANG Young Il),손현준(SHON Hyun Jun),한승호(HAN Seung Ho),백두진(PAIK Doo Jin),김희진(KIM Hee Jin),최병영(CHOI Byoung Young),이혜연(LEE Hye Yeon),정민석(CHUNG Min Su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8 No.2

        한국인에서 안와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마른 두개골 187예에서 안와너비 안와높이 안와깊이 안와사이너비 양쪽안와사이너비 얼굴 위 너비를 계측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안와에 관련된 지수를 구하고 앞서 보고된 다른 자료들과 비교하였다. 한국인 안와는 안와너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뿐만 아니라 오른쪽이 왼쪽보다 더 넓은 양쪽 안와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안와높이는 왼쪽이 오른쪽에 비해 유사하거나 높아 한국인 안와는 왼쪽은 비교적 높은 안와형 오른쪽은 낮은 안와형을 띠는 경향을 보였다. 안와깊이는 오른쪽 안와에서 약간 깊게 나타났으나 안와깊이지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와사이너비는 dacryon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성별에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얼굴위너비나 양쪽안와사이너비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계측을 통해 한국인 안와의 비대칭성을 확인하였고 앞으로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계측을 위해서는 양쪽을 모두 계측하여 비교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