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합 구근 분말 첨가가 반죽 물성 및 제빵 가공적성에 미치는 영향

        정용면(Yong-Myeon Joung),이경석(Kyung-Seok Lee),황성연(Seong-Yun Hwang),손만자(Man-Ja Son),이기영(Ki-Yo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소맥분에 백합 구근분말을 첨가한 물리적 특성은 백합 구근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farinogram에서 탄력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점탄성, 흡수율, 흡수 시간 및 안정도는 3%이상 첨가 시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apid viscoanalyzer(RVA)에서 유지 강도, 최종점도, breakdown, setback 값, alveogram의 Pmax값과 falling number 값은 감소하였다. 소맥분에 백합 구근의 첨가량과 입도 차에 의한 호화도 특성에서 초기 호화온도는 일반 분쇄 및 미분쇄 (10 ㎛) 백합 구근분말의 종류와 양에 관계없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Rheofermentometer로 측정한 gaseous release 는 전체 CO₂ 가스 발생량과 보유량이 감소하였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백합 구근분말의 입도와 첨가 비율에 따른 식빵의 가공적성에서 식감, 향미, 맛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촉감과 크럼 색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빵의 가공 적성에서 일반 분쇄 3%와 초미분쇄 3% 첨가군이 양호하였으나,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대조구 다음으로 미분쇄 백합 구근분말 3% 첨가군에서 우수하였다. 이미 백합 구근의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은 검증 되어져 발표되어 있는 만큼 제빵 가공에서 조직감의 문제를 보완하고 개선한다면 건강 기능성 제빵으로 상품화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dded with lily's root powder, elasticity in farinograms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added lily's root powder increased. However, viscoelasticity, absorptivity, absorption time, and stability tended to decrease after an initial increase when a certain ratio of lily's root powder was added to the wheat flour. Results from the rapid viscosity analyzer (RVA) indicated that the retention strength, final viscosity, break down, set back value, Pmax value of the alveogram, and falling number value decreased. As for gaseous release, measured with a rheofermentometer, the total amount of CO₂ gas generated and retained tended to decrease. As for the gelatinizing properties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granularity and the amount of lily's root powder (bulbs) added to wheat flour, the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 had no effect regardless of the type or amount of general grinding and minute (ultra-fine, 10 μm) lily's root powder. Meanwhile, the peak viscosity and peak viscosity time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5% general grinding lily's root powder additiv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5% minute lily's root powder additive groups. This is likely because the activity of the enzyme in wheat flour decreased relatively and differences in the lily's root powder granularity resulted in a variation in water absorptivity. In the preference test, flavor retention of the functional bread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anularity of lily's root powder and the ratio of added lily's root powder, thus resulting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uth feel and flavor; the texture and crumb color, however,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