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新羅 文武王代의 洛山 觀音信仰

        소은애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논총 Vol.30 No.-

        This thesis examines on the Avalokitesvara-faith at Naksan, and searches relation with another Buddhism-faith in the same period. At first in india, The Avalokitesvara-faith shows character of blessing good fortune. Because of starting off with development of Mahayanist Buddhism, which assimilates endemic god. The Avalokitesvara-faith was introduced from China in later Hu-Han(後漢) period. That formed Avalokitesvara-residence faith(眞身常住信仰) of Botasan(普陀山) in center of bless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The early stage of The Avalokitesvara-faith introduced into Unified Silla shows blessing good fortune which is based on Samanta-mukha-parivarta(普門品) of Saddharma Pundarika Sutra(法華經). The Avalokitesvara-faith which was popular in Naksan region placed in East sea during 文武王 period, was showed especially. After returning of Uisang(義湘) from China, Naksan-temple(洛山寺) was build by Uisang for the first time. Real residence of The Avalokitesvara is based on Gandavy-uha-sutra(入法界品) of Buddhavata-msaka-nama-mahavaipulye-sutre(『華嚴經』) preached Buddhism there, and Naksan-temple was a center temple forming The Avalokitesvara-faith which stressed personality of practical ascetic exercise. The Avalokitesvara-faith showed in Bakwhadoryang-Balwonmoon(「白花道場發願文」), which was written in Avalokitesvara-cave of Naksan's by Uisang, was a wish that people want to be born in paradise of real world. Mainly practicing contemplating one's true character. The Avalokitesvara-faith was appeared with connecting with the land of happyness-faith(淨土信仰). When Wonhyo(元曉) come to Naksan's after Uisang, His seeing Avalokitesvara's remained appearance of the earth god strongly. All Several appearance remind appearance of the earth god as Avalokitesvara's being changed appearance, for example cutting down the rice plants, woman of washing Wolsubaek(月水帛) and bluebird on a pine and so on. thus basis, being able to combine Avalokitesvara-faith with the earth god, can see in Bumbon(梵本)'s Gwaneumkyoung of Samanta-mukha-parivarta of Saddharma Pundarika Sutra. Avalokitesvara-faith among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established Bakwhadoryang-faith(白花道場信仰) and spreading of Buddhist -world thought. In addition to it influence on Odesan-faith(五臺山 信仰) to be able to say as completion of Buddhist-world thought. It consider to defense of the fatherland(護國) in Naksan's Avalokitesvara-faith through the point of reading Suvarnaprabhasa-sutre(『金光明經』) and Inwang-sutra(『仁王經』) that consist of Hokuksambukyoung(護國三部經) at Dongdae Kwaneumbang(東臺 觀音房). And It also is considered to the same point that tried to enlarge to increase in popul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Naksan's Avalokitesvara-faith had tried to unite Usik(唯識) and Esoteric Buddhism(密敎), even to include Avalokitesvara-faith of former Silla period. that is coincided in MoonMu King's will which had tried to achieve unification between denominations as well as ideologies with Naksan's Avalokitesvara-faith. We are able to consider not only relation with constructing unification rule system in MoonMu King period with Naksan's Avalokitesvara-faith. And but also meaning to be showed Bakwha-paradise that was showed real paradise in this world to war-stricken people. 이 글은 신라 문무왕대 형성되었던 낙산 관음신앙의 성립배경과 내용을 살핀 후, 當代 다른 불교신앙과의 관계에 대해 밝힌 글이다. 처음 인도에서 관음신앙은 토착적인 신들을 흡수한 大乘佛敎 흥기시 발흥하였기에 현세구복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後漢代 이후 중국에 전래된 관음신앙은 현실구복적 성격을 중심으로 唐代에는 普陀山의 眞身常住信仰을 이루었다. 신라에 전래된 관음신앙의 초기 모습은 『法華經』 普門品에 근거하여 現世求福的인 성격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문무왕대 동해안에 위치한 낙산지역에서 유행했던 관음신앙은 특수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낙산사는 義湘이 귀국 후에 처음 세운 사찰로서 80권 『華嚴經』 入法界品에 근거하여 관음의 眞身이 그곳에서 常住 說法하며, 실천수행적 성격이 강조된 관음신앙을 형성한 중심사찰이었다. 또 의상이 낙산의 관음굴에서 지은 「白花道場發願文」에서 보이는 관음신앙은 자신의 본성을 관조하려는 수행을 주로 하면서 현실정토인 백화도량에 現身往生하려는 것으로 淨土信仰과 연관되어 나타났다. 한편 의상의 뒤를 이어 찾아온 元曉가 만났던 관음에게서는 地母神的인 모습이 강하게 나타났다. 벼를 베는 여인과 月水帛을 빨래하던 여인, 그리고 소나무 위의 靑鳥는 모두 관음의 변신으로서 지모신의 생육적인 모습을 연상시켰다. 이처럼 관음신앙과 지모신 신앙이 융합될 수 있었던 근거는 梵本 『觀音經』과 『법화경』 보문품에서 볼 수 있었다. 신라의 菩薩住處信仰 중에서도 낙산 관음신앙은 백화도량신앙을 확립함으로써 佛國土思想을 확산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나아가 불국토사상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五臺山 信仰에도 영향을 미쳤다. 東臺 觀音房에서 護國三部經을 이루는 『金光明經』과 『仁王經』을 읽었다는 것에서는 낙산 관음신앙의 護國的인 성격도 볼 수 있었다. 통일전쟁기 지모신 신앙을 수용하여 인구증가와 농업생산력 증대를 모색했던 점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었다. 낙산 관음신앙은 華嚴을 중심으로 唯識과 密敎를 통합하려고 했으며, 이전의 신라 관음신앙까지도 그 안에 포함하고자 했다. 이는 낙산 관음신앙을 통해 불교 종파간의 통합과 사상면에서의 통일까지 이루려 했던 문무왕의 의지와 부합하는 것이었다. 낙산 관음신앙은 문무왕대 통일지배체제를 구축하는 것과도 관련되었지만, 당시 전쟁으로 피폐해진 일반 백성들에게 현신왕생이 가능한 현실정토인 백화정토를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의 실제 : 여수시립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은애(So, Eun-ae) 북악사학회 2021 북악사론 Vol.13 No.-

        문화체육관광부의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제 통과는 박물관 건립의 첫 관문이자 난관이다. 2019년 적정평가를 받은 여수시립박물관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사전평가제에 대한 준비사항을 알려 주고자 하였다. 공립박물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에서는 박물관 입지조건, 건립계획 등의 법률적・정책적・기술적 타당성 평가와 더불어 전시계획, 소장품 및 학예인력 확보방안, 건립 이후 운영계획 등을 심사한다. 여수시립박물관은 문체부의 사전협의를 통해 심사를 위한 필요사항을 준비하였다. 신청서에는 설립의 목적과 필요성, 설립계획과 운영계획, 운영조직 및 인력 구성계획, 건립부지와 시설계획, 자료의 목록과 수집계획을 작성하고, 자체점검 사전평가표에 따라 증빙자료를 첨부하였다. 서면평가 이후 현장실사 전까지 추진인력 보완 및 전시유물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고, 건립 추진상황 발표자료 및 예상 질의・답변자료 등도 준비하였다. 현장실사는 PT보고 후 수장고 및 유물 확인, 건립부지 답사순으로 이루어졌다. 최종심사는 심사위원의 검토의견에 대한 보완계획을 PT로 발표하는 것이었다. 여수시립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본 사전평가는 박물관 건립에 대한 신청기관의 구체적인 준비정도를 심의하는 것이었다. 박물관 건립 추진계획과 일정, 건립부지, 전시구성과 내용, 전시유물목록 및 확보상황, 박물관 조직구성 및 운영계획, 지자체의 의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Passing the feasibility evaluation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museum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the first gateway and difficul ty in establishing a museum. Through a detail ed exampl e of the Yeosu City Museum, which passed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museum in 2019, I intended to inform those preparing for it of its preparations. In the pre-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public museum, legal, policy, and technical feasibility assessment of the location conditions of the museum, construction plans, etc., as well as exhibition plans, measures to secure the collection and curator, and operation plans after the establishment, etc. are reviewed. The Yeosu Municipal Museum prepared the necessary matters for screening through prior consultation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application prepar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establishment, establishment plan and operation plan, operation organization and manpower composition plan, construction site and facility plan, list and data collection plan, and attached evidential data in accordance with the self-inspection pre-evaluation table. After the written evaluation, efforts were made to supplement manpower and secure exhibition rel ics before t he on-site i nspection, and data on the announcement of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and the expected questions and answers were prepared. The on-site inspectio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checking storage and relics and exploring the site of construction after the PT report. The f inal review was to announce a supplementary pl an for the review opinions of the judges through the PT. The pre-evaluation of the Yeosu City Museum was to deliberate on the details of the organization s prepa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Thorough preparation is needed because the plan and schedul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the site of the construction,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exhibition, the list and the status of the exhibition relic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plan of the museum, and the will of the local governments ar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