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소양강 ( Yangkang So ),황지영 ( Ji Young Hwang ),김현우 ( Hyun Woo Kim ),조하늘 ( Ha Neul Jo ),이태범 ( Tae-bum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3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각 추출물이 피부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많았다. HPLC를 이용한 19종 페놀성 화합물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CCE)에서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PFE)에서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가 검출되었다. 피부보습에 관련된 HAS1, HAS2, HAS3 및 AQP3와 피부장벽에 관련된 filaggrin, loricrin 발현은 PFE보다 CCE에서 높았다. 또한, CCE, PFE 모두 피부보습과 표피분화 조절에 관여하는 PPAR-α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CE의 주요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PPAR-α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장벽보호 효과에 있어서 CCE가 PFE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Cymbopogon citratus (CC) and Perilla frutescens (PF) are known to exert various biological effects. However, their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remain unclear.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their extracts on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and analysed the phenolic compounds.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skin hydration in HaCaT cells showed that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cells treated with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treated with water extracts for both CC and PF. HPLC was used to analyse 19 phenolic compounds in CC and PF ethanol extracts (CCE and PFE). Results revealed chlorogenic acid and p-coumaric acid in CCE and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in PFE. Expression levels of hyaluronan synthase 1 (HAS1), HAS2, HAS3, and aquaporin 3 (AQP3), which are related to skin moisturization, and filaggrin and loricrin, which are related to skin barrier were higher in cells treated with CCE than with PFE. CCE and PFE also increased expression of PPAR-a protein involved in skin moisturization and epidermal differenti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s major components of CCE, chlorogenic acid and p-coumaric acid increased PPAR-a protein expression. Thus, CCE and PFE could be used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for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 SCOPUSKCI등재

        방사선 돌연변이 블랙베리 추출물의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CCl₄) 투여에 의한 흰쥐의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조병옥(Byoung Ok Cho),이창욱(Chang-Wook Lee),소양강(Yangkang So),진창현(Chang-Hyun Jin),육홍선(Hong-Sun Yook),변명우(Myung-Woo Byun),정용욱(Yong-Wook Jeong),박종천(Jong Chun Park),정일윤(Il-Y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에서는 흰쥐 SD rats에서 CCl4로 유도된 간 손상에 미치는 방사선 돌연변이 블랙베리 γ-B201 추출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γ-B201 추출물을 경구 투여 시 SD rats에 CCl4 처리로 인해 증가된 혈청 AST, ALT 농도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지질과산화 대사산물인 MDA의 농도를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조직염색 관찰 결과 손상된 간 조직을 γ-B201 추출물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et assay를 통해 DNA 손상정도를 분석한 결과, CCl4로 인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을 γ-B201 추출물의 경구 투여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CCl4 처리로 인해 감소된 SOD, CAT, GPx, GR의 항산화 효소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방사선 돌연변이 γ-B201 추출물은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CCl4에 의해 손상된 SD rat의 간 조직을 보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방사선 돌연변이 γ-B201은 간 손상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anthocyanin-enriched extract from radiation-induced blackberry (Rubus fruticosus L.) mutant (γ-B201)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CCl4)-induced liver injury in Spargue-Dawley (SD) rats. The in vivo results show that γ-B201 attenuated the levels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iver lipid peroxidation in CCl4-treated SD rat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rat livers showed that γ-B201 reduced the incidence of liver lesions induced by CCl4. Moreover, γ-B201 prevented DNA damage in CCl4-treated SD rats. Furthermore, administration of γ-B201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in CCl4-treated rat liver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γ-B201 blackberry extract protects the liver from CCl4-induced hepatic damage through an antioxidant mechanism. Therefore, γ-B201 blackberry may be functional food material for human health.

      • SCOPUSKCI등재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HepG2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품종 방사선 돌연변이 블랙베리 γ-B201의 세포 보호 효과

        조병옥(Byoung Ok Cho),이창욱(Chang-Wook Lee),소양강(Yangkang So),진창현(Chang-Hyun Jin),육홍선(Hong-Sun Yook),변명우(Myung-Woo Byun),정용욱(Yong-Wook Jeong),박종천(Jong Chun Park),정일윤(Il-Yun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세포에서 H₂O₂로 인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사선 돌연변이 블랙베리 γ-B201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γ-B201 추출물 처리 시 H₂O₂로 처리된 HepG2 세포에서 ROS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LDH의 방출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omet assay를 통해 DNA 손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H₂O₂로 인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은 γ-B201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또한, HepG2 세포에 H₂O₂ 처리에 의해 저하된 항산화 효소인 SOD와 CAT의 활성을 γ-B201 추출물에 의해 증가시킴으로써 H₂O₂로 인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HepG2 간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γ-B201 추출물이 간 손상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nthocyanin-enriched extract of radiation-induced blackberry (Rubus fruticosus L.) mutant (γ-B201) as well as the protective effect of γ-B201 against oxidative stress in vitro. The cytotoxicit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capacity, and DNA damage were assessed by WST-1 assay, flow cytometry, and comet assay, respectively. Lactate dehydrogenase,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using a commercial kit. The in vitro results showed that γ-B201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reduc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and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capacity in hydrogen peroxide (H₂O₂)-treated HepG2 cells. Furthermore, treatment with γ-B201 attenuated DNA damage in H₂O₂-treated HepG2 cells and treatment with γ-B201 restored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in H₂O₂-treated HepG2 cell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γ-B201 blackberry extract can exert a significant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H₂O₂-induced cell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