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 강도의 차이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구성성분 및 동맥경화지표에 미치는 영향

        성기운 ( K. W. Sung ),이용수 ( Y. S. Lee ),김시영 ( S. Y.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3

        성기운, 이용수, 김시영. 운동 강도의 차이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구성성분과 동맥경화지표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3호. 309-318,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인의 high-density lipoprotein(HDL)-C 구성성분과 동맥경화지표에 있어 운동 강도와 시기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체지방율 25% 이상의 성인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최대지방연소 운동 강도(MFOEI, VO2max의 40∼60%)와 고강도 운동(VO2max의 80%)을 각각 무선 배정하여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직후, 회복기 30분, 1시간, 2시간에 혈액을 채취하여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HDL-C, HDL2-C, HDL3-C, apolipoprotein(Apo) A-I, Apo B, Apo B/Apo A-I 및 paraoxonase(PON1) 활성도를 알아보았으며, 결과는 2x5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VO2max의 80%에서는 TC, TG, LDL-C, HDL-C, Apo A-I 및 Apo B가 운동 전에 비해 운동 직후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5, p<.01, p<.001), PON1은 회복기 1시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반면, MFOEI에서 회복기 2시간까지 TG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p<.05), HDL3-C과 PON1의 활성은 VO2max의 80% 운동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비교적 낮은 강도에 해당하는 MFOEI의 경우 TG의 지속적인 감소는 물론 HDL3-C의 농도와 PON1의 활성에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항 동맥경화에 효과적인 운동 강도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and time on high-density lipoprotein (HDL)-C subparticles and atherogenic index. Ten adults over 25 percentage of body fat were submitted to single session of aerobic exercise. The subjects (23.1±3.9 yrs) participated in two random trials: in maximum fat oxidation exercise intensity (MFOEI) (40∼60% VO2max) and high intensity (80% VO2max) exercise tests. For each t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pre-exercise, post-exercise, 30 min, 1 and 2 h after exercise. Samples were analyzed for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DL-C, HDL2-C, HDL3-C, apolipoprotein (Apo) A-I, Apo B, Apo B/Apo A-I, and paraoxonase (PON1) activity. Data were analyzed using 2x5 two-way repeated ANOVA. Transient increase in TC, HDL-C, LDL-C, Apo A-I, and Apo B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 at post-exercise with 80% VO2max. With MFOEI, no differences in TC, DHL-C, Apo A-I, and Apo B were found. L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 and 2 h post-exercise at MFOEI. TG significantly reduced with MFOEI and 80% VO2max trials. HDL3-C measurement after MFOEI trial was higher compared with it measured after high intensity exercise with 80% VO2max tria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HDL2-C between MFOEI and 80% VO2max trials. PON1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 and 2 h post-exercise at MFOEI. On the other hand, in 80% VO2max trial,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1 h after exercise. Apo B/Apo A-I ratio was not different between or within tri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FOEI appear to be promoting more benefits on HDL-C subparticles and atherogenic index than high in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