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철도에서의 통신선 유도전압에 대한 금속관 차폐효과 측정

        설일환(Seol, Il-Hwan),최규형(Choi, Kyu-Hyoung),이상무(Lee, Sang-M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전기철도 선로변에 포설되어 있는 통신선에는 유도전압이 발생하여,통신품질 저하와 기기 오작동 및 안전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이와 같은 유도전압은 전차선과 통신선의 자계결합에 의해 유발되며,구조물이나 레일 등의 금속물이 근처에 있을 경우 차폐영향을 받는다.본 논문에서는 통신선 주변에 금속관이 매설되어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차폐효과를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고속철도 현장에서의 실험 결과,금속관이 통신선으로부터 1∼2m 거리에 병행매설되어 있을 경우,금속관의 차폐효과는 20% 정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또한,이격거리가 4m 이상인 경우에는 차폐효과가 1% 이내로 미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이상의 결과는,수도관이나 가스관,구조물의 철근과 같은 금속 설치물의 차폐효과를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Electric railway induces interference voltage on wayside communication cable which brings about communication errors, malfunction of devices, and safety problem. The magnitude of the induced voltage depends on the electromagnetic field coupling which is affected by metallic installations such as rail and track structures. This paper provides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screening effect of metallic pipe on the inductive voltage caused on communication cable. The measurements at a high-speed rail site show that the screening effect of metallic pipe is about 20 %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ipe and communication cable is 1∼2 m. The screening effects is less than 1 % and can be neglecte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s more than 4 m. These results are useful to evaluate the screening effects of the metallic installations such as water pipe, gas pipe, and reinforcing bar.

      • KCI등재

        전기철도 복선화 및 차폐 케이블 적용에 따른 통신선 유도장해 차폐 효과

        설일환(Seol, Il-Hwan),최규형(Choi, Kyu-H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0

        전기철도와 인접하여 병행 설치되어 있는 전기통신선에는 전자유도현상에 의한 유도전압이 발생하여 통신 장애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장해를 경감시키고 통신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폐케이블의 적용과 함께 최근 추진되고 있는 복선전철화에 따른 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급전방식 전기철 도에서 인근 통신선에 유기되는 유도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수 및 산출식을 검토하고, 유도전압 발생 예측치 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복선철도에서는 단선철도에 비해 통신선 유도잡음 전압이 18[%] 정도 감소하여 타궤조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선철도를 기준으로, 50% 차폐 통신케이블에서는 유도잡음전압이 1/8로 감소하였으며, 15% 차폐 통신케이블에서는 1/15로 감소함에 따라 차폐효과 가 크고 유도잡음전압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duced voltage on the telecommunication cable generated by nearby electric railway system may bring about telecommunication errors and safety accidents. In order to reduce the induced voltage and to achieve communication reliability, the effect of the shield cables and the recent double-track railway systems on the inductive interference should be investigated. This paper analyzes the parameters which seriously influence the induced voltage on the telecommunication cables which run parallel with a AT-fed electric railway line, and provides a simulation-based approach to estimate the amount of the induced voltag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induced noise voltage generated by a double-track railway decreases by 18 % compared to that generated by a single-track railway, showing the screening effect by nearby track. The induced noise voltages on the 50%-shielded cable and 15%-shielded cable decrease to 1/8 and 1/15 of the induced voltage on the non-shielded cable, respectively. A meaningful shield effect is achieved and the induced voltage is minimized by the double-track railway and the shielded cable.

      • 이동형 멀티센서 시스템 구축 및 평가

        신진수(Shin JinSoo),설일환(Seol il hwan),원종현(Won Jong Hyeon),최경아(Choi Kyoungah),이임평(Lee Impye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모바일매핑시스템은 비행기나 차량과 같은 이동형 Platform에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여 이동 중에 공간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지상 모바일매핑시스템은 도시정보시스템(UIS)을 위한 도로시설물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에 GPS/INS, 디지털카메라, 레이저스캐너의 센서와 이들을 통합제어하고 동기화하는 장비 등을 탑재한 멀티센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기존의 UIS 자료와 비교평가하였다. 그 결과 GPS 수신이 어려운 고층빌딩 지역은 평균 22㎝의 오차가 발생하였고, GPS 수신이 비교적 용이한 지역은 평균 11㎝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향후에 토털스테이션을 취득한 보다 정확한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구축된 멀티센서 시스템의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보정하고 이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