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혜진(HyeJin Seo),곽아진(A-Jin Gwak),이은지(EunJi Lee),정유진(YuJin Jeong),김준성(JunSeong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있다. 이에 ‘자살 예방’, ‘자살 프로그램’,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키워드로 삼아 키워드로 2023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36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54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0.96였으며,주요 변인인 우울 1.04, 자살사고 0.88로 각각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미기입을 제외한 조절 효과를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 대상은 청소년, 개입내용은 인지행동, 총회기 수는 10회 이하, 운영 기간은 4주 이하, 회기당 시간은 91분 이상, 주당 횟수는 3회 이상, 집단크기는 11∼20명이 가장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며,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할 때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using meta-analysis. Accordingly, 36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y June 2023 were selected using "suicide prevention," "suicide program,"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as keywords, and a total of 5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0.96, and the main variables, depression 1.04 and suicide accident 0.88 were high, respectively. In addition, gender, youth, intervention content, cognitive behavior, general meeting period less than 10 weeks, session time more than 91 minutes, weekly more than three times, and group size 11-20 people were examined. These results quantitativel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organizing and proceeding with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가상현실에서 감각 피드백 종류와 구조에 따른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의 학습 효과

        서혜진 ( Hyejin Seo ),김선진 ( Seonjin Kim ),유제광 ( Jehkwang Ryu ),정재욱 ( Jaeuk Jeong ),김중석 ( Joongsuk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 시 피드백 제공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참여자 41명은 제시되는 피드백 형태에 따라 4집단(A, C, D 집단:10명, B집단:11명)으로 나뉘어 시지각 적응 운동(팔 뻗기)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 1일차에 모든 참여자는 가상현실 상황 속에서 기준선 검사(baseline)와 시각적 왜곡을 극복하는 두 구간의 적응훈련(adaptation), 그리고 탈적응(washout)을 마쳤다. 그리고 약 24시간 뒤 모든 참여자에 대한 파지검사(retention)를 시행하였다. 수행의 공간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구간의 실제 움직인 수행 궤적과 시작지점-목표지점을 연결한 목표 궤적 사이의 거리오차(distance error)를 산출하였다. 결과: 모든 집단은 적응 1구간과 2구간을 거치며 시각 피드백의 유무와 상관없이 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행의 공간 정확성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집단 D(운동감각-시각 순)가 가장 큰 수행 향상을 보였다. 파지 검사에서는 단일 피드백 집단 A, B와 다중 피드백 집단C, D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시지각 운동 적응과제 학습에 있어 모든 감각 피드백의 제공은 수행 향상에 효과를 보이며, 특히 파지검사에서는 단일 피드백 구조일 때 높은 잔존효과를 보이며 학습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 제공된 피드백 종류나 구조와 관계없이 수행의 향상은 이루어질 수 있고, 특정한 피드백 제공 구조는 수행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tor learning effects differ in types of feedback during visual-perception adaptation task. Method: In virtual reality(VR) environment, 41 healthy 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types of feedback group(group A, C, & D : n=10; group B : n=11) and underwent arm-reaching movement task. On the first day, all participants performed baseline task, adaptation task with visual distortion, and washout task in VR. After 24 hours, retention test is conducted to all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spatial accuracy of the task, the maximal distance error between actual hand pathway and the straight line from starting-point to end-point was calculated. Result: During the 1st and 2nd sessions of adaptation task,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patial accuracy of task performance as the number of movement increased, whether visual feedback offered or not. Particularly in group D(consisted with the session of visual feedback and the sission of motor-perception feedback, in order) showed the most dramatic increase. In the retention task, unit-feedback group(group A & B) and multimodal-feedback(group C & 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atial accuracy. Conclusion: In the visuomotor adaptation task, providing all kinds of feedback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and especially in retention test, offering unit-feedback showed learning effects with high after-effects. Regardless of the type or structure of feedback offered in this experiment, the improvement in task performance can be achiev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 that the specific sequence of feedback has mo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performance.

      • KCI등재

        내적 타이밍 과제에서 동작의 연속성과 속도에 따른 타이밍 제어 전략: 메트로놈 동기화 훈련의 적용

        정재욱 ( Jaeuk Jeong ),송영훈 ( Younghoon Song ),서혜진 ( Hyejin Se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동작의 연속성과 속도에 따른 내적 타이밍 과제 수행의 정확성과 가변성 차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메트로놈 동기화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n=24)는 동작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정지하는 구간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연속 동작 집단, 불연속 동작 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 되었다. 두 집단의 연구 참여자는 무선으로 제공되는 세 가지(30bpm, 45bpm, 60bpm) 속도 조건의 청각신호에 따라 오른손을 연속 혹은 불연속적으로 돌리면서 목표물과 접촉하는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감각운동 동기화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호작용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을 활용한 4일간의 메트로놈 동기화 훈련(synchronized metronome training)을 진행하였다. 타이밍 정확성은 시간의 절대오차, 가변성은 시간오차의 변동계수, 수행 성공률은 15ms 이내의 시간오차로 산출하였다. 결과: 타이밍 정확성과 수행 성공률은 불연속 동작보다 연속 동작에서, 그리고 동작의 속도가 빠를수록 높게 나타났다. 타이밍 가변성은 연속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동작의 속도와 연속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타이밍 정확성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타이밍 가변성은 속도가 빠를수록 두 집단 모두에서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메트로놈 동기화 훈련 결과 연속 동작 집단의 경우 2일 이상의 훈련이 타이밍 정확성 및 수행 성공률의 향상을 가져왔다. 결론: 내적 타이밍 과제에서 연속적인 동작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이용한 운동제어 및 학습 전략이 수행의 정확성과 일관성에 효과적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accuracy and variability of performing internal timing tasks according to the continuity and speed of motio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ynchronized metronome training. Methods: 24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continuous or discrete) and performed a synchronization timing task. Participants in the study performed the timing tasks to match the target while turning the right hand in a round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auditory signals provided at three regular tempos(30bpm, 45bpm, 60bpm). In addition, synchronized metronome training(SMT) was conducted for 4 days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sensory-motor synchronization(SMS) ability. Timing accuracy and variability were calculated using absolute error of time, variability of time error, and success rate of performance within 15ms error. Results: Timing accuracy was higher in continuous motion than in discrete motion. And it was high as the speed of movement increased. The timing varia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inuity, bu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peed increased. The interaction effect of speed and continuity that did not show in timing accuracy. But the timing variability increased as the speed increased in the continuous motion group. Success rate also showed the same result as timing accuracy, and SMT training resulted in improvement of timing accuracy and performance success rate over 2 days of training. Conclusion: Motor skill that require the accuracy of coincidence timing needs to consider the motor control and learning strategy that considers relatively high speeds in continuously moving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