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생활지도 수업운영 과정과 교육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서영민(Suh youngmeen),서동미(Seo Do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유아생활지도 수업 운영과정과 교육효과에 대한 실행연구로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유아생활지도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인식 변화 및 생활지도에 관 한 능력 증진을 위해 1차와 2차에 걸쳐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변화를 위하여 자신의 부모양육태도를 돌아보기, 감정코칭 배우기,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의 문제행동 찾아보기를 실시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부모양육태도의 개선점 찾기, 감정코칭 활용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계획안 작성, 실행하기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자기성찰, 소양높이기, 자신감 형성, 생활지도 능력을 증진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행 연구를 통해 유아생활지도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방향을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 preschool teacher teachers who took early childhood guidance courses from March to June 2019.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life guidance and the ability of life guidance for preschool teachers. In the first practic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parenting attitude, to learn emotional coaching, and to find out the infant s problem behavio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inding improvement of parenting attitude, using emotional coaching, and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method of interaction and instructional plan for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In this study, pre-school teachers showed self-reflection, raising literacy, self-confidence formation, and life-giv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on early childhood guidance through practical research.

      • KCI등재

        세 번째 아이 기르기에 관한 자문화 기술지 : 진짜 엄마 되어가기

        서영민(Youngmeen Su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는 돌봄의 경험이 전혀 없는 한 여성에게 엄마가 되어가는 과정과 그 과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다. 자문화기술지는 자신의 주관적 경험을 연구의 일부로 바라보고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반영하는 자서전적 기술방식이다. 연구결과, 처음에는 엄마의 자리를 회피하고자 하는 동기로는 우울감, 두려움을 지니고 있었고, 회피전략으로 공부가 있었다. 세 번째 아이 엄마가 되면서 이를 직면하여 엄마됨을 받아들이고, 감정적 공감과 함께 훈육을 하게 되고, 사회적 지지를 얻고자 노력이 드러났다. 또한, 아이와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거듭나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존재를 잃지 않으며 엄마가 되어 가는 과정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 여성의 엄마 됨의 과정을 이해하고 세 아이의 엄마로서의 삶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to a woman and what that process means through her Autoethnography, unless she has any experience in caring. The Autoethnography is an autobiographical technique that views one s subjective experience as part of a study and reflects continuous self-refle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t first, the motivation to evade the mother s place was depression, fear, and study as an evasion strategy. As the third child became a mother, she faced it, accepted her being a mother, disciplined with emotional empathy, and tried to gain social support. In addition,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and reborn as a child, and losing their existence in the process appeared.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howe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becoming a mother of a woman and accepting her life as a mother of three children.

      • KCI등재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이정민(Lee Jungmin),서영민(Suh youngme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는 누리과정 보조교사 제도가 시행된 초반에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일을 하면서 인식한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이 무엇인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노랑어린이집(가명)과 빨강어린이집(가명)에서 근무하고 있는 누리과정 보조교사 5명과 담임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3년 7월부터 2014년 2월 28월에 걸쳐 현장일지를 작성하고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첫째,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경험하는 대인관계는 아동과의 관계와 담임교사와의 관계로 나누어 그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는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지도와 교육활동 보조로 나타났다. 셋째,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인식한 근무조건은 적게 일하고 적게 책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누리과정 보조교사 제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누리과정 보조교사가 제도가 시행된 직후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관점에서 이들이 업무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현장에 적응해갔는지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figure out how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perceive their work features after the policy for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 had been established. Five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and two full time child care teachers from two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ers wrote reflective journal after working as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 and interviewed the other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ree categories. First,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interacted with children and teachers. Second, the work feature of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were to make interaction and guidance for children, and supporting the head teacher to prepare educational activities. Third,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perceived their work condition as work less and be paid les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of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is effective to enhance daycare quality. Al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Nuri-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to use their experience and ability in the child c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