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불교와 사회복지

        서병진(성운)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19 No.-

        종교는 그들 고유의 이념과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전개하는 활동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보편적 자선이 사회복지활동이다. 종교 가운데 특히 불교는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의 존엄과 평등사상에 이념과 가치를 두고 중생구제의 방편으로 오늘날 표방하는 복지활동을 실천했던 것이다. 과거 전통사회와는 달리 사회 환경이 급변하면서 새로운 양상의 사회문제가 대두되었고, 이에 대한 정책과 제도적 장치로 생겨난 것이 사회복지이며, 개인 또는 공공의 복지를 위하여 노력하는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포괄한다. 이러한 사회적 활동에 불교가 주체가 되어 불교의 가치규범이나 원리ㆍ사상 등을 기반으로 사회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적 활동을 불교사회복지라 하며, 여기에서 사회복지와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인간과 인간이 처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인 점이다. 불교가 이러한 대사회적 실천행을 하는 목적은 불교의 이념과 가치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서 다함께 행복해지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활동을 포교라고 한다. 결국 복지와 포교, 불교와 사회복지는 하나의 목표를 추구한다. 바로 인간의 행복 추구로 귀결되는 것이다. 이렇듯 한국불교 사회복지활동은 대사회적인 실천행인 바 가장 효과적인 포교 수단이다. 종교의 사회복지활동 참여는 그 종교의 성장과 발전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것은 사회복지활동 정도에 따라서 그 종교가 얼마나 사회적 존재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것이 오늘날 불교사회복지를 해야 하는 당위성이다. 따라서 불교이념의 현실화를 통해 사회복지적인 접근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중생복지의 극대화를 가져오고, 나아가서 아미타 극락정토 건설의 자양분으로 삼아야 한다. People seek to realize their ideologies and values by many means. Of these, the oldest and most established is religion. Religion involves social welfare activities about universal charity, and no other religion upholds respect for and equality of all living things more than Buddhism. Its practices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as a way of saving all people. Unlike the traditional societies of the past, new social issues have arisen against the rapidly-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eir resolution calls for social welfare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al mechanism. Social welfare includes various social activities intended to improve the welfare of individuals and the public. Buddhist social welfare engenders all social activities in which Buddhism plays a central role and pursues society's well-being and happiness based on Buddhist values, norms, principles, and philosophy. Buddhism and social welfare both seek to resolve the causes of people's agony and problems in real life. The purpose of such practical Buddhist actions for society is to disseminate the ideology and values of Buddhism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and make all people happy. Such activities are proselytization. Welfare and proselytization, and Buddhism and social welfare are all directed to achieving one goal: realizing people's happiness. Social welfare activities by Korean Buddhism are actions conducted for the benefit of society and the most effective means of dissemination. Religious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activities is crucial to the continu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religion. The degree of such participation is a major factor in society's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This justifies the need for today's Buddhist social welfare. Buddhist ideas should be translated into reality, and approaches toward social welfare should be explored to maximize welfare for all people and further solidify the found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he Land of Ultimate Bliss of Amitabha Buddha in the world.

      • KCI등재

        우리나라 미륵신앙의 전개와 복지정토 관점에서의 조명

        서병진(성운)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우리가 사는 인간 세상은 근본적으로 괴로움이 구조화되어 있다. 인간은 개인적으로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피할 수 없으며, 사회적으로 전쟁, 빈곤, 질병, 환경파괴 등과 같은 괴로움을 면하기 어렵다. 근본불교는 개인의 생로병사로부터의 해탈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사회적인 고난에 소극적이었다. 그리고 해탈의 방향도 열반에 두고 있기 때문에 염세적이라는 면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타개하고 나온 것이 대승불교였다. 대승불교는 개인의 해탈보다 중생의 제도에 주안점을 두고 극락세계와 같은 이상세계를 그렸으며, 전륜성왕이 출세하여 평화롭고 풍요로운 세상이 오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서방정토 극락세계는 사후에야 갈 수 있는 곳이기에 현세 지향적인 사람들에게는 먼 것으로 느껴졌다. 그래서 석가모니부처님이 열반에 든 것이 아니라 아직 영산회상에 있으며 지금도 설법 중에 있고, 이제 와서 성불한 것이 아니라 진묵겁 전에 성불하여 수도 없이 이 세상에 출현하였다가 열반상을 보인 법화경 사상이 출현하였다. 대승불교 사상은 이렇게 개인적 해탈을 넘어 사회적 중생제도에도 관심을 두었으나 사회 전체가 복지사회로 탈바꿈하지 않는 한 모든 문제가 다 해결될 수는 없었으며, 영산회상 역시 철저한 수행으로만 도달 가능한 것이기에 현실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에 현세에서 현실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재가불자들은 미래부처님이 출현하여 현실정토를 실현한다는 미륵신앙에 주목하였다. 미륵신앙은 고난이 많았던 역사를 배경으로 현세지향적인 우리나라 사람들이 신앙하기에 적절하였다. 고단한 현실세계의 삶에 희망을 주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증산교와 같은 많은 신흥종교가 생성되기도 하고 때로 권력을 창출하려는 인물들이 내세운 사상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미륵세계는 56억년 뒤에 도래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미륵불이 하생할 때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현실정토를 바라는 인간들이 이 사회를 이루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미륵신앙에서는 이상세계를 현실에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10선법을 제시하였다. 모든 인류가 10선법(善法)을 실천할 때 용화세계가 이루어지고 정토복지사회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기다리기보다 현세에서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이상적 복지사회를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이냐 하는 것을 연구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현대국가가 추구하는 복지사회는 정책과 제도를 통한 복지사회의 건설이다. 불교는 이타행을 통한 불교복지를 통해 불국정토를 구축해야 한다. 인간의 사회적 문제와 물질적 욕구 충족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 사회복지에 정신적 복지를 더하는 불교복지는 훨씬 차원 높고 광범위하며 포괄적인 사회복지이다. 인간의 복지를 통해 최종적으로 해탈을 이루게 하려는 불교복지의 실천이야말로 바로 이고득락(離苦得樂)을 이루기 위한 초석이라 할 수 있겠다. Man can say the world we are living is full of bitters and sufferings. At the personal level, birth, ageing, disease and death are fatal for individual human beings. And at the social level, they can't avoid war, poverty, epidemic,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Early buddhism focused on the liberation from the samsara(karmic cycle) of life and death, so that it had less interest in removal of the sufferings caused from the society. The liberation didn't pursue worldly happiness or pleasures. Its ultimate goal was nirvãna. On reflection, Mahayana Buddhism came out. Mahayana Buddhism focused on rather bringing about the welfare of all beings by freeing them from sufferings than personal liberation. Its ideal world was the sukãvat(utmost bliss) in which cakravartin, wheel-turning king, rule by virtue rather than force. But for people wishing living happily in this world, the sukãva seemed too far to reach. It was like they could reach after death. So Saddharmapundarika- Sûtra came and taught that Sakyamuni Buddha didn't enter into nirvãna: Buddha was yet teaching of dharma in the assembly at Grdhrakuta Mountain. Buddha just showed people the characteristic of nirvãna to lead them to the ultimate truth or dharma. He became a Buddha uncountable times of kalpa ago, but came to this world to show the way to get the liberation and save the beings. Although Mahayana Buddhism taught liberating sentient beings beyond personal liberation, all of the problems people had couldn't be solved, as far as the whole society wouldn't change into a perfect wellbeing society. And Grdhrakuta Mountain itself could only be reached through thorough ascetic exercises. Then lay devotees who wished to fulfill their desires in this world noticed Maitreya, also known as the future Buddha. who has still to come, is thought to be waiting for the right time to come down to earth to create sukhãvatî(Pure land). Koreans were harassed by all kinds of problem of living like in any other countries and had to go through wars and invasions, so they had tendency to be realistic and hoped to live safely and happily in this world. Maitreya was an appropriate belief for them. It gave them hope. Furthermore, a large number of new religions such as Jeungsangyo came based upon it, Often it becam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m. It is told, Maitreya world would come true in 5600million years. But people rather should make efforts to realize it now than to wait. People have to make every effort to build and realize the ideal world. As the best way to realize, Maitreya shows us 10 virtues. Sukhãvatî would be realized when all human beings practiced the 10 virtues. Then Maitreya Buddha, the future Buddha, would come to revive Buddhist teaching and bring the human beings an end of suffering. Therefore we have to think and study how to practice the virtues than just wait. A modern state is a society which provides all individuals a fair distribution of the basic resources necessary to maintain a good standard of living. The modern welfare state will provide for the overall needs of the community without regard to individual success or failure. On the other, Buddhism teaches to practice altruism to create sukhãvatî. Buddhist welfare is more comprehensive and expansive than institutional social welfare, since Buddhist welfare cares about mental as well as physical welfare. In other words, Buddhist welfare is much more comprehensive than a narrow notion of social welfare that takes into account only the material aspects of human needs. Sometimes it appears that mental sufferings are much more intense than physical ones. By the performance of acts of punna(meritorious deeds), they will be free from greed, hatred and delusion and possess the wholesome qualities of mind such as kindness, sympathetic concern for the suffering of other beings. In this way, human beings can realize the ideal wellbeing society. Besides, one of the most potent sources of suffering in society is the cruelty and insensitivity of man that is reflected in the pursuit of self-interest. For the ongoing conflicts and wars, acts of terrorism, exploitation of various social groups etc., human beings themselves are responsible. More human suffering has resulted from cruelty of man towards man than from any other causes such as natural disasters. So we have to adopt a way of life that conduces to ours own welfare and the welfare of others. By practising of 10 virtues that purify the spirit of human beings, we can realize the ideal wellbeing society in this worldly society.

      • KCI등재

        화엄의 원(願)

        이행구(도업),서병진(성운) 한국정토학회 2007 정토학연구 Vol.10 No.-

        불교에서 “갖고자 하는 마음, 하고자 하는 마음이 간절함”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 욕(欲)이다. 경전에서는 “욕망․갈애․탐욕․망집” 등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바람, 구함”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는 말에 원(願)이라는 단어가 있다. 욕(欲)과 원(願)은 그 의미는 비슷하나 전자는 버려야하는 것으로, 후자는 가져야 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회향(廻向), 중생회향(衆生廻向)이 전제되지 않은 “바람, 구함”은 欲․욕망․갈애․탐욕이요, 중생회향이 전제되면 그것은 願․誓願이 된다 할 수 있다. 이것은 대승보살 사상의 핵심이다. 화엄경 은 대승보살의 길(道)과 행(行)을 설하는 경답게 여러 곳에 願이 설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명법품」․「10지품」․「이세간품」․「입법계품」에 보살의 10대원이 설해지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명법품」․「10지품」․「이세간품」의 10대원의 명칭은 각각 다르지만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입법계품」의 보현보살의 10종대원은 그 명칭과 내용에 차이가 있다. 반야삼장이 大經의 「입법계품」만을 떼어내 40화엄경 으로 편역할 때 그 끝부분인 권제40에 「보현행원품」을 편입시켰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화엄경은 철학성과 논리성이 대단히 잘 된 경전이다. 반야지혜를 체(體)로 하고 보살만행을 용(用)으로 하는 구조는 참으로 잘된 것이지만, 신앙성이나 보살의 실천행은 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을 보충한다는 뜻에서 반야삼장은 別行經으로 유포되어 있던 “보현보살의 10종 대원”을 40화엄경 의 맨 마지막에 편입시켰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Buddhism, a desire is meant be a status of mind that attain or achive something deparately. In another words, a desire is expressed as wants, attachment, greed, or deep-seated delusion in Buddhism scripture. Also, there is a wish which denotes a word for caring for something or requesting for something. There is a similar meaning between a desire and a wish. However, in a view of Buddhist’s common sense, a desire should be abadonned but a wish should be maintained in a person’s mind. Without a showing deepgratitude toward all sentiment beings, caring or requesting for something is becoming to a desire, a want, an attachment, or a greed. But with a showing deep gratitude toward all sentiment beings, caring or requesting for something is becoming to a wish or a vow. This is the essential point of Mahayana Bodhisattva’s thought. Avatamska sutra has explanations about a wish in several chapters since the sutra is guidance for the Mahayana Bodhisattva’s way and practice. Specifically, there are explanations for10 big vows in the chapters of Myung-Bup, 10-Gy, Isegan, Ipbipgye. If we look at the correponding chapters, each calling name of 10 big vows in each chapter of Myung-Bup, 10-Gy, Isegan is different respectively, but the contents a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he name and the content of Bohyun Bodhisattva’s 10 big vows in the Ipbipgye chapt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hapetrs. It is so, since when Banyah-Samjang tried to edit from the Big sutras into 40 Avatamska sutras, he just detached the Ipbipgye chapter from the Big sutras and tranferred the part into the last sutra of 40 Avatamska sutras as the chapter of Bohyun Bodhisattva’s vows. Avatamska sutra has a well establiment of philosopical as well as logical flows. It reposes Banya wisdom as its body and takes Bodhisattva’s various acts as its usage. This is a well established framework. But, its framework is little bit absent from Bodhisattva’s practice. In order to compromise the deficiency, it is seemed that Banyah-Samjang tried to insert the content of Bohyun Bodhisattva’s 10 big vows, which once was spreaded out as a separate sutra, into the last part of the 40 Avatamska sutras. Go gwang duk, grand sunim, has newly established the Bulgwang temple and has been the Dharma master of Bulgwang Temple. It is seemed to be a good idea for Go gwang duk sunim to adopt Diamond sutra as the body of Bulgwang Dharma lecture and to take Bohyun Bodhisattva’s practice vows as the usage of Bulgwang Dharma l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