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류체 포그 냉방시스템의 적정 분무사이클 도출

        남상운 ( S. W. Nam ),성인모 ( I. M. Sung ),서동욱 ( D. U. Seo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최근 국내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이류체 포그 냉방시스템의 효율적인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분무사이클을 설정하여 토마토재배 온실에서 냉방실험을 실시하였다. 냉방효과는 평균 1.2∼4.0℃를 보였고, 냉방효율은 평균 8.2∼32.9%로 나타났다. 분무간격에 따른 실험에서 90초 분무사이클의 냉방효율이 가장 높았고, 대체로 분무시간이 길수록, 정지시간이 짧을수록 냉방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분무량이 증가할수록 냉방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분무량을 증가시키더라도 내부공기가 포화상태에 가까워지면 더 이상증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내부공기가 포화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 분무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냉방효율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공기의 포차는 감소하였고 실내외 절대습도 차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그의 증발량이 증가할수록 실내와 실외의 절대습도 차이는 커지고, 이에 따라 환기에 의한 수증기배출이 잘 되어 다시 증발효율을 상승시키므로 냉방효율이 높아지는 순환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무시간과 정지시간에 따른 실내공기의 포차변화를 회귀분석한 결과 10 gㆍkg<sup>-1</sup>의 포차 변화에 필요한 분무시간은 120초, 정지시간은 60초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도의 진동폭을 줄이고 냉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포차의 변동 범위를 5 gㆍkg<sup>-1</sup>으로 설정하여 60초 분무, 30초 정지가 더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제어방식을 컴퓨터 제어시스템과 현재 보급되고 있는 간편 제어시스템으로 분류하여 제어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자연환기 온실에서 간편 제어시스템을 사용한다면 분무사이클을 60초 on, 30초 off로 설정하고 온도하한은 30∼32℃, 습도상한은 85∼90%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 온실의 냉난방시스템 설계를 위한 외부기상자료 비교분석

        남상운 ( S. W. Nam ),신현호 ( H. H. Shin ),서동욱 ( D. U. Seo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전체 기상자료와 평년값 자료 및 태양에너지학회에서 제공하는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률별 난방설계용 외기온과 상대습도, 냉방설계용 건구온도, 습구온도 및 일사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표준기상데이터는 평균에 가장 가까운 대표성을 갖는 1개년의 데이터로 가공 처리한 매시간별 기상자료이고, 평년값 자료는 30년(1981∼2010년) 평균 일별 기상자료이며, 전체 기상자료는 평년값과 동일기간의 매시간별 기상자료이다. 일부 분석방법은 평년값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매시간별 기상자료가 필요하고 대표성을 갖기 위해서는 표준기상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현재 표준기상데이터는 서울과 6대 광역시 등 7개 지역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전국을 커버할 수 있는 지역별 온실 환경설계용 기상자료의 구축에는 전체 기상자료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기상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는 7개 지역을 대상으로 전체 기상자료 및 평년값 자료를 이용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값과 비교 검토하였다. 위험률별 설계 기상자료는 전체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평균값이 표준기상데이터로 구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표준기상데이터가 없는 지역의 위험률별 설계용 기상자료는 전체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하고, 전체자료 기간의 평균값을 온실의 환경설계 기준으로 사용하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공함으로써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최근의 기후변화 문제로 냉난방 설계기온의 지속적인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온실설계위원회와 같은 기구의 설치가 절실히 요청된다. 위원회에서는 자료기간 및 분석방법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최소한 10년 간격의 정기적인 검토를 통하여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온실설계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압축공기를 이용한 저압 포그시스템의 온실 냉방효율 분석

        남상운 ( S. W. Nam ),성인모 ( I. M. Sung ),고기혁 ( G. H. Ko ),서동욱 ( D. U. Seo ),김영식 ( Y. S.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포그 냉방시스템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저압 에어포그 노즐을 설치한 토마토 재배 온실에서 냉방실험을 통하여 제어방법별로 냉방효율을 분석하였다. 제어방법은 온도제어, 습도제어, 온습도제어, 타임제어로 설정하였다. 냉방효과는 평균 0.7~3.3℃, 최대 4.3~7.0℃를 보였고, 가습효과는 평균 3.5~13.5%, 최대 14.3~24.4%를 보였다. 타임제어 방식이 가장 높은 냉방효과와 가습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습도제어 방식이 온도제어나 습도제어와 같은 단일항목 제어에 비해서는 냉방효과와 가습효과가 높았다. 단일항목 제어에서는 습도제어가 온도제어에 비하여 냉방효과가 높았으나, 가습효과는 온도제어가 습도제어보다 높았다. 타임제어에서는 분무시간이 길수록 냉방효과와 가습효과가 높았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비가 내리든가 날씨가 흐려서 일사량이 매우 낮고 습도는 매우 높은 경우와 같이 외부의 기상 조건을 기준으로 시스템의 가동 여부를 판단하고, 에어포그 시스템의 제어는 타임제어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어포그 시스템의 가동 여부 판단기준 설정과 효과적인 타임제어 시간설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이 요망된다. 증발냉각 시스템의 냉방효율은 외기의 건습구 온도차에 대하여 실제 냉각온도(외기의 건구온도-냉각된 온도)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하지만 이 방식은 외부 공기가 패드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팬 앤 패드 시스템에만 적용할 수 있다. 포그 시스템에서는 냉방가능 온도를 대조구 온실의 건구온도와 냉방온실의 습구온도 차이로 하고, 실제 냉각온도를 대조구 온실과 냉방온실의 건구온도 차이로 하여 구하였다. 냉방효율은 평균 8.3~27.3%로 나타나 미국에서 실험한 고압 포그시스템 53%와 저압 포그시스템 43%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에어포그의 경우 분무입자의 증발율이 상당히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비슷한 기후조건인 일본에서 실험한 고압 포그시스템의 냉방효율 19.7∼29.5%와 비교하면 본 실험의 타임제어에서 나타난 냉방효율 24.6∼27.3%의 경우는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이는 에어포그 시스템이 저압이지만 압축공기를 이용함으로써 고압 포그시스템과 비슷한 정도의 냉방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노즐의 막힘 문제 등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압 에어포그 노즐을 이용한 온실 냉방설계 프로그램 개발

        남상운 ( S. W. Nam ),고기혁 ( G. H. Ko ),성인모 ( I. M. Sung ),서동욱 ( D. U. Seo ),김영식 ( Y. S.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포그냉방 온실의 열평형식과 수분평형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설계조건으로부터 에어포그 시스템의 분무수량과 필요환기량을 구할 수 있는 엑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포그시스템의 열평형식은 일반 온실의 열평형식에 실내에 분무된물의 증발에 의한 잠열손실항을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설계조건은 목표온도, 목표습도, 외기온도, 외기습도, 일사량이고, 외기온도, 습도, 일사량은 지역의 과거 기상관측자료로부터 위험율별(TAC,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ASHRAE 방식) 설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온실조건은 바닥면적, 피복면적, 부피, 차광율, 연동수이고, 특성값은 피복재의 광투과율, 열관류율, 작물의 증발산계수, 노즐의 분무수량을 입력하고, 공기의 비열, 비체적, 증발잠열, 수증기압, 습도비, 매개변수 등은 습공기의 특성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와 같은 자료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목표 실내온도별 분무수량과 필요환기율이 계산되고 원하는 설계값이 출력된다. 자연환기 온실에서는 필요환기율을 만족시킬수 없으므로 실현 가능한 환기율로부터 목표온도를 수정하고 그 때의 분무수량을 설계값으로 취한다. 이를 위해 환기율과 분무수량 및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VST(Ventilation, Spray and Temperature)차트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자료 중 온실조건, 설계조건, DataBase에 해당되는 값을 입력한다. 다음으로 출력값의 목표온도에 해당하는 필요환기율을 검토한다. 자연환기 온실의 가능한 환기율은 측창만 설치된 단동온실에서 분당 0.2~0.6회, 측창과 천창을 설치한 단동 온실은 0.7~0.8회, 연동온실은 0.8~1.1회 정도이다. VST 차트를 이용하여 실현 가능한 환기율로부터 목표온도를 수정한다. 환기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면 목표온도를 더 낮게 잡아도 된다. 수정된 목표온도로부터 필요한 분무수량을 구한다. 개발한 포그냉방 설계프로그램으로부터 목표온도와 습도, 위험율별설계용 외부기상데이터(TAC 1%, 2.5%, 5%)에 따라 필요한 환기율과 분무수량 등의 기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에어포그 설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포그냉방 설계 기본정보로부터 필요한 노즐의 수와 노즐 설치간격을 구할 수 있는 이론식을 구성하고, 사례조사 및 이론분석을 통하여 노즐의 설치높이를 설정하였으며, 에어포그 노즐의 설치기준을 작성하였다.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산업재해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이경용 ( K Y Rhee ),김영선 ( Y S Kim ),김기식 ( K S Kim ),박종식 ( J S Park ),서동욱 ( D U Seo ),김혜민 ( H M Kim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4 한국안전학회지 Vol.29 No.6

        The stat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conventional statistics was produced without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gender because that recently female workers was increased through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from manufacturing dominated to service dominated structure. Stat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collected by workmen``s compensation insurance system that have no information about gender composition of populati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was used to calculated the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gender. The distribution of estimated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industry, occupation and the type of accident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but those by the size of enterprise, age of the injured, the duration of the first recuperation, and job tenure we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This study has shown that gender sensitive approach may be applied to polic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ecause that gender neutral perspective may not discover the fact of gender specific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