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PS제도 국내도입에 관한 연구

        부경진(Boo, Kyung-Jin),허은녕(Heo, Eunny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의 시장확대 정책으로 RPS와 기준가격의무구매제가 주요 선진국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자국의 자원부존과 경제사회여건에 맞춰 적합한 정책수단을 선택하고 있음. RPS 실시국가에서 RPS는 특별법으로 제정되어 실시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발전 인중서의 거래를 포함시켜 시너지효과를 거두고 있음. RPS의 단일의 최적모델은 존재하지 않으며 기본설계와 세부사항은 각 국의 고유의 자원부존 여건 및 경제사회적 특징에 따라 달라짐. RPS의 국내도입이 전력시장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으며 외부효과를 감하면 편익을 초래함. 또한 수요조사결과 RPS에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며 산· 재생에너지발전의 시장확대 수단으로 높은 점수를 매기고 있음 그러나 RPS의 기본설계를 신중히 가져가야 할 것이며, 법제도 정비에 임해서는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기준가격우선구매제도(발전차액보전)의 고려해야 함.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발전 의무비율 할당제(RPS) 도입 국제비교 연구

        부경진(Boo, Kyung-Jin),허은녕(Heo, Eun-Nyeong),조상민(Cho, Sang-M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신재생에너지 Vol.1 No.3

        Korean government set the goal of 5.6% to use renewable energy in electricity generation by 2011 compared with the current use of 0.13%. To achieve this goal, an innovative plan for market competitiveness would b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feed-in-tariff [FIT] which is carried out at present in Korea. As a countermeasur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MOCIE] has taken it into consideration to introduce a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that is a purchase obligation program as an alternative plan to the FIT. Furthermore, the active renewable energy market may result from and also reversely result in the aid of North Korea with renewable energy. In this paper, we review The RPS in several country cases. Plans, systems, markets and institutionalization for solving efficiency in the area of renewable energy are discussed.

      • KCI등재

        수소경제 국가비전 및 실행계획의 수립 연구

        부경진(Kyung-Jin Boo)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에너지경제연구 Vol.4 No.2

        The hydrogen economy is encroaching upon us as an inevitable future rather than as an option we can opt for.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ational vision of the hydrogen economy and design a roadmap to materialize it. A goal is set to supply 15% of final energy consumption with hydrogen energy in Korea by 2040. Selecting the transportation sector as the main target, more than 50% of vehicles in the road will be replaced with fuel cell vehicles (FCVs) while 20-30% of electricity demand i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sectors might be replaced with power generation by fuel cells. If this goal were attained as planned, primary energy demand would be reduced by 8%, resulting in improved energy mix in which fossil fuel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whereas renewable energy increases by 47%. Furthermore, GHG emissions will be reduced by 20% and self-sufficiency in energy is enhanced up to 23%. If the hydrogen economy is to materialize, the government needs to implement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new legislations, organizations, and fiscal measures to facilitate the process. In addition, the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is highly recommended to mobilize fund needed for the huge investment to build an infrastructure in preparation for the hydrogen economy. Arrangements for codes and standards are also required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of fuel cells and hydrog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수소최적공급시스템 연구

        조상민(Cho, Sang-Min),부경진(Boo, Kyung-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06

        본 연구는 부문별 수소 및 연료전지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원활한 수소공급을 위한 수소제조원의 최적믹스를 바탕으로 수소 도입 이후의 에너지믹스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BaU 전망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전망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기준안, 고유가안, 저유가안의 세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각 시나리오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준안에 따르면 수소 및 연료전지는 2015년 시장에 도입되어 2031년 5%의 시장보급률을 확보한 이후 보급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 연료전지 시장중 특히 수송부문이 선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FCV 보급대수는 2040년 1,132만대로 전체 자동차 시장의 48.4%를 차지할 전망이다. 최종에너지 중 수소의 비중은 2040년 8.7%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수소의 도입으로 인해 1차에너지 중 신{cdot}재생에너지 비중이 BaU 대비 약 5.1%p 증가한 12.1%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수소수요량은 777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고유가안에서는 수소 및 연료전지가 2012년에 시장에 도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2040년 FCV 보급대수는 1,633만대에 이를 전망이다. 최종에너지 중 수소 비중은 11.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1차에너지 신{cdot}재생에너지 비중은 11.6%로 분석되었다. 수소수요량은 1,015만톤으로 전망된다. 저유가안에서는 수소 및 연료전지가 2018년 도입되는 것으로 가정 하였다. 이 경우 2040년 FCV는 641만대가 보급되어 자동차 등록대수의 27.4%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에너지 중 수소 비중과 1차에너지중 신{cdot}재생에너지 비중은 각각 5.5%, 9.1%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소수요량은 496만톤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후보

        개발도상국 신재생에너지 시장진출을 위한투자환경 유형 구분

        이동준(Dongjun Lee),부경진(Kyungjin Boo) 한국혁신학회 2015 한국혁신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신재생에너지분야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개발도상국 시장의 투자환경을 대표적 특성에 따라 유형화 하고자 하였다. 분석 데이터로는 Multilateral Investment Fund (MIF),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wer Africa,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BNEF)에서 공동으로 연구하여 55개 주요 개발도상국의신재생에너지 개발환경을 평가하여 발행하는 ‘Climate Scope 2015’ 의 평가지수들(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 투자 및 자금조달 현황, 신재생에너지산업 가치사슬, 온실가스 관리 활동)을이용하였으며, K-means 군집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Climate Scope 2015’는 각 세부 평가항목을 조합하여 하나의 지수를 만들고 국가별 순위를 내는 것에 목적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 평가항목들을 기준으로 개발도상국 투자환경을 세분화 하여군집을 구성함으로써 진출지원정책 수립 시 전략적 접근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로 55개 개발도상국들이 아시아의 유망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군집과, 아프리카의유망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군집,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산업환경이 열악한 두 개의 군집으로나뉘어 총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각 군집별로 평균적 특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at differentiate renewable energy 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is. As a data for empirical analysis, the clean energy country competitiveness index from ‘Climate Scope 2015’ which is released by Multilateral Investment Fund (MIF),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wer Africa and Bloomberg New Energy Finance (BNEF) is used. The ‘Climate Scope 2015’ presents various kinds of indices about enabling framework, clean energy investment, low-carbon business and green house gas management activities in 55 major developing countries and ranked on a scale of overall renewable energy investment environment based on these indices. This study differentiate renewable energy 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these indices, and as a results, 55 developing countries segmented into 4 segments. On the basis of these 4 segments, several implications for tailored renewable energy foreign investment policies. are present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원별 경제성 분석

        김진오(Kim, Zin-Oh),김정완(Kim, Jung-Wan),부경진(Boo, Kyung-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신재생에너지 Vol.1 No.1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economic feasibility with unit generating costs calculated based on scenarios of capacity factors, discount rates, government supporting rates, installation costs. However, It Is clear that few new and renewable energies can meet the tariffs [government purchasing prices] set by the government in light of the current market reality. Without the government support, solar PV is not economically feasible at the tariff of 716.40/kWh. in the case of wind Power, the current tariff of 107.66/kWh is not enough to make it competitive except for a mid- and large-scale wind farm The analysis showed that even small hydro is not economically acceptable at the current tariff of 73.69/kWh

      • AHP를 이용한 수소에너지 제조원별 믹스 전망

        이덕기(Lee, Deok-Ki),박수억(Park, Soo-Uk),강석훈(Kang, Seok-Hun),최봉하(Choi, Bong-Ha),부경진(Boo, Kyung-Jin),이상설(Lee, Sang-Sul)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06

        AHP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rive the optimum mix weight of hydrogen energy production material presented in a national vision of the hydrogen economy and the action plan and aimed to be commercialized by 2030{sim}2040 year. Six kinds of hydrogen production materials(natural gas, spare electric energy, fleeting gas, renewable energy, coal, nuclear energy) was selected as subjects of study and the perspective of optimum mix weight was derived through AHP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