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노인들의 직업 참여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신노년 담론을 바탕으로 -

        백지수 ( Baik Jisoo ),장하리 ( Jang Hari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7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노년 담론인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노인들의 직업 참여를 연구한 국내 논문들의 연구동향 및 경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직업 참여에 작업 치료의 필요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국내외 웹 기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출판된 학술논문 5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노인의 직업 참여에 관한 연구는 한국 콘텐츠와 노인복지 연구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한편의 연구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 2.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총 10편으로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3. 양적 연구는 40편(78.4%)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4. 연구주제 동향을 보면 각 노인의 직업 참여와 성공적 노화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 총 11편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향후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현재 작업치료 분야에서 노인 직업 참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노인들의 ‘일’이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작업치료사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고령 비율이 높은 전남과 전북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의 일자리 사업 시 사회적 기대와 경험에 따라 달리 교육되어야 할 것이며 개인별 평생학습 차원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개인의 전문성을 재활용하거나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창업이나 취업, 봉사활동의 기회가 사회 전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domestic study which job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new old age discourse and to raise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e work of the elderly. Methods : We analyzed 51 published academic papers from January 2010 to March 2017 for the utilization of web-based academic databases. Results : First, more than five papers are published annually in the research on job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Second, there were a total of 10 studies on the elderly residing in Seoul city.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40 cases (78.4%). Four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ere the most studied subjects. Conclusion : The following research is needed. First, occupational therapists' attention is needed so that 'work' of elderly people can be meaningful work. Second, researches on elderly people living in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with high elderly ratios should be actively pursued. Third, it should be educ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social expectation and experience in the employment project of the elderly, and 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individual lifelong learning. Fourth, opportunities for entrepreneurship, employment, and volunteerism that can bring up professionalism to recycle or revitalize individual expertise should be provided to society as a whole.

      • KCI등재

        여가활동을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백지수(Baik, Jisoo),양영애(Yang, Yeong-Ae),신용일(Shin, Yong-Il)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본 연구는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인간작업모델(MOHO) 이론 및 Dattilo(2015)의 여가 교육 프로그램 4th Ed.을 참고하여 구성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를,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평가(K-ADL․K-IADL), 재활 동기 설문지(PAREMO)를 사용하여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중재 전, 후 비교와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를 통한 작업치료는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 집단이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p<.01). 셋째,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마지막으로, 재활 동기-여가 만족도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따라서 여가를 활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재활 동기에, 전통적 작업치료 중재는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를 진행하여 효과의 일반화 및 지속성, 과정 분석의 객관성을 검증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구조화된 작업치료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he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control or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and the control group of 14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a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 a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Leisur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were measured to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K-IADL), and Patient Questionnai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PAREMO). Evaluation scor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differences over time. An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isure-based occupation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p<.01). 2) The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p<.01).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L and IADL(p<.01). 4)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p<.01).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include that we must offer appropriate approach with considering the interests and value of patients to them. And proposing studies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