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카자흐스탄 수교 30주년과 발전 전망

        백주현 ( Baik Joo-hyeon ) 한국외교협회 2022 외교 Vol.142 No.0

        우리나라와 카자흐스탄 관계는 1992년 수교 이래 역동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소련으로 독립한 카자흐스탄의 국가발전 과정에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국가였다. 우리나라와 카자흐스탄은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비핵화), 평화공존, 산업화, 교역과 투자, 문화교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한·카자흐스탄 양국관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4 러시아의 크리미아 합병으로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한·카자흐스탄 양국은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새로운 형태의 협력방안, 특히 네트제로나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과학기술적 측면을 고려한 방안을 추구하여야 할 때이다. Korea-Kazakh relations have been developed dynamical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ations in 1992. Korea was voluntary contributor for Kazakhstan’s nation building, newly independent country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Korea and Kazakhstan have been cooperating in the various fields: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peace and stability(denuclearisation), peaceful coexistence, deveopment of the natural resources, industrialisation, trade and investment, cultural exchange, education. Bilateral cooperation have been damaged seriously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Russian annexation of the Cremia in 2014. On the occasion of the 30th anniversary, Korea and Kazakhstan are expected to pursue the new formula of cooperation, especially considering emerging factors like net zero of CO<sub>2</sub> emission, diverse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aspect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차세대 동포의 정체성, 미국·CIS에서 느낀 점

        백주현 ( Baik Joo-hyeon ) 한국외교협회 2023 외교 Vol.147 No.0

        재외 동포사회는 모국의 역사적 질곡, 경제발전과 민주화, 글로벌 중추국가로의 성장과정을 반영하는 거울이다. 미국 동포사회나 고려인 동포사회나 그 기원은 19세기 말 모국의 열악한 경제 상황에 기인한다. 미국 동포사회는 모국의 독립과 경제발전에 기여하면서 급성장하였다. 미국의 국제 정치, 경제적 발전과 위상 강화는 미국 동포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한 바 있다. 4차 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 기업들이 2차전지, 전기차, 반도체 등 주요 산업분야에서 미국에 대한 투자를 급증시키면서 미국과의 경제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미 동포사회는 미국 사회의 필수 불가결한 주요 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반면에 ‘고려인’ 동포사회는 1936년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으로 생활의 근거를 빼앗기고, 언어·문화 계승을 금지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 한·소 수교를 계기로 74년간 끊겨있던 모국과의 연대성 회복의 기회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1991년 소련의 붕괴와 15개의 신생국가 탄생으로 고려인 동포사회는 정책이 다른 국가들에 나뉘어 살게 되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고려인들은 더욱 어려운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재외동포청 출범을 계기로 우리 정부는 고려인들의 국적취득과 모국에서의 취업 허용 등을 고려해야 할 때이다. 때마침 고려인 지원특별법도 발의되었다. 여야가 뜻을 모아서 고려인 차세대에 대한 한국어, 한국역사, 문화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군내로의 이주 허용 방안도 검토해야 할 때이다. 미국이나 CIS지역 차세대 동포들의 모국과의 연대성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historical fetters of the home country,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and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global pivotal country. The American Korean community and the Koryo Korean community originate from the poor economic situation in their home countr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American community grew rapidly, contributing to the independ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ir home country. America’s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its statu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ommunit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companies are rapidly increasing their investments in the United States in major industries such as rechargeable batteries, electric vehicles, and semiconductors, while strengthening economic and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ccordingly,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is becoming an essential and major part of American society. On the other hand, due to Stalin’s forced migration policy in 1937, the Korean community suffered from being deprived of their livelihood and being prohibited from passing on their language and cultur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90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store solidarity with the mother country that had been disconnected for 74 years. However,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nd the birth of 15 new countries, the Korean community was divided into countries with different policies. With the outbreak of the war in Ukraine in 2022, the ethnic Korean people were placed in an even more difficult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With the launch of the Overseas Koreans Office, it is time for our government to consider allowing Koryo Koreans to acquire nationality and work in their home country. Recently, a special law to support Koryo people was also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t is time for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o come together to strengthen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Korean history, and culture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yo people, and also review plans to allow immigration into the county. It would be desirable to pursue practical policies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next-generation compatriots in the U.S. or CIS regions with their home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