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민속어린이박물관 공간경험의 자연체험적 특성 연구

        백정은 ( Jungeun Baek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자연은 어린이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따뜻한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최고의 놀이공간이자 교육공간이지만,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자연과 멀리 떨어진 도시공간에서 생활하는 어린이들은 자연을 쉽게 접할 기회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숲 유치원 등 어린이를 위한 공간에서 자연친화적인 교육과 생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어린이박물관에서도 어린이에게 친근한 자연체험 요소를 공간에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에 나타나는 자연체험적 표현을 바탕으로 한 어린이의 공간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국립어린이박물관 중 자연친화적 전시 주제를 담고 있는 국립민속어린이박물관 선정하여 국립어린이민속박물관의 민속 개념, 자연체험의 개념과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자연체험 요소를 고찰하고, 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경 험 이론의 등장과 어린이의 공간 인지과정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어린이와 공간경험 관계성에 근거한 어린이박물관의 자연체험의 구조적 특성과 표현적 특성의 사례연구를 통해 어린이박물관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자연체험적 공간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공간개념의 변화에 따라 어린이와 공간의 상호작용 중심의 전시환경 구성은 어린이에게 새로운 공간경험을 위한 개념이며, 어린이 인지적 발달과 사회적 관계 확장에 필요한 근거이자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어린이박물관에서 공간경험 특성이 나타난다는 것은 어린이박물관이 단순한 신체적 체험 이상의 정신적이고 감성적인 경험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자연에서 경험할 수 있는 체험요소를 통해 보다 풍부한 감성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어린이박물관은 자연체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간경험 이론적 특성 적용을 통해 전시환경을 구성해야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어린이에게 긍정적이고 새로운 공간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공간경험 개념이 적용된 어린이박물관 전시환경 구성을 통해 질적으로 훌륭한 신체적이고 감성적인 경험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시공간의 형성은 어린이의 잠재력과 창의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is no doubt that nature is the best playground and educational space in which to offer children opportunities to learn the value of life and to improve their sensitivity.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children who live in urban areas far from nature lose these opportunities. This problem must be solved, and as the importance of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in children``s spaces (such as forest kindergartens) increases, children``s museums are growing more willing to apply experiential natural elements in their spaces that are welcoming to children. (Method) Of other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in Korea, after this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at was holding a nature-friendly exhibition was selected. First, the study examined folk concepts addressed by the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concepts concerning nature experiences, and the various nature experiential elements required for various stages of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the study focused on changes in spatial concepts and discussed the introduction of experiential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and process of children``s spatial recognition. Through case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experiences in the Children``s Museum, which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spatial experience,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and spatial experiences observed in the exhibit areas of the Children``s Museum. (Results) Based on changes in spatial concepts, the set-up of an exhibition area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their space was considered a concept for a new spatial experience targeting children. The study confirmed that such a set-up can be regarded both as a basis for and a necessary characteristic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experience observed in the children``s museum shows that children``s museums can offer mental and sensory experiences that go beyond simple physical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y noted that children``s museums can offer children an even richer sensory experience through inclusion of experiential elements like those that would be experienced in na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museums design exhibit environments by applying theoretical spatial experience characteristics to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experiences, and that sociocultural factors be carefully examined in order to nurture children``s indefinite potential with positive and novel spatial experi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a children``s museum set-up that applies spatial experience concepts will offer children a chance to enjoy qualitatively superior physical and sensory experiences. The study expects that an exhibition space set up in such a wa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ment of children``s potential and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