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성인남녀의 교육 수준과 비만 간 관계

        백은정(Eunjeong Paek),김진영(Jinyoung Kim)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13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0 No.5

        Objectives: Despite the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increase in obesity particularly of socially disadvantaged group in Korea, how obesity varies according to variou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ill remains largely unanswered. To further develop the understanding of obesity in Korea,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ttainment and obesity varies across age. Methods: Using 2010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is study divides the adults into male and female groups and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on obesity through binominal logit models for each group. Results: The most educated male group is more likely to be obese than those who did not complete high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s educational attainment and obesity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across age. In contrast to male’s obesity pattern, female educational attainment has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obesity. The gap in obesity across educational groups converges after middle ages in female. Conclusions: Health polic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ose who are more vulnerable to obesity risk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obesity.

      • KCI등재

        학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진영(Jinyoung Kim),송예리아(Yea-Li-A Song),백은정(Eunjeong Paek)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2

        기존 연구들이 학력 혹은 교육에 따른 건강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왔으나, 대학학위의 질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졸업자 내부에서의 건강 차이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국내 기존 연구의 경우 학력과 건강의 관계를 건강 행위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는 있었으나 보다 사회구조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노동시장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으로 설명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동일 학력인 4년제 대졸자 중에서 졸업 대학의 소재지와 국공립/사립 여부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며, 학력 혹은 출신 대학의 특성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고용지위(정규직 여부, 고용 안정성), 직업지위(전문관리직 여부,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와 경제적 지위(본인소득, 가구소득, 가구자산)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며, 주 연구대상은 11차년도 조사에서 만 25세 이상이면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 5,306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주관적 건강의 수준이 높았으나, 중졸 이하와 고졸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데 반해 고졸과 대학수준 집단들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둘째, 4년제 대학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서울/인천/경기 지역 대졸자에 비해 서울/경기/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사립대 졸업자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수도권 지역 대학 졸업자에 비해 고졸 혹은 중졸 이하 집단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상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학력집단으로 갈수록 노동시장 지위와 경제적 지위 역시 상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수도권 4년제 대졸자를 준거로 한 학력집단 간 건강격차는 고용지위, 직업지위와 경제적 지위 관련 변수들에 의해 상당 정도 설명되었으며, 특히 일 만족도과 일자리만족도에서의 차이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potential difference in self-rated health among degree holders of four-yea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cerned universities and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institutes. Where differences do exist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education or characteristics of graduated universities, this study inquires how much of such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used and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the 5,306 respondents who are over 25 years old and currently employ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better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econdly,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four-year universities reveals that the level of health for graduates from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Incheon/Gyeonggi area.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from public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However,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of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is similar to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Thirdly,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better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 statu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is, in large part, explain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especially by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t work and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duce the health disparity related to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more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ine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education.

      • 학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진영(Kim, Jinyoung),송예리아(Song, Yea-Li-A),백은정(Paek, Eunjeong) 한국사회학회 2012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12 No.12

        기존 연구들이 교육 혹은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왔으나, 대학학위의 질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졸업자 내부에서의 건강 차이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국내 기존 연구의 경우 학력과 건강의 관계를 건강 행위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는 있었으나 보다 사회구조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노동시장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으로 설명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동일 학력인 4년제 대졸자 중에서 졸업 대학의 소재지와 국공립/사립 여부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며, 학력 혹은 출신 대학의 특성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고용지위(정규직 여부, 고용 안정성), 직업지위(전문관리직 여부,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와 경제적 지위(본인소득, 가구소득, 가구자산)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며, 주 연구대상은 11차년도 조사에서 만 25세 이상이면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 5,306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주관적 건강의 수준이 높으나, 중졸이하와 고졸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데 반해 고졸과 대학수준 집단들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다. 둘째, 4년제 대학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서울/인천/경기 지역 대졸자에 비해 서울/경기/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사립대 졸업자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다. 수도권 지역 대학 졸업자와 지방 국립대 졸업자들의 주관적 건강은 고졸보다 좋지만, 지방 사립대 졸업자들의 건강 수준은 고졸과 별 차이가 없다. 셋째, 상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학력집단으로 갈수록 노동시장 지위와 경제적 지위 역시 상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수도권 4년제 대졸자를 준거로 한 학력집단 간 건강격차는 고용지위, 직업지위와 경제적 지위 관련 변수들에 의해 상당 정도 설명되며, 특히 일만족도과 일자리만족도에서의 차이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된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self-rated health.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potential difference in self-rated health among degree holders of four-yea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cerned universities and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institutes. Where differences do exist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schooling or characteristics of graduated universities, this study inquires how much of such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used and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the 5,306 respondents who are over 25 years old and currently employ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better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econdly,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four-year universities reveals that the level of health for graduates from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from public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However,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of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is similar to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Thirdly,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better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 statu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self-rated health is, in large part, explain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especially by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t work and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duce the health disparity related to schooling in the Korean society, more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ine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schoo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