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이 골수 간엽줄기세포 분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진혜진(Hye Jin Jin),최수진(Soo Jin Choi),배윤경(Yun Kyung Bae),이수연(Soo Yeun Lee),길명옥(Myeong Og Gil),박찬미(Chan Mi Park),왕준호(Joon Ho Wang),오원일(Wonil Oh),양윤선(Yoon Sun Yang),조인호(Inho Jo),김철기(Cheol-Ki Kim),송해룡(Hae-R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인간 골수로부터 간엽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기증자의 나이에 따른 분화능력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연령 그룹 (n=16, 12.5±5.8세)와 고연령 그룹 (n=4, 48.5±7.2세)으로 나눠 총 20명의 환자로부터 동의를 얻어 골수를 채취하였고, 채취한 골수로부터 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하였으며, 세포 형태와 면역표현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포의 노화를 두 그룹에서 계대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골, 연골,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하기 위해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으며, alkaline phosphatase, von Kossa, safranin O와 oil red O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20명의 골수에서 모두 간엽줄기세포를 추출하였고, 저연령 그룹에서 획득한 간엽줄기세포의 수가 고연령 그룹에 비해 약 5배 많았다. 세포의 노화는 두 그룹 모두 10세대 이후에서 나타났으며, 면역표현형도 두 그룹에서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골, 연골, 지방세포로의 다양한 분화능력을 보였으며, 두 그룹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골수 기증자의 나이는 골수 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Purpose: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tiation capacity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btained from human bone marrow (BM) according to the age of the donors. Materials and Methods: MSCs were isolated from the BM of young (n=16, 12.5±5.8 years) and elder (n=4, 48.5±7.2 years) patients with the consent of them. We analyzed the cell morphology and the cell surface markers of the MSCs. In addition, we assessed the cell senescence with serial cultures from both age groups. Cell pluripotentiality was analyzed by osteogenic, chondrogenic, and adipogenic induction media. We performed RT-PCR, a measurement of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nd staining with von Kossa, safranin O, and oil red O stain. Results: All of the MSC samples tested, irrespective of the age of the donors, MSCs were all successfully isolated from twenty bone marrows. However, the number of cells of from the young donors was five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elderly donors. Senescence was observed over 10 passages in both age groups. The immunophenotypes of both age groups showed similar patterns. MSCs obtained from young and older donors showed the potential to differentiate into osteogenic, chondrogenic, and adipogenic lineages with no difference for both age groups. Conclusion: Our study supports that age does not influence the pluripotential capacity of human BM derived MS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