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urrent Status and Feasibility of Green Growth Strategies in Africa

        Bae, Yuh-Jin(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1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1 No.-

        최근 들어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포용적 성장, 결핍 퇴화 및 환경 보호를 기반으로 하는 녹색성장, 또는 포용적 녹색성장을 지향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녹색성장은 장기적 측면에서 경제 성장과 발전에 필요한 부분이지만, 광물 생산 및 농작물 생산과 같이 자원과 그들의 환경에 경제 기반을 두고 있는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의 전통적 개발 계획과 대립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은 말라위와 모잠비크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들의 비교우위 (comparative advantage) 요소로 볼 수 있는 농업환경 및 토지의 사용이 녹색성장 계획과 어떤 대립구도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이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단기적인 측면에서 녹색성장이 결코 친환경적이지만은 않고, 오히려 비교우위 요소와 대립하는 상황을 초래함으로써 빈곤층의 삶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더욱 성공적인 녹색성장을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비교우위 요소와 녹색성장 대립 구도 사이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빈곤층이 녹색성장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아프리카 빈곤층의 높은 참여는 비교우위 요소와 녹색성장 계획이 공존할 수 있는 조금 더 균형 잡힌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아프리카의 지속적인 성장 및 개발에 이바지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it is possible to see that many African countries have contributed to, or pledged their support for, achieving Green growth or Inclusive Green growth which prioritizes inclusive growth, poverty reduction while preserving the environment (Greening). Although Green Growth is necessary for long-term growth and development, this mechanism brings about a certain complication linked to the continent"s tradi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which are often based on the use of comparative advantages. In order to present such complications, this paper identifies agro-ecological conditions and land availability as Africa"s comparative advantages, by using the case of Malawi and Mozambique, and shows that implementation of green growth may not be as "green" as expected and poses a great threat to lives of the poor in the continent especially in rural areas. This paper argues that, though green growth strategies can contribute to long-term growth, the priority task is to make sure that the "poor" participates in the green growth path as they are the ones that stand between Comparative Advantages and Green Growth. Raising their participation can help find more balanced way to use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that can complement and does not negate the promotion of green growth which can lead to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말라위 토지 횡령 사례 분석: 드왕그와(Dwangwa) 설탕 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배유진(Bae, Yuh 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8 No.-

        아프리카 내 토지 횡령은 민감한 사안이다. 여러 아프리카 국가와 비교했을 때 말라위 내 토지 횡령 사례는 주목받지 못해왔으나 최근 들어 말라위내 설탕 산업에서 토지 횡령 사례가 포착되었고 그 중심에 주요 사탕수수 재배 지역인 드왕그와(Dwangwa)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드왕그와 지역에서 토지 횡령을 겪은 카옹고지(Kaongozi)와 카림콜라(Kalimkhola) 공동체와의 심층 면접을 통해 토지 횡령 사안을 분석한다. 그 결과, 공동체가 바라보는 토지 횡령의 주요 행위자는 TA Kanyenda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이들은 (강제)이주 과정에서 경제적 피해를 받았을 뿐 아니라 전통문화가 손실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런 점들은 기존 드왕그와 토지 횡령 연구에서 공동체가 해석하는 토지 횡령 혹은 그들의 시각이 결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토지 횡령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공동체 시각의 부재는 토지 횡령이라는 광대한 문제의 포괄적 이해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공동체에 대한 심층 면접은 드왕그와 토지 횡령 연구에서 꼭 보완해야 할 부분이다. 또한, 본 연구는 드왕그와를 포함한 말라위 내 토지 횡령이 발생할 수 있는 근본적 원인을 찾기 위해 토지 관련 법령 및 정책을 분석한다. 그 결과 드왕그와 내 토지 횡령이 발생할 수 있었던 근본적 원인이 토지 법령 1965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 법령은 말라위가 식민지 시대를 겪고 있을 때 영국이 제정한 나이살랜드 토지 법령 1951(Nyasaland Land Ordinance 1951)의 국유화 형태이며, 말라위인의 토지 소유권을 약하게 한 근본적 원인이다. 특히, 이 법령은 정부, 기업 등 토지 횡령에 대한 주요 행위자들의 불법적 성향이 강한 토지 거래를 정당화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에 토지 횡령의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말라위 정부는 다양한 토지 법령을 제정하여 말라위인의 토지 소유권 강화와 식민지 시대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토지 법령 1965를 청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렇게 변화하고 있는 토지 관련법과 정책을 볼 때 앞으로 말라위 내 토지 횡령 연구의 방향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토지법과 정책을 분석하여 토지 횡령 사례를 분석하는 하향식 접근법과 공동체가 바라보는 토지 횡령 사례를 분석하는 상향식 접근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향후 드왕그와를 포함한 말라위에서 일어나는 토지횡령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Land-grabbing is a highly sensitive issue in Africa. Compared to other African countries, only a small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Malawi. However, in recent years, large-scale land appropriation and the displacement of local communities has been detected. It is associated with Malawi’s sugar industry, particularly with the Dwangwa region, which is one of the country’s major sugarcane production areas. This study first analyzes land-grabbing issu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communities of Kaongozi and Kalimkhola in Dwangwa. Both communities find TA Kanyenda as the main perpetrator associated with their loss of land and subsequent displacement. Also, (forced)migration process did not only result in economic loss to the communities but led to the loss of important traditional culture.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study of land-grabbing should not only focus on its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but on the wider implication to a community’s socio-cultural aspects. This study also analyzes Malawi’s land-related laws and policies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of land-grabbing in Dwangwa. It is found that the Land Act 1965,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nationalized form of Nyasaland Land Ordinance 1951, was the fundamental cause of weak land ownership. Further, the Land Act enabled large scale land acquisition as it provided a basis for justifying/legitimizing what appeared as convoluted land deals amongst the government, foreign companies and TA Kanyenda.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the country’s land related laws and policies which will have impacts on the direction of land-grabbing research. This means that analysis of new land policies and continued field research at the local level should be conducted along-side. This could contribute to discussions on potential solution to prevent future land-grabbing incidences in Dwangwa and other areas of Malawi.

      • KCI등재

        말라위의 탕가타(Thangata) 의미 변화와 토지권 체계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배유진(Yuh Jin Bae) 한국아프리카학회 202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2 No.-

        식민지 시대 당시 식민지 정부와 유럽 정착민은 아프리카의 자원을 착취했고, 이를 가능하게 했던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프리카인의 (강제)노동력이었다. 특히, 아프리카에 진출한 유럽 농업 정착민은 식민지 정부로부터 토지권을 획득했고, 그들의 사유지에 정착하고 있던 아프리카인을 노동자원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현상은 말라위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식민지 시대 당시 유럽 농업 정착민은 말라위인이 그들에게 제공하는 노동을 탕가타(Thangata)라고 불렀다. 하지만 식민지 시대 이전 말라위인에게 탕가타는 족장과 공동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적 노동(reciprocal labour)을 의미했고 그 의미가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억압적 통제’와 ‘노예 제도’ 등으로 변모했다.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말라위인에게 부정적인 의미로 변한 탕가타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탕가타의 의미 변화의 주원인은 식민지 시대를 거쳐 변화한 말라위의 토지권 체계라고 볼 수 있다. 식민지 시대 이전 말라위 토지는 개인이 아닌 공동체의 소유였다. 그리고 지역 족장은 공동체에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권을 줄 수 있었다. 하지만 식민지 시대에 들어오면서 말라위의 전통적 토지권 체계가 ‘무시’되었다. 특히, 식민지 시대 당시 유럽 농업 정착민은 영국이 제공한 청구권 증명서를 통해 합법적으로 말라위인의 토지를 수탈하고 이를 사유지로 만들었다. 사유지에 살고 있던 말라위인은 ‘세입자’로 간주되었고 유럽 정착민은 그들을 족장을 대신하는 지주(landlord)로서 ‘세입자’에게 탕가타를 요구한 것이다. 탕가타의 의미 변화는 단순히 식민지시대 영향으로 볼 수 없으며 식민지 시대 당시 말라위에 유입되고 적용된 서구의 ‘개인 토지권’ 때문에 일어났다. 최근 말라위는 새로운 토지법을 개정했고, 말라위인 개개인이 자신의 토지를 사유지로 등록할 수 있게 했다. 즉, 말라위 정부는 ‘개인 토지권’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사유지 등록 절차를 밟을 수 있는 말라위인은 대부분 부유한 사람들이다. 결국, 일반 말라위인이 부유한 말라위인의 세입자가 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부정적인 탕가타의 의미가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말라위 정부는 이렇게 불평등한 결과가 초래하지 않도록 더욱더 일반 말라위인의 토지권을 보호하는 체계 구축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era of Colonialism, European governments and settlers exploited natural resources and labour in Africa. In particular, European agricultural settlers acquired land rights from colonial governments and used Africans on their property as labour. In the case of Malawi, European agricultural settlers called such labour ‘Thangata’. However, prior to the colonial period, Thangata meant reciprocal labour from community members to their chief. The semantic change of the word, now meaning ‘repressive control’ and ‘slavery system’ occur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main factor that changed the meaning of Thangata. This study finds that the meaning of Thangata is connected to the changes in the land rights syste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raditionally, land belonged to Malawian communities, and a local chief could grant usufruct rights to community members. However, with the arrival of European settlers, such traditional land rights system was ‘ignored’. These new agricultural setters received official land rights from the colonial Secretary of State and eventually took over and privatized a vast amount of land. Malawians living on this newly titled private land were considered ‘tenants’ and European settlers demanded Thangata from them as their new landlords. Thus, the semantic change of Thangata was not simply due to ‘colonial influence’, but can be primarily attributed to the ‘land titling system’ imposed by the British. Recently, the Malawi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to strengthen land titling by enacting a new land law that allows individuals to register their land as private land. However, those who can register their land are mostly wealthy Malawians. The majority of poor Malawians -landless or unable to register their land- are likely to become ‘tenants’ of wealthy Malawians. Consequently, this could result in the reinforcement and continuation of the negative connotations of Thangata. In order to prevent such negative consequences, the government of Malawi should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the poor Malawians’ land rights and prevent them from becoming weak tenants.

      • KCI등재

        아프리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시대 속 재생에너지의 중요성: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배유진(Bae, Yuh-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2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1 No.-

        아프리카 국가를 포함한 다수의 국가는 COVID-19 확산을 감소하기 위해 이동 제재 및 사회적 거리 유지를 주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 제재와 사회적 거리 유지가 성공적으로 COVID-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인구에게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에너지 접근성이 낮은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에 이동 제재와 사회적 거리가 COVID-19 확산 감소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말라위의 의료기관 전력 접근성과 각 가구의 실내오염 사례 분석을 통해 에너지 접근성 향상이 아프리카의 성공적인 COVID-19 대응에 중심축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말라위 내 의료기관의 약 69%가 전력선과 연결되어 있지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의료기관의 수가 적다. 이는 COVID-19 검사, 치료 및 긴급 상황 대처를 원활하지 못하게 하고 COVID-19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급증할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대부분의 말라위 가구가 조리와 조명에 사용하는 에너지원이 연소를 통해 공기 오염을 발생하는 목재 및 바이오매스라는 점은 COVID-19 확진율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말라위의 에너지 접근성과 실내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COVID-19 피해를 감소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은 재생에너지 사용 확장이다. 그리고 말라위의 낮은 전력선 연결성과 높은 일조 강도의 조합을 볼 때 독립형 태양광 기술 사용 확장이 가장 현실적으로 COVID-19에 대응하는 방안이다. 독립형 태양광 기술 사용 확장은 말라위 내 다양한 의료기관의 원활한 임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여 COVID-19 대응에 기여할 것이다. 연소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전기 조리(예: PV-eCook) 방법 사용도 각각의 말라위 가구 내에서 발생하는 실내오염을 감소하여 COVID-19 확진이나 관련 사망률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에너지 접근성 증대는 노동력 증진,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COVID-19로 인해 침체한 경제를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이유에서 말라위는 독립형 태양광 기술 사용 확산에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In order for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to successfully reduce COVID-19 proliferation, a country’s population must have ensured access to reliable energy sources. This suggests that both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may not be the most realistic ways to reduce COVID-19 proliferation in many African countries with poor energy accessib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Malawi’s medical institutions’ power accessibility and indoor pollution in each household, this study argues that improving energy accessibility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Africa’s successful COVID-19 responses. About 69% of medical institutions in Malawi are connected to power grid. However,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that receive stable electricity is small. Accordingly, performing proper COVID-19 testing, treatment and emergency responses is difficult. Moreover, as Malawi households are overwhelmingly dependent on biomass fuels (e.g. fuelwood and charcoal) for cooking and lighting which result in dangerous levels of household air pollution, this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COVID-19 related mortality rates.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s a way to reduce COVID-19 proliferation and casualties by improving Malawi’s energy accessibility and reducing household air pollution level. Given the combination of low grid connectivity and high solar irradiation in Malawi, expanding the use of stand-alone photovoltaic (PV) technology is the most realistic way to respond to COVID-19. The use of stand-alone PV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ccessful COVID-19 response by enabling the smooth performance of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in Malawi. Also, replacing biomass usage with clean renewable energy will help reduce indoor pollution, thus lowering COVID-19 associated mortality rates. In addition, increased energy accessibility is likely to contribute to the recovery of the sluggish economy caused by COVID-19 as it can boost labour force into the market and promote new job creation. Accordingly, the increased usage of solar energy is essential for Malawi’s COVID-19 responses and economic recovery.

      • KCI등재

        Large-scale Solar Electricity Export Plan and Solar Energy Curse Potential in Algeria

        Bae, Yuh-Jin(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8 No.-

        본 논문은 기존 자원의 저주 이론을 (경제적 · 정치적 접근방식) 기반으로, 알제리가 향후 태양열 에너지를 통해 대규모 전기를 유럽으로 수출할 시태양열에너지 저주와 직면할 가능성을 다룬다. 두가지 접근방식을 통해 창출된 결론은 알제리의 경제가 태양열에너지 부문에 지나치게 의존할 가능성은 낮으나 현재 국가의 낮은 제도의 질이 미래에도 지속된다면 향후 태양열 에너지 부문에서 창출될 수익이 부패된 정치인들의 자금으로 전용되는 현상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태양열에너지 저주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자원 수출 수익의 경영 및 분배의 중심축이 되는 국가의 높은 제도의 질이 자원의 저주를 해결할 수 있는 중추적인 요소로 보며, 알제리가 향후 태양열에너지 저주와의 직면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도의 질의 현격한 개선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measures the potential for Algeria to suffer from a solar energy curse through the combinat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the resource curse. The main finding is that, although Algeria’s economy will not become dependent on a potential solar energy sector, Algeria’s low institutional quality may result in the mismanagement of such solar rents. Therefore, Algeria’s successful management of solar rents is contingent upon improved institutional quality, this will further enable Algeria to avoid the adverse effects of a solar energy curse and lead to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The Applicability of Resource Curse Theories and Explanations in Modern Day Sub-Saharan Africa

        Bae, Yuh-Jin(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4 No.-

        자원의 저주 관련 이론과 설명 및 해결방안에 대한 광대한 량의 방법론과 문헌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아직까지도 자원의 저주를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이유로 본 논문은 현재 존재하는 자원의 저주 관련 이론과 설명들이 최근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석유 수출국가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경제적·정치적 관점으로 자원의 저주를 바라보는 대표적인 이론과 설명들이 현재 사하라이남 석유 수출 국가들에 있어 자원의 저주를 식별하거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모두 결점이 있고, 이런 결점들은 1) 자원의 저주가 자원과 연관된 다양한 개발 도전과제가 아닌 하나의 문제나 결과로 비춰지고 있다는 점; 2) 아직도 사하라이 남 아프리카 국가들을 결핍, 부패, 저개발의 문제를 겪고 있는 대륙으로 바라보는 일반화에서 온다고 사료된다. 이런 일반화는 아프리카와 관련된 자원의 저주 연구의 방향과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자원의 저주가 하나의 문제로 식별되는 것이 아닌 천연자원과 연결된 다양한 개발 도전과제로 인식되고, 아프리카가 아닌 아프리카 각 국가의 틀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Despite a large body of literature covering the resource curse as well as its potential remedies, many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re still struggling from its effect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existing resource curse theories and explanations in moder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The main findings show that, the resource curse literature based on economic and political approaches both have deficiencies in identifying the resource curse effects across the continent. These deficiencies derive from two major generalizations: 1) Generalizing the resource curse as a single large body rather than a problem which consists of different development challenges; 2) Viewing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s ‘poor, corrupt and underdeveloped continent’. These generalization contribute to a misguided path regarding the resource curse studie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African continent. Therefore, the most urgent task is to stop viewing the resource curse a large single body, by de-generalizing the curse into different development challenges ‘linked’ to natural resources for ‘individual African country’, thus halting the generalization of African countries as Africa.

      • KCI등재

        아프리카 내 대규모 자트로파 프로젝트 실패 원인 분석

        배유진(Bae, Yuh-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0 No.-

        아프리카에서 바이오 연료에 대한 관심과 확장은 2000년대 들어오면서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들 중 자트로파에 이목이 집중되었다. 자트로파는 2세대 바이오 연료로써 불모지에서도 자랄 수 있다. 이런 특성은 다수의 아프리카 환경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했고, 외부 기업들이 대규모 자트로파 프로젝트를 위해 진출하면서 2000-2008년 아프리카는 자트로파 붐을 맞이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낮은 수확량을 기록했고, 특히 2008년 국제 금융위기가 외부 기업이 철수하는데 기여하면서 상당수의 프로젝트가 실패로 돌아간다. 대규모 자트로파 프로젝트 실패의 근본적 원인은 자트로파에 대한 불충분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는데 있다. 또한 자트로파 및 바이오 연료 관련 정책이나 목표가 제대로 설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규모 자트로파 프로젝트가 급속히 확장되었다는 점은 글로벌 상업 이익의 목적이 아프리카 지역 정부의 이익보다 더 큰 영향을 발휘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점들을 방지하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성공적인 자트로파 및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해 1)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 전 철저한 가능성 실험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2) 명확한 바이오 연료 혹은 에너지 정책을 세우며, 3) 토지 횡령 문제 등의 방지를 위해 체계적인 토지 정책 및 토지 양도 단계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 Jatropha is a high-quality, second-generation, non-edible biofuel source. Preliminary research findings regarding its ability to withstands droughts and grow in marginal areas encouraged international companies to invest and expand large-scale jatropha projects in Africa rapidly resulting in the ‘jatropha boom’ between 2000 and 2008. However, the decline of the projects was also rapid due to the low-yield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which forced many international biofuel companies withdraw from the continent. This paper finds that, as many large-scale jatropha expansions began before sufficient biofuel policies and targets were established by African countries, it was the global commercial interests that led to the expansion of jatropha projects rather than national and regional interests. Further, the main reason for the failure of many large-scale jatropha projects is that the projects began with insufficient amount of research and overestimated potential yiel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in order to bring about successful jatropha production, African countries should 1) run sufficient feasibility tests before implementing large-scale projects; 2) establish concrete biofuels or energy policies and targets; and 3) improve land policy and make land transfer process transparent in order to avoid the issue of land-grabbing.

      • KCI등재

        환경 변화와 지역 공동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토지횡령(land-grabbing) 사안에 대한 고찰 : 말라위 드왕그와(Dwangwa) 지역 사탕수수 산업과 카옹고지(Kaongozi)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배유진(Bae, Yuh 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6 No.-

        토지횡령(land-grabbing)은 아프리카 내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안 중 하나다. 특히, 2008년 급상승한 국제 식량 가격과 원유 가격은 선진국들과 신흥 개발국들로 하여금 그들의 식량 안보 및 에너지 안보 해결을 위한 방안을 빠르게 강구하도록 이끌었고, 아프리카 국가들의 토지를 사용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방안으로써 대두되어 토지횡령에 대한 이슈가 더욱 커졌다. 대부분의 기존 토지횡령 연구는 토지횡령자를 규명하는데 집중하고, 공동체의 불만이나 경제적 손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는 토지횡령으로 인해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공동체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토지횡령 연구의 결여점이다. 본 연구는 말라위의 사탕수수 재배 지역인 드왕그와(Dwangwa)에서 설탕 산업으로 인해 강제 이주를 경험한 카옹고지(Kaongozi) 공동체의 시각에서 토지횡령를 해석함으로써 기존 토지횡령 연구의 결여점을 보완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카옹고지 지역 공동체에 있어 토지횡령이나 이주라는 용어의 중요성이 크지 않고, 이들의 불만과 경제적 고통의 원인이 ‘토질’이나 ‘지형’과 같은 일차적인 환경 차이, 혹은 변화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규명했다. 토지횡령은 경제적 논리를 넘어 마리팽가(Malipenga), 치오다(chioda) 춤과 같은 전통과 문화의 소멸을 초례하고 있다. 또한, 공동체들에게 있어 토지 횡령자의 규명보다 현재 이들이 처한 상황을 개선해 줄 수 있는 행위자가 더 중요하다. 기존 토지횡령 연구들이 이런 중요한 사안들을 규명하지 못한 이유는 전반적으로 이들이 공동체들이 이주했던 과거의 상황과 횡령자 규명에만 집중하고 있고, 공동체의 시각이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전반적인 토지횡령 연구가 과거의 정치·경제적 시각에서 벗어나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해석하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진전이 이루어질 시 전통·문화의 소멸과 변화와 같은 새로운 주제와 융합되어 한 단계 진보한 연구주제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Since 2000, land-grabbing issues in Africa have been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Most existing studies focus on analyzing the main actors which contributed to land-grabbing. Unfortunately,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communities’ perspectives are not fully analyzed. Accordingly, this quantitative study aims to analyze land-grabbing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ty.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Kaongozi community in Malawi, it endeavoured to discover points that may have been missing(or absent) in previous land-grabbing studies. This study finds that the biggest challenge the Kaongozi community faced since their displacement from the previous settlement(Matiki) was environmental change. Poor soil condition and rocky topography in Kaongozi changed how they identify themselves from ‘Matiki community’ to ‘poor people’. Further, the performance of their traditional dance such as Malipenga and Chioda has also ceased following their forced relocation. In other words, land-grabbing has also influenced the community’s culture. Additionally, the community did not identify a specific actor as the cause of their displacement but a combination of different actors. However, they did not appear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finding the actual land-grabber but rather to an individual or individuals that could provide compensation for the hardship they experienced. From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existing studies miss out on many important points as they ignored communities’ perspective on land-grabbing. And the key reason behind it is because researchers still tend to focus on at the time when the displacement occurred. This naturally makes them continue to focus on finding the land-grabber. It is time for researchers to move to the next phase of land-grabbing studies which is to focus on communities’ perspective. This will not only enrich the study but also can bring about new research topic by relating land-grabbing and loss of traditions and culture as found in this study.

      • KCI등재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미세조류(microalgae) 개발과 잠재적 기여도 분석

        배유진(Bae, Yuh-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2 No.-

        아프리카는 빠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어 향후 대다수의 국가들이 더 많은 에너지 공급원을 필요로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환경오염 감소 부문은 아프리카를 포함한 전세계 국가들로 하여금 대체에너지, 또는 재생에너지 개발 및 투자를 증진하게 했고 이는 향후 에너지 안보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바이오 디젤을 추출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세조류(microalgae)는 대체 단백질원, 항생제, 폐수 정화 등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사용도를 자랑하는 미세조류가 경제 성장, 사회적 통합, 환경 보호 등 복합적인 지속가능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추구하는 최근 세계적 동향에 적합한 자원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논문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있어 미세조류의 개발과 사용의 기여도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미세조류가 아프리카에서 바이오 연료 추출을 비롯해 온실가스 감소, 폐수 정화 등에 일조할 수 있는 청정 에너지원으로써 에너지 안보와 환경오염 감소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세조류 섭취를 통해 아프리카의 고질적 문제인 식량 안보와 HIV/AIDS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시사한다. 또한 SDGs의 틀에서 볼 때 22개의 세부 목표와 연관됨으로써 사회적 통합/발전(대목표 1, 2, 3, 6)과 환경보호(대목표 7, 12, 14, 15) 부문목표 달성에 직 ‧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특히 바이오 에너지원 측면에서 대규모 바이오 연료 추출이 기술적인 이유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생산비가 높아 경제적으로 실용적이지 않은 현실과 아프리카 국가의 부족한 연구 및 개발 능력을 볼 때 미세조류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아프리카의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지 정확히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아프리카 국가들은 각 국가의 환경(예: 날씨, 지형, 수량 등)과 경제 현황에 적합한 미세조류를 규명한 후 연구 및 개발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기본적인 단계를 기반으로 정부차원에서 미세조류의 사용을 각 국가의 자원, 경제 정책 등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개발했을 시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목표 달성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ny African countries have experienced both rapid economic and population growth which suggest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energy in the continent. Accordingly, coinciding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global pollution issues, the development 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in Africa and the rest of the world. Microalgae is one of the more recent alternative energy sources that has gained growing attention as it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green energy source which can be used to produce biodiesel. Microalgae is also used in various other dimensions as it contains essential nutrients for human, used as antibiotics, and wastewater purification. As Microalgae can be used in diverse ways, it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seen as a holistic approach in achieving diverse aims such as economic growth, social inclus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identify microalgae’s potential contribu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by looking at different benefits that can be derived from microalgae development.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is that; as microalgae can grow in a purify wastewater, using flue gas produced from various factories for its growth, it can be considered as a green energy source which can contribute to energy security matter and reducing pollution in Africa. Further, dietary microalgae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malnutrition/poverty and reducing HIV/AIDS. In the framework of SDGs, the use of microalgae is linked to 22 specific targets which directly/indirectly contribute to achieving social inclusion(target 1, 2, 4, 6) and environmental protection(target 6, 7, 14, 15). However, the use of microalgae, especially as a source of biofuel, is not currently at a sufficient level globally. Africa also lack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city regarding in this field making it unclear whether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materialized. Accordingly, it is crucial that suffici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an identify the most suitable microalgae for individual country’s environment and economic status first, and its use must be clearly included in resources, energy, economic policies in order to bring about microalgae’s potential to the highest level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Afr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