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박중독 발생에 영향을 미친 가족 역동에 관한 연구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배영윤 ( Bae Yeong Yun ),문혜린 ( Moon Hye Rin ),최춘화 ( Cui Chun Hua ),박태영 ( Park Tai-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을 가진 내담자(대학생)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내담자가 도박중독에 이르는 과정에 관한 가족 역동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주제분석 방법으로 도출된 내용들을 표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담자의 애착의 경험 및 내적작동모델은 부모의 애착경험 및 내적작동모델과 유사성을 가진다. 둘째, 내담자의 애착경험의 반복이 내담자의 파행적인 대처방식으로 이어졌다. 셋째, 내담자의 애착경험의 반복으로 형성된 파행적인 대처방식은 도박중독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도박중독을 가족체계적 관점과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도박중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도박중독에 빠진 내담자를 상담하는 가족치료사들에게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family dynamics related to the onset of gambling addiction of a college-aged client by examining a family therapy case of a college student with gambling addiction. Methods: This research displays the findings via matrix and conceptually clustered network after conducting thematic analys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therapy data and to analyze implicit and explicit ideas. Result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lient’s unstable attachment experiences and internal working model were similar to the client’s parents’ experiences and internal working model. Second, the repeated unstable attachment experiences led the client to develop destructive coping behaviors. Third, destructive coping skills formed by the repeated attachment experiences led to gambling addictio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examined family dynamics related to the onset of the client’s gambling addiction based on family systems theory and attachment theory and that it provides informative data for family therapists who treat clients with gambling addiction.

      • KCI등재

        이혼 부부의 재결합을 위한 통합적 가족치료 사례연구

        최춘화 ( Cui Chun Hua ),배영윤 ( Bae Yeong Yun ),문혜린 ( Moon Hye Rin ),박태영 ( Park Tai-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는 이혼 후 재결합을 준비하고 있는 부부의 대한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부부의 이혼에 영항을 미친 요인, 상담자의 개입기법 그리고 부부의 재결합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중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주제분석방법과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이혼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남편의 외도, 역기능적 가족구조, 부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원가족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의 전수, 부부의 애착 문제 그리고 전이 감정이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상담기법으로는 가족구조에 대한 설명, 외도에 대한 재명명과 수용적 태도, 원가족에서 전수된 표현방식 설명, 전이감정 설명, 재결합에 대한 부부의 명확한 의사 탐색, 새로운 의사소통방식 지도, 재결합 방식 제시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치료를 통한 부부의 재결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부부의 인식변화, 의사소통방식의 변화,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와 부부관계 변화의 유지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a family therapy case for a divorced couple preparing reunion in order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uple’s divorce, the counselor’s intervention techniques,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couple’s reunion. Methods: This study used case study metho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used an thematic analysis which includes identifying, describing, and analyzing ideas from data and a network to display the finding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influencing the couple’s divorce were the husband’s affair,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the couple’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transmission of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amily of origin, the couple’s attachment problem, and the transference feeling. Second, the therapist’s counseling techniques included explanation of the family structure, relabelling and acceptive attitudes toward affairs, explanation of the expression method transmitted from the family of origin, explanation of transference feeling, and the exploration of couple’s clear opinion about reunion, coaching new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uggestion of reunion method. Third, the factors contributing the couple’s reunion through family therapy were changes of couples’ perception, changes of communication method, expectations for a new beginning, and maintenance of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

        개인발달단계에 따른 공황장애 발생과정에서 나타난 가족 역동에 관한 연구

        문혜린 ( Hyerin Moon ),최춘화 ( Chun Hua Cui ),배영윤 ( Yeong Yun Bae ),박태영 ( Tai-young Park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를 가진 대학생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내담자의 개인발달단계에 따른 공황장애의 발생과정과 가족 내 역동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으로 복잡한 현상과 맥락을 파악하는 데 있어 유용한 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분석방법으로는 상담 자료로부터 확인하고 묘사하고,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아이디어를 분석하는 주제분석 방법과 매트릭스와 개념적으로 군집화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개인발달단계에 따라 가족 내에서 경험한 사건들과 이를 통해 모델링한 내담자의 전략 간의 역동이 공황장애를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임신 전기에서, 내담자 부모의 미해결된 감정과 부모의 스트레스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에 언니에 대한 부모의 폭력적 태도와 내담자에 대한 편애, 그리고 마스코트 역할의 모델링이 나타났다. 셋째, 학령기에는 내담자 언니의 불안발작과 가족불안의 표면화, 찬밥 신세, 감정억제의 모델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기에는 압박감의 강화, 내담자의 불안 증폭, 그리고 병리 동화의 모델링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공황장애를 발생시킨 과정을 가족체계론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가족 내의 체계적 속성의 중요성을 보여주었고, 모델링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가족적인 접근에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Using a family therapy case study,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a college student's panic disorder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family dynamics. Method: We employed a case study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useful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omplex phenomena. Using thematic analysis to analyze the transcripts and counseling memos, the findings were displayed in a matrix and conceptually clustered network. Results: The client's panic disorder appeared to develop through the process of modeling family members and experiences during the client's developmental stages. First, during pre-pregnancy, the client's parents experienced unresolved emotional stress. Second, during childhood, violent parenting towards the client's sister, preference towards the client, and modeling of keeping parents happy were found. Third, during early school years, the client’s older sister’s anxiety-based convulsions and the externalization of family anxiety, being on the short end of the stick, and the modeling of suppression of emotions were found. Lastly, during adolescence, the client's modeling presented increased oppression, increased anxiety, and pathology accommoda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anic disorder based on the family system approach. This research also presented the importance of family systemic attribution in regard to occurrence of panic disorder and introduced modeling as a new concept of familial approach.

      • KCI등재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체계의 해체와 재결합 과정에 대한 연구 -이혼과 재결합을 경험한 부부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최춘화 ( Cui Chun Hua ),문혜린 ( Moon Hye Rin ),배영윤 ( Bae Yeong Yun ),박태영 ( Park Tai-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에서는 가족생활주기에서 나타난 가족체계의 해체와 재결합 과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주제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 전 단계에서는 불안정한 부부체계의 형성, 부부체계의 갈등 발현, 자녀의 부적응 발현, 가족체계의 갈등 증폭, 가족체계의 갈등 폭발과정이 나타났다. 둘째, 이혼 단계에서는 합의되지 않은 별거와 소송이혼으로 인한 부부체계의 해체과정이 나타났다. 셋째, 이혼 후 가족 단계에서는 독립을 향한 노력, 불안의 증폭으로 인한 자녀의 단절, 독립의 좌절이 나타났다. 넷째, 재결합 단계에서는 첫 번째 우발적 재결합 시도의 실패, 재결합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새로운 관계 형성 시도, 부부체계의 재결합, 자녀체계의 재결합 과정이 나타났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es of divorce and reunion of a couple based on their family life cycle. Methods: This research used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o analyze implicit and explicit ideas from the counseling transcript and counseling log. We employed the thematic analysis to display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arriage stage, the client couple had an unstable marital relationship, marital discord, children’s maladjustment, family conflict, and aggravation and explosion of family conflict. Second, in the divorce stage, the client couple underwent separation without consent and family dissolution through divorce suit. Third, the post-divorce family stage was characterized by struggles for independence, children’s cutting off their parents due to increased anxiety, parents’ confusion caused by failure to achieve independence, and loneliness and regrets about the lost family. Fourth, the reunion stage included the failure of the initial, impulsive attempt to reunite, the conflict between the fear of failure to reunite and the desire to restore family, insight into conflicts in the previous marriage and changes, and planning for a new life, and the reunion of the couple and the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