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제내훈」의 화용적 변이에 대한 고찰

        방향옥 ( Xiang Yu Fang ) 동양예학회 2011 東洋 禮學 Vol.25 No.-

        본고는 근대국어의 문헌자료인 「어제내훈」 중, 화용적 변이가 시기와 관련하여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해 보고 문헌의 특징을 밝혀내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어제내훈」에 화용적 변이로 등장한 관용표현, 공대어와 하대어, 완곡어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어제내훈」에 관용적 표현으로 등장한 한자 숙어는 5개인데 모두 4자 성아로 구성되었고, 일반 숙어는 50개로 나타났다. 이 관용표현들은 대도(大道)와 인의(仁義), 부녀자로서 지켜야 할 언행, 효우(孝友), 검소 등을 호소하는 어휘소의 변이형들로서 모두 교화의 기능을 강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문헌에서 공대어와 하대어를 살펴보면, 공대어가 하대어보다 훨씬 많이 등장했는데, 문헌에서 공대어는 정면적인 교화를 위해 씌었고, 하대어는 교화를 위한 대조적 수법, 부녀자들을 훈육하기 위하여 지키지 말아야 할 도리를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다. 문헌에서 공대어로 사용된 궁중어는 최상의 존경을 나타내는 어휘들인 동시에 한자어가 대부분 가장 높은 화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중국어의 차용어인 한자어가 고유어보다 높은 지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임금``을 나타내는 공대어가 11원 대립으로 가장 많이 등장함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그 당시 궁중에서의 임금의 강렬한 통치 세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어제내훈」에서는 완곡 표현이 5개밖에 등장하지 않았는바, 문헌 자료가 교화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완곡 표현보다는 부녀자들을 훈육하기 위한 엄숙하고 직설작인 표현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tries that I clarify a variation of the pragmatics of "EojeNaehun". "EojeNaehunt" is the bibliography which is important in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In this study, I considered variation of the pragmatics in "EojeNaehun" and connection with the time. In respect to pragmatic variation, this study examines idioms, respectful languages, disrespectful languages and euphemistical languages. The idiom that "EojeNaehun" showed includes moral principle, humanity and justice, speech and behavior to be followed by women. They were used to focus on a functional of education. Most of respectful languages that "EojeNaehun" showed wer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is to show that a Chinese character which was adopted language acquires a high position than native language in that time. Most respectful languages that came out in "EojeNaehun" were lexicon which expressed "King". It becomes the beginning to understand the strong dominance of "King" in Royal Court of that time. Euphemistical words which appeared in "EojeNaehun" were only five. It means that indicative mood was more frequently used for education of woman because bibliographical data are instructive.

      • 중국 조선족의 상장례 풍속 연구 -중국 흑룡강성(黑龍江省) 제제합이시(薺薺哈爾市)를 중심으로-

        방향옥 ( Xiang Yu Fang ) 동양예학회 2010 東洋 禮學 Vol.23 No.-

        본고는 필자의 거주지인 중국의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치치하얼시(齊齊哈爾市)를 중심으로, 현대 중국 조선족의 상장례의 세시풍속 및 그 절차와 방법을 살펴보고 전통 한국과의 상장례 차이를 중국 정책과 관련지어 밝혀보고자 한데 그 목적이 있다. 상장례 절차는 임종(臨終), 초혼(招魂), 발상(發喪)·부고(訃告), 수시(收屍)·습염(襲殮), 발인(發靷), 장례의식(葬禮儀式) 등 여섯 부분으로 구분하여 농촌과 도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상장례의 특징을 다음의 여덟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시신의 머리 부분을 문 방향으로 놓는다. 둘째, 사잣밥을 놓는 풍속이 예전부터 없다. 셋째, 시신을 담은 관이 창문으로 나갈 때 창문 위에 사발을 엎어 놓고 세 번 두드려 깬다. 넷째, 이 지역 조선족의 상장례가 현대에 이르러 극히 간소화 되어 나타났다. 이것은 중국의 정책의 변화와 중국 공산당의 무신론 사상의 주입과 직접 관련된다. 다섯째, 이 지역에서 실시 하고 있는 화장(火葬)과 장례의식이 특이하다. 전통적인 매장(埋葬)이 현대에는 의무적으로 화장(火葬)으로 바뀌었고 장례의식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규정된 격식에 맞추어 치러야 하는데 이것은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 정책, 토지 절약 정책, 유물론의 관념과 직접 관련된다. 여섯째, 시신과 영좌를 분리하여 둔다. 시신을 빈소에 두고 집에다 다시 영좌를 세워 조석(朝夕)으로 전(奠)을 올린다. 일곱째. 이 지역에 대렴(大殮)의 절차가 생략되어 나타났다. 여덟째, 치치할 시의 조선족은 집에서도 조문을 받고 장례식장에서도 조문을 받는 이중적 성격을 띤다.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the manners of funeral rites of modern ethnic Koreans living in Qiqihar city, Heilongjiang province, China and the procedures and method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 with traditional Korean funeral rites, related with Chinese policy. I divided the procedure of funeral rites into six parts such as death, rite calling the soul of dead person, telling death to others, correcting the position and cleaning of corpse, putting corpse into coffin, and funeral rite in rural and urban areas, and summarized eight characteristics of funeral rites as the following. The first step is to put the head part of corpse to the direction of door. Secondly, there has been no manners which put the food table for dead person from old days. Thirdly, when the coffin containing corpse goes out, a person breaks the turned bowl which was put after beating it three times. Thirdly, the funeral rite of modern ethnic Koreans living in this locality has been very simplified. This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change of Chinese policy and the infusion of atheistic thought of Chinese Communist Party. Fifthly, the cremation and funeral rite in this area are unique. The traditional burial has been changed into the obligatory cremation in modern age and the funeral rit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designated place according to the defined funeral rules,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environment protection policy, land sparing policy, and materialism of the Chinese government. Sixthly, the corpse is put in the place separated with the place of putting mortuary tablet. The family puts the corpse in the mortuary and set up the mortuary tablet in the house again, and give ancestral rite every morning and evening. Seventhly, the procedure of binding the corpse with line and putting it into coffin on the third day is omitted in this area. Eighthly, modern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receive condolence in both the house and the funeral hall, which has the dualistic character.

      • KCI등재

        중국 사이버 폭력 언어의 특징과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方香玉 ( Fang Xiang-yu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용봉인문논총 Vol.- No.58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사이버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과 아울러 언어폭력이 점점 심각해지면서 언어 사이버를 통한 언어 사회적 문제가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중국의 사이버 폭력 언어는 논거성, 형상성, 함축성, 구어성, 가상성 등 다섯 가지 특징을 지닌다. 중국 사이버 공간에서 나타나는 폭력 언어의 표현 양상은 크게 일반 표현 양상과 수사적 표현 양상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일반적 표현 양상은 다시 자모 표현, 숫자와 자모의 혼용 표현, 도형기호 표현, 해음 표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수사학적 표현은 은유법, 과장법, 문자분석법, 환유법, 감춤법, 특수해석법 여섯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중국 사이버 공간에서 나타난 폭력 언어에는 주로 사람의 성 기관, 성행위, 성 혼란과 관련된 욕설이 등장하고, 돼지, 개, 이리, 당나귀, 여우 등 동물에 비유한 욕설이 등장했다. 또한, 여성과 남성을 공격하는 인신공격 폭력 언어가 나타났는데, 대부분 죽음, 재산, 명예, 지위와 관련된 협박 어휘였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network, the number of people using internet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and network has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life in China. However, some problems are constantly exposed in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in which language violence becomes more serious. The cyber bullying language in China has five characteristics of argument, figuration, implication, colloquial expressions and assumption, etc. The expressive forms of bullying language occurred in Chinese cyber network were discussed in two kinds, that is, general and rhetoric expressive styles. The general expressive styles were discussed again in four: an alphabetical expression, a mixed expression of numerical and alphabetical shape. The rhetorical expressive styles were discussed in six: the metaphorical method, the hyperbole, the analytic method of alphabet, the metonymy method, the hidden method, and the particular interpretation. In bullying languages occurred in Chinse cyber network, those curses in relation to the sexual organs of people, the sexual intercourse, and the sexual disorder, and also those metaphorical curses of animals such as pigs, dogs, wolves, donkeys and foxes, etc. Also personal attacking bullying languages to attack male and female have occurred, most of them were threatening expressions in relation to death, property, honor and positions.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종성 /ㅇ/의 발음 교육 방안

        방향옥 ( Xiang Yu Fa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7 No.-

        본 연구는 중국어 화자들이 한국어의 학습에서 종성 /ㅇ/을 발음하는 데 있어서 오류를 보이는 현상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다.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에서 종성 /ㅇ/ 발음의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종성 /ㅇ/의 발음을 네 가지 유형별로 나누어 실현율을 조사하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오류분석을 펼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오류를 피할 수 있는 효과적인 /ㅇ/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essay is based on the Chinese students` pronunciation mistakes when they are enunciating Korean fulcrum /ㅇ/. The second chapter is a discussion about the fulcrum /ㅇ/ contents in Korean language text books for Chinese learners. In the fourth chapter, I analyzed the error, which the senior Korean learners made, by 4 types of fulcrum /ㅇ/. At last I found a program to avoid the error to the Chinese learners with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