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견갑난산 78 예에 대한 보고

        방재희(JH Bang),황옥민(OM Hwang),김영선(Y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6

        과거 10년간(1976∼1985) 일신기독병원에 입원하여 질식분만한 2 5kg이상 출생아 48,392예중 78예의 견갑난산을 경험하였으며 이를 분석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견갑난산의 발생빈도는 2 5kg이상 질식 두위분만 48,392예중 78예로 0 16%였고, 4kg이상 거대아 질식두위분만 1,893예중 40예로 20 1%였다 2 분만방법은 자연분만 44예(56 4%), 감자분만 22예(28 2%) 흡입분만 12예(15 4%)였다 3 산후 경구당부하검사를 시행한 31예중 13예에서 양성이 나타나 16%에 해당하였으며 이는 본병원의 과체중아에서 고혈당치를 나타낸 7 9%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4 분만 2기의 연장은 초산부 30예중 1시간이상이 13예로 43 3%며 경산부 48예중 30분 이상이 20예로 41 6%에 해당했다 5 4kg이상의 거대아는 78예중 40예로 51 3%였으며 이는 동기간의 전체 발생율 2 1%에 비해 대단히 높은 비유을 나타냈고 임신주수 42주 이상인 과숙아는 22예로써 28 2%에 해당하며 이는 전체 과숙아빈도 9 4%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6 신생아 측 합병증으로 저산소증 1분 Apgar 7점이하인 경우가 50예로 64 1%였으나 5분 Apga r7점이하인 경우는 9예로 12 9%였고 2예의 Erb`s Palsy 2예의 쇄골골절 1예에서 상완골절을 보였다 신생아 사망은 6예로 7 6%였으며 이중 2예는 저산소증(birth hypoxia)에 의한 경우였으나 나머지 4예는 선천성 기형아로서 태아수종 2예 무뇌아 1예 다발성기형아 1예였다 7 산모사망은 없었고 16예(20 5%)에서 500cc이상의 산후출혈이 있었으며 6예에서 수혈이 필요했다 8예(10 3%)에서 광범위한 질열상이 있었다 8 견갑난산의 적절한 처치로는 예견과 예방이 수반되어야 한다 거대아나 분만 2기의 지연이 견갑난산의 경계신호가 될 수 있으므로 모든 산과의사는 분만전에 태아의 크기를 잘 예측하여 4kg이상의 거대아로 예측될 때는 제왕절개술을 행함이 모체나 태아를 위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만약 예기치 못한 견갑난산에 당면한 경우 안전하게 응급처지를 할 수 있도록 산과의사들의 교육이 필요하다 Impaction of the fetal shoulders during vaginal delivery is a frightening and potentially lethal complication which requires immediate action but because of the rarity of this complication few individuals have had significant experience with it to act decisively This report presents the results of a retrospective study of 78 cases of shoulder dystocia among 48,392 vaginal deliveries at the Il Sin Christian Hospital, Pusan, from January 1976 to December 19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shoulder dystocia was 0 16% in infants weighing over 2 5Kg delivered vaginally and 2 1% in infants weighing over 4Kg 2 Among the 78 delivereis there were 22(28 2%) forcep deliveries and 12(15 4%) vacuum deliveries 3 The incidence of abnormal early postpartu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16% compared to only 7 9% in a study of large for gestational age infants at the same hospital 4 The second stage of labor lasted more than 1 hour in 13 of the 30 nullipare(43 3%) and more than half an hour in 20 of the 48 multipara(41 6%) 5 Fourty babies(51 3%) weighed more than 4000gm compared to an overall incidence of only 2 1% in vaginal deliveries during the same period and in 22 women(28 2%) the period of gestation was 42 weeks or more compared to an overall incidence of 9 4% 6 The Apgar score was 7 or less in 50 babies(64 1%) at 1 minute but at 5 minute the number was reuced to only 9 babies(12 9%) Considerable neonatal morbidity occured with 2 babies having Erb`s palsy, 2 fractured clavicle, and I fractured humerus There were 6 neonatal deaths 2 of which were due to birth hypoxia but the remaining 4 were due to congenital abnormalities, 2 cases of fetal hydrops 1 of anencephaly and 1 with multiple anomalies 7 There were no maternal deaths but 16 patients(20 5%) had a postpartum hemorrhage of 500ml or more and of these 6 required blood transfusion 8 patients(10 3%) had extensive lateral vaginal wall tears 8 Optimum management of shoulder dystocia involves anticipation and prevention

      • KCI등재

        산모의 체중과 출생아의 체중 및 산과적 합병증 고찰

        장혜정(HJ Chang),방재희(JH Bang),민보은(BE M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1983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일신기독병원에서 분만한 산모 1,207명의 임신상반기의 체중 및 임신중 증가된 체중과 출생아의 체중과의 관계 및 산과적 합병증과의 관계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임신상반기의 체중은 출생아의 체중과 P<0.01로 의의 있는 비례적인 연관관계가 있었다. 2. 임신중 증가된 체중과 출생아의 체중은 P< 0.01로 의의있게 비례적인 연관관계를 보였다. 3. 산모의 체중과 산과적 합병증과의 관계고찰을 통하여 고위험군 산모를 설정하였다. 1) 산모의 첫상반기 체중(kg)이 적을수록 빈혈의 비율은 P<0.05로 의의있게 높았다. 2) 산모의 체중이 65kg이상일 때 임신중 고혈압, 전자간증의 비율은 P<0.01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3) 임신첫상반기의 신장 대 체중이 표준체중의 10%이하의 산모군에서 저체중아, 전자간증의 비율이 P<0.05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4) 임신첫상반기의 신장 대 체중이 표준체중의 20%이상의 산모군에서 전자간증의 비율이 높았다. 5) 임신중 증가된 체중이 2.5kg미만의 산모군에서 저체중아, 임신중 고혈압, 조기진통의 빈도가 P<0.01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6) 임신중 증가된 체중이 2.5kg∼5.9kg+의 산모군에서 저체중아 및 조기진통의 빈도가 P<0.05로 통계적인 의의를 보였다. 7) 임신중 증가된 체중이 16kg이상의 산모군에서 임신중 고혈압, 전자간증의 비율이 P<0.01로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4. 산모의 임신상반기의 체중 및 임신중 증가된 체중과 분만양식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eight and obstetric outcome was studied in 1,207 patients delivered at Il Sin Christian Hospital between 1983. 1. 1 and 84. 12. 31. The maternal weight was assessed in three parameters; weight in kgms and weight for height compared to mean desirable value, at booking in the first trimester and tot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The outcome of the pregnancy was assessed by infant birth weight and condition at delivery, pregnancy complications, and method of delivery.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ll maternal weight parameters and infant birth weight -p<0.01. In particular when the booking weight was less than 45Kgm, or 10% below standard weight for height there was and increased incidence of infants weighing less than 3.0Kgm and 2.5Kgm respectively. During pregnancy if the weight gain was less than 6.0Kgm there as an increased incidence of infants with birth weight of 2.5Kgm or less. 2. The incidence of pregnancy complications was compared to maternal weight parameters and weight gai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largest number of complications. Booking weight in Kg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anemia, P.I.H. and pre-eclampsia, all p<0.05. In particular when the booking weight was 65.0Kgm or over there was an increased incidence of P.I.H. and pre-eclampsia. The maternal booking weight related to standard weight for height,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L.B.W. and preclampsia(p<0.05). When the booking weight was 10% below standard there was an increased incidence of L.B.W., and the incidence of pre-eclampsia was increased when the weight was both 10% below and 20% above standard weight for height. Maternal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B.W.I., P.I.H., pre-eclampsia and premature labour, p<0.01, and also to antepartum hemorrhage and low Apgar score,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