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관심군 고등학생의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MBSR)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반다혜(Ban, Dahye),황정하(Hwang, Jeongha)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상 관심군으로 선별된 고등학생들에게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MBSR)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이들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지속관리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상 관심군으로 확인되어 2차 심층평가가 의뢰된 고등학생 중 본인과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실험집단 남자 21명, 여자 16명 총 37명과 통제집단 남자 21명, 여자 12명 총 33명으로, 주 1회 매 50분 이상 총 8회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실험-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비교설계 모형을 설정하였고, 스트레스(PSS), 우울(CES-D), 마음챙김 척도, 정서조절양식 척도를 활용하여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프로그램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우울은 유의미하게 감소 되었고, 마음챙김 수준과 정서조절수준은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MBSR)프로그램이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 관심군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관심군 청소년을 위한 지속관리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on the mental health of high risk students identified by the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a total of 37(21 males and 16 fema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total of 33(21 males and 12 females) in the control group who obtained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rom the person and their parents. The MBSR was conducted about 50 minutes once a week for a total of 8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pre-and post-comparative design model of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 was set up, and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using Perceived Stress Scale (PSS), Depression (CES-D), Mindfulness Scale, and Emotional Control Style Scale. As a result of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level of mindfulness and emotional control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ub-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BSR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high risk students identified by the student emotional and behavioral screening tests and can be used as a continuous management program for high risk teenagers in both schools and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