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이테폭연대기를 이용한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고사연도 및 생육쇠퇴도 조사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준희 ( Jun-hui Park ),박홍철 ( Jin-won Kim ),김진원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분비나무는 국내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 7종 가운데 한 수종으로,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이 관심수종(LC, Least Concern)으로 등록하였다. 고산 침엽수종 100ha 이상 분포지역 가운데 설악산국립공원에는 75% 이상이 분비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2004년부터 발표된 여러 연구에 의하면, 현재까지도 설악산 분비나무 자생지 곳곳에서 쇠퇴 및 고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내 분비나무 집단 고사가 확인된 세 지역(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을 대상으로 나이테분석법을 통해 연구지별 생육 및 고사과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나이테분석을 위해 각 연구지 내 생육목과 고사목을 최소 10본씩 선정하여 직경 5.15mm 생장추로 생장편을 채취하였다. 분명한 나이테 경계 관찰을 위해 채취된 생장편 횡단면은 밸트사포로 연마되었다. 나이테 폭은 단위 0.01mm로 측정하였으며, 생육목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나이테폭연대기를 작성하였다. 고사목 고사연도는 작성된 연구지별 대표나이테폭연대기와 고사목 개체나이테폭연대기의 시계열 패턴 비교를 통해 밝혔다. 또한, 생육쇠퇴도를 분석하여 각 고사목의 생육쇠퇴가 언제부터 나타났는지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 < 전시-P-01 > 지리산국립공원 영신봉 구상나무의 고사연도 및 시계열적 생육패턴 조사

        박준희 ( Jun-hui Park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홍철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산업화로 인해, 지난 138년(1880~2017) 동안 전 지구 평균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평균기온이 높았던 10번 중 9번이 2000년 이후에 발생하였다. 반변 최근 10년의 강수량은 최근 30년에 비해 모든 계절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아고산대 주요 침엽수종의 생육을 위협하고 있다. 그 중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상태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지리산에서 그 분포면적은 1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리산뿐만 아니라 한라산 구상나무의 주요 생육지에서도 두드러진 감소가 관찰되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2011년 멸종위기종(EN)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상나무 고사원인 분석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지리산 영신봉 구상나무 고사목의 고사연도를 분석하고, 생육쇠퇴 및 상해수지구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다. 지리산 영신봉 구상나무의 고사연도 및 생육 쇠퇴를 조사하기 위해 생육목 10본과 고사목 20본을 선정하여 생장추를 이용해 시료를 채취하였다. 고사목 나이테연대기와 생육목으로 작성한 대표 나이테연대기를 크로스데이팅 하여 고사연도를 분석하였다. 고사 연도를 분석한 결과 2013~2015년 사이에 52.4%가 고사하였으며, 최근 10년 동안에는 90.5%가 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목의 경우, 2013년 이후부터 생육쇠퇴가 뚜렷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해수지구 발생 빈도가 1960년대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고사목은 1980~1985년, 2008~2011년 사이에 생육쇠퇴가 높게 관찰되었다. 상해수지구의 경우 1960년대에 집중되었으나, 생육목과 달리 전 생육기간에서 산발적으로 관찰되었다.

      • < 구두-B-07 > 덕유산국립공원 구상나무와 주목의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

        박준희 ( Jun-hui Park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홍철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국립기상과학원에 따르면, 최근 30년간 우리나라 기온은 20세기 초(1912~1941)보다 1.4℃ 상승하였다. 같은 기간 강한 강수량을 기록한 횟수는 증가하고, 약한 강수량을 기록한 횟수는 감소하였다. 특히, 최근 10년 동안은 모든 계절에서 강수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국내 아고산대에 자생하는 주요 침엽수의 생육을 위협하고 있다. 그 중 구상나무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으로부터 2011년 멸종위기종(EN)으로 평가되었다. 기후변화로 생육을 위협받는 수종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후요소와 수목생장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목의 생장은 형성층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분열, 확대, 비후 과정으로 진행된다. 형성층활동 기간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는 기후와 수목 생장과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본 연구를 위해 덕유산 국립공원 아고산대에서 구상나무와 주목의 형성층활동을 2년간(2017~2018) 관찰하였다. 그 결과, 2017, 2018년 모두 구상나무가 주목보다 낮은 적산온도에서 형성층활동이 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형성층활동 개시와 적산온도와의 관계를 보면, 구상나무의 경우 2017년에는 적산온도가 78.4(±14.3), 2018년에는 적산온도가 86.1(±23.3)일 때 형성층활동이 개시되었으며, 주목의 경우 2017년에는 적산온도가 127.6(±34.7), 2018년에는 적산온도가 148.5(±33.5)일 때 형성층활동이 개시되었다. 형성층활동 기간의 경우, 구상나무는 2017년에는 135.8(±8.0)일, 2018년에는 116.7(±23.5)일 이었으며, 주목은 2017년에는 78.4(±6.3)일, 2018년에는 98.5(±11.9)일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형성층활동 변화가 수목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생육기간 변화가 목재생산량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예측하는데도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주요 수종 (주목, 잣나무, 구상나무, 신갈나무)에 대한 산소동위원소연대기 작성 및 기후와의 관계 분석

        서정욱 ( Jeong-wook Seo ),정현민 ( Hyun-min Jeong ),최은비 ( Masaki Sano ),박준희 ( En-bi Choi ),이광희 ( Jun-hui Park ),김요정 ( Kwang-hee Lee ),박홍철 ( Yo-jung Kim ),( Hong-chul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17 목재공학 Vol.45 No.5

        50-year tree-ring δ<sup>18</sup>O chronologies (1966∼2015) for principle conifer tree species (Taxus cuspidata, Pinus koraiensis, Abies koreana) and Quercus mongolica at subalpine zone in Mt. Jiri were established. The establishing of tree-ring δ<sup>18</sup>O chronologies for each tree species were fulfilled using four trees, which showed the good result in cross-dating. In the comparisons between tree-ring δ<sup>18</sup>O chronologies within the same tree species all tree species showed reliable results statistically (p < 0.001), and they also showed EPS higher than 0.85. In addition to, the reliable correlations (p < 0.001) were verified between tree-ring δ<sup>18</sup>O chronologies of four tree species, as well. In the response funct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ee-ring δ<sup>18</sup>O chronologies and corresponding climatic factors, i.e., monthly precipitation and mean temperature, T. cuspidat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ay precipitation (p < 0.05) and A. korean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pril precipitation (p < 0.05). If long tree-ring δ<sup>18</sup>O chronologies of T. cuspidata and A. koreana will be established, it will be possible to reconstruct April and May precipitation in the past when we have no the meteorologic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