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가격 변화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고찰 : 한국의 패널 데이터 분석

        박철범(논평) ( Cheolbeom Park ) 한국금융연구원 2019 韓國經濟의 分析 Vol.25 No.1

        한국의 재정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택가격 변화가 어떠한 경로를 거쳐 소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평균적으로 주택가격 변화에 대한 소비의 반응은 작게 나타났지만, 가구들에 따라서 반응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주택 소유자가 고령인 가구와 다주택 소유의 가구는 주택가격이 상승할 때 소비를 증가시키지만 무주택 가구 또는 1주택 소유 가구는 소비를 감소시키거나 반응이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주택자산 효과(Housing wealth effect) 가설과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가 총부채상환비율(Debt-to-income ratio)를 강화할 때, 주택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차입제약이 강화되어 해당 규제를 받는 가구들은 소비를 감소시키는 현상도 발견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주택가격 변화가 차입제약 경로를 통하여서도 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주택과 소비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적 공통 요인(Common factor)이 중요하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Utilizing household-level panel data,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use price changes and consumption changes. Although the overall impact of house price changes on consumption is small, the responses of consumption to housing price changes are heterogeneous across households. Old homeowners and households owning multiple houses raise consumption in response to house price changes whereas young homeowners and households with one house do not. These results indicate the relevance of housing wealth effect hypothe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house price changes and consumption changes. In addition, when borrowing constraint is tightened by tightening debt-to-income ratio, households reduce the consumption even with an increase in the house price, which is also consistent with the borrowing constraint hypo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