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립생태원에 복원된 한반도숲 유형에 따른 외래식물 현황과 관리전략

        정헌모 ( Heon Mo Jeong ),홍용식 ( Yong Sik Hong ),박중형 ( Jun Hyeong Park ),원창오 ( Chang O Won ),조수현 ( Soo Hyun Cho ),이희천 ( Hee Cheon Lee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국립생태원에 조성된 한반도숲은 기후에 따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식물군락을 그대로 옮겨 복원한 생태식재림이다.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8월까지 12개 군락으로 구성된 한반도숲에서 발생하는 외래식물들을 조사하여 그 현황과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외래식물을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한반도숲의 외래식물은 총 72종류로 26과 57속 62종 10변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귀화식물은 18종으로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큰비짜루국화와 망초 등 국화과에서 15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12종, 콩과9종 등의 순으로 많았다. 귀화율은 28.1%로 신갈나무군락(냉온대낙엽활엽수림)에서 가장 높았고 전나무군락(22.0%, 아한대침엽수림), 소나무군락(15.2%, 난온대낙엽활엽수림),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15.1%, 난온대상록활엽수림), 잣나무군락(12.5%, 냉온대낙엽활엽수림), 졸참나무군락(11.6%, 난온대낙엽활엽수림), 구상나무군락(11.1%, 아한대침엽수림), 신갈나무군락(10.0%, 온대낙엽활엽수림)과 개서어나무군락(10.0%,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서어나무군락(9.8%, 온대낙엽활엽수림)과 소나무군락(9.8%, 온대낙엽활엽수림), 굴참나무군락(9.6%, 온대낙엽활엽수림) 순이었다. 한반도숲 전체의 귀화율은 6.7%였다. 도시화지수는 3.1%로 신갈나무군락(냉온대낙엽활엽수림)에서 가장 높았고 구상나무군락(2.8%, 아한대침엽수림)과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락(2.8%, 난온대상록활엽수림), 소나무군락(2.4%,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소나무군락(1.7%, 온대낙엽활엽수림)와 굴참나무군락(1.7%, 온대낙엽활엽수림) 그리고 졸참나무군락(1.7%,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잣나무군락(1.4%, 냉온대낙엽활엽수림)와 서어나무군락(1.4%, 온대낙엽활엽수림) 그리고 개서어나무군락(1.4%, 난온대낙엽활엽수림), 신갈나무군락(1.1%, 온대낙엽활엽수림) 순이었다. 한반도숲 전체의 도시화지수는 6.3%였다. 외래식물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군락의 유형에 따라 경향이 없는것으로 판단되었고 활엽수와 침엽수에 따른 경향도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온대낙엽활수림대의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의 귀화율과도시화지수는 다른 군락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온대낙엽활엽수림대의 식물군락들이 직선상인 한반도숲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외부로부터의 식물 유입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숲의 식물군락은 생태식재 후 약 1년이 되어 완전히 활착되지 않은 상태이며 가지와 잎이 적어 임상으로의 빛의 투과가 많은 상황이다. 장기적으로 한반도숲의 지속적인 관리로써 식물군락이 활착하여 수관이 더 풍성해지면 빛에 민감한 외래식물의 발생이 점차 제한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