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 미디어 효능감과 소통 지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경(Sukyung Kim),박종석(Jong sock Park),최소연(So Yeon Choi),조희성(Hee Sung Cho),김주환(Joo Han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미디어 효능감과 소통지능이 자기결정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최근의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소셜미디어의 갑작스러운 확산을 고려하여 스마트미디어 효능감이라는 변인에 주목하였다. 이에 스마트미디어 이용에 대한 효능감과 소통지능이 인간의 기본적 심리욕구,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다음과 같이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하였다. 첫째, 스마트미디어 효능감은 인간의 기본적 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하였다. 둘째, 소통지능이 인간의 기본적 심리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더해, 학기 초 변화가 심한 신입생들의 과도기적 특성을 반영하여 2,3,4 학년 집단과 특정한 차이를 보일 것이라고 보았다. 서울 시내 사립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454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얻었으며,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미디어 효능감은 예측과는 달리 자기결정성 변인이나 생활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통지능은 자기결정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신입생들은 스마트미디어 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2,3,4 학년 집단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인간의 기본적 심리 욕구와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스마트미디어 효능감과 소통지능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mart media efficacy affect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suggested by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authors of the present paper hypothesized the following: First, smart media efficacy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econd, communication competence would also contribute to one’s happiness through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Additionally, we expected certain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non-freshmen and that they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As a result, smart media efficacy did not show much effect on neither self-determination nor life satisfaction. However, people who have higher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even though the access and influence of the diffusion of digital media has increased, it is not sufficient enough to satisfy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or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