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산소성 운동이 중,고령자의 혈장 산화질소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

        박정준(JungJunPark)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중 ㆍ고령자에 있어서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에 관련된 혼란변수(confounding factor)가 유산소성 운동에 의한 NO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건강한 50-70세 52명(남: n=27, 여: n=25)에게 6개월간 3 d/wk, 70% VO<sub>2max</sub>, 40 min/d 유산소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NO는 Griess법을 이용하여 혈장 NO 대산산물(NO metabolites, NOx)를 분석하였다. 안정시 혈장 NOx와 총콜레스테롤(TC)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유의한 역상관계(각각 r= -0.313, p=.016와 r=-0.307, p=.019)를 나타냈다. 그러나 공복 혈당, 인슐린, 중성지방 (TG),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HDL-C)은 혈장 NOx와 관련이 없었다. 유산소성 운동 후 최대산소섭취량(VO<sub>2max</sub>)와 HDL-C는 유의하게(p<.05) 증가하였지만 체중, 체질량지수(BMI), 체지방률(%fat), TG, 및 공복 인슐린은 유의하게(p<.05) 감소하였다. 혈장 NOx는 운동 전 20.1±0.7 μ㏖/L에서 운동 후 19.4±0.7 μ㏖/L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TC과 LDL-C를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 분석 후 이러한 변화는 유의한(p=.002)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산소성 운동이 NO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NO 변화에 대한 TC와 LDL-C의 영향을 보정한다면 오히려 NO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xercise training affected basal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whether other confounding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basal NO production. Fifty two healthy sedentary subjects (aged 50-70 yrs, men=27, women=25) completed 6 months of exercise training at 70% of VO<sub>2max</sub>, 40 min/d, 3 d/wk. NO production was determined as the measure of plasma NO metabolites (NOx) using a modified Griess assay. At baseline, there were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basal plasma NOx levels and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s (r=-0.313, p=.016 and r= -0.307, p=.019, respectively). Fasting plasma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TG),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evels were not correlated with basal plasma NOx levels at baseline. After exercise training, VO<sub>2max</sub> and HDL-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TG, and fasting plasma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5). Plasma NOx levels were not changed with exercise training, but significantly reduced from 20.1±0.7 μmol/L to 19.4±0.7 μmol/L (p=.002) after statistical adjustment for baseline TC and LDL-C.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exercise training may not change NO production, but when TC and LDL-C levels are accounted for, exercise training may decrease NO production.

      • KCI등재

        걷기형태가 비만남자중학생의 체지방률과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박치욱(CheeWookPark),박정준(JungJunPark),양점홍(JumHongYang)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걷기형태에 따른 비만남자중학생의 체지방률과 인슐린저항성의 변화를 구명하여, 비만 예방·치료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걷기형태를 제시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N중학교 학생 22명을 지속적 걷기 그룹, 인터벌 걷기 그룹, 통제군으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운동처방은 주 5회, 30분간 걷기(지속적 걷기 그룹: 50-65%HRR, 인터벌 걷기 그룹: 65%HRR 이상 and 40-49%HRR)를 12주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two-way repeated ANOVA와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Dunca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속적 걷기군과 인터벌 걷기군은 통제군보다 체지방률 감소가 우수하였고 특히, 지속적 걷기군이 통제군보다 더 크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지속적 걷기군과 인터벌 걷기군은 통제군보다 인슐린저항성의 개선을 보였고, 운동 그룹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지속적 걷기와 인터벌 걷기 모두 비만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ive walking types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changes of body fat percent, insulin resistance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subjects were 22 obese middle school boys at N middle-school in B metropolitan area.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inuous walking group, the interval walk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random sampling. Exercise intensity was 50-65%HRR for the continuous walking group, more than 65%HRR and 40-49%HRR for the interval walking group. Th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for 12 weeks, 5 days a week, 30 minutes a da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wo-way repeated ANOVA and one-way ANOVA(Duncan) using SPSS 14.0. The body fat percentage was shown to significantly reduce in the continuous walking group and the interval walk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continuous walking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Insulin resistance was revealed to be improved more in the exercise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not showing an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ercis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walking and interval walking are both effective for obese treatment.

      • KCI등재

        탄성밴드운동이 여성고령자의 연령대별 기능적 체력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영향

        정순득(SoonDeukJung),박정준(JungJunPark),양점홍(JumHongYang)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6

        본 연구는 저항운동의 한 종류인 탄성밴드운동을 여성고령자에게 실시하여 연령대별 기능적 체력과 신체활동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운동 실시 전?후 증가율을 비교함으로써 고령자의 연령대에 적합한 탄성밴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 고령자 40명을 연령대별(65세-69세, 70세-74세, 75세-79세, 80세-84세)로 구분하여 12주간, 주 2회, 1회 30-50분간 탄성밴드 운동을 실시하여 기능적 체력과 신체활동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하지근력, 상지근력, 하지유연성, 상지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는 모든 집단내에서 향상을 보였고,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에서는 65-69세, 70-74세에서만 향상을 보였다. 하지근력, 하지유연성,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심폐지구력에서는 집단간 변화율의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상지근력에서는 65-69세, 70-74세, 75-79세가 80-84세보다 많이 향상되었고, 상지유연성에서는 65-69세가 70-74세, 75-79세, 80-84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신체활동량에서는 총에너지소비량, 활동에너지소비량에서는 모든 집단내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고, 총보수에서는 65-69세에서만 향상을 보였으며, 평균속도에서는 모든 집단내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간에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astic exercise training on function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of older women in different age ranges, and provide an appropriate elastic exercise program for each age group. The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was composed of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11-13 for 35-50 minutes, 2 times a week for 12 weeks. Forty older women were devide by classified age range into 4 groups; 65-69, 70-74, 75-79 and 80-84 years old. The measure of function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A within-group comparison revealed that all age group improved lower and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lower and upper extremity flexibility,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following elasticband exercise training except BMI, agility and dynamic balance. Based on between-grpup comparison, 65-69, 70-74, 75-79 years old groups had a greater improvement than 80-84 years old group showed a greater improvements than 70-74, 75-79 and 80-84 years old groups. In all age groups,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locomotion energy expenditure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in response to elastic band exercise. The total number of steps were increase in only 65-69 years old group. However, average walking speed did non change in all groups. Also, there were no differncese in the rates of change on any variables among the ag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