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특수교사가 국어 수업을 하며 겪은 경험과 인식을 통해 바라본 특수학급 수업의 구조적 상황

        박정옥(Park Jeong Og),문상진(Moon Sang Jin),전병운(Jeon Byung 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이 연구는 근거이론적 방법을 통해 초등 특수학급 국어교과의 수업맥락과 교사상 황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A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과정은 반복적 비교분석 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100개의 개방코딩, 29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범주가 도 출되었다. 도출된 상위범주는 패러다임별로 분류하였다.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나타 난 결과는 ‘국어수업을 둘러싼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체험과 인식의 상호작용’의 과 정모형과 ‘특수학급 국어 수업을 하는 교사를 둘러싼 구조적인 상황’의 상황모형이 도출되었다.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국어 수업’ 과정 모형은 ‘교사의 국어수업 전 배 경과 수업준비’, ‘수업상황’,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 ‘교육 현장 지원 요구’의 결과가 나타났다. ‘특수학급 국어 수업을 하는 교사를 둘러싼 구조적인 상황’의 상황모형은 ‘거시적차원’, ‘학교차원’, ‘교사차원’의 상황과 상호작용에 따라 구조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초등 특수학급 국어수업의 경험을 통해 바라본 구조 들을 해석하고 논의함으로써 특수교사의 수업상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해결해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imed at concretely and structurally apprehending the lesson context and teacher situation of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Korean subject through the grounded theoretic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10 special elementary school class teachers in the A region as the subjects. The research process was executed throug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nd 100 open coding, 29 lower categories and 11 upper categories were deduced. The upper categories deduced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relevant paradigms. Through the paradigm analysis, the interaction of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surrounding the Korean language lesson and the situation model of the structural situation surrounding the teachers teaching special class Korean language were drawn. In the Korean language lesson process model of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he following results appeared: background and lesson preparation before teachers teach Korean language , lesson situation , effort to improve the lesson , and demand for educational field support . In the situation model of the structural situation surrounding teachers who taught Korean language in the special class, a structure appear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interaction of the macroscopic dimension , school dimension , and teacher dimension . Through these results,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lesson situation of special teachers and the solution direction were examined by interpreting and discussing structures looked at through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on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Korean language les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