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학적으로 접근한 인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박일재 ( Park Il Jae ),송광철 ( Song Gwang Cheol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4 No.-

        디자인 분야에서 기호학은 매우 중요하다. 광고 및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디자인 전반의 사회 문화적 중요성이 극대화되어 가고 있는 반면, 디자인 메시지에 대한연구 특히 시각적인 메시지와 이미지에 대한 논리적 연구는 매우 취약하다. 인간의 삶은 즉 기호속의 커뮤니케이션 이라고 할 수 있다. 기호를 통하여 의미를 전달받고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인간의 삶 자체도 기호이며, 인간의 감정과 사고 모두가 기호현상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호현상들로 구성된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세계를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여 다섯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고자 하였다. 첫째. 인간과학이란 거시적 영역에서 구축해 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기호학의 위치를 조명 하였고, 둘째. 휴먼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을 고찰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학의 개요, 기호학의 입장, 기호학의 기본구조, 그리고 생활속의 커뮤니케이션 기호들을 살펴보았다. 셋째. 기호의 표현성과 의미성, 메시지와 코드, 커뮤니케이션의 6대기호, 그리고 기호-커뮤니케이션-문학의 삼각관계를 알아보았다. 넷째.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과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적 차이점을 커뮤니케이션 과정속에서 살핀다. 다섯째.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내용물, 방법론, 필요성에 대한 문제해결점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기호란 하나의 문화권 속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즉, 문화권이란 일정한 부류의 기호들을 사용하여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기호공동체”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기호란 한 문화권 내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대해서 “우리가 무엇을 알며, 어떻게 알며, 어떻게 알 수 있는가”와 같은 의미생성의 수단(means)인 것이다. Semiotics is very important in the design field. While advertisement an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the soci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the whole design has become maximized, it is very weak to logically research design messages, especially visual messages and images. Human life can be said as communication in signs. Human beings are delivered meaning and communicate through signs. Human`s life itself is a sign and human`s emotion and thought all appear as semiosis. This study examined human communication world consisting of semiosis from the a semiotic angle and divided it into five parts. First, the location of communication and semiotics built in the macroscopic area of human science was illuminated. Second, to examine the semiotic approach of phenomenon of human communication, overview of communication arts, position of semiotics, and basic structure of semiotics, and communication signs in our life were considered. Third, the expression and meaning of signs, messages and codes, and six signs of communication, and sign-communication-literature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Fourth, the essential difference of semiotic communication from human communication was examin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inally, the problems of contents, methodology, need of communication were solved in a semiotic angle. A sign plays a medium role of communication in one cultural circle. In other words, the cultural circle can be viewed as a “sign community” where mutual communication can be made using certain kinds of signs. A sign is a means of meaning production of all things existing within one cultural circle such that “what we know, how we know, and how we can know”.

      • KCI등재

        관광안내표지 정보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송광철 ( Song Gwang Cheol ),박일재 ( Park Il Ja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5 No.-

        우리나라를 방문한, 또한 어느 관광지역을 찾아온 국내.외 관광객에게 동일한 의미의 대중정보로써 관광안내표지를 서로 다르게 제시하거나, 표기의 누락 때문에 우리의 표지에 익숙하지 못한 국내·외 관광객은 사회적 의사소통(Social communication)의 혼란과 불통으로 관광에 대한 불편함과 심리적 불안감 때문에 관광에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안내표지 문화의 낙후와 저급성으로 국가 이미지(National Image)를 손상시킨다는 지적이 많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관광산업의 선진화에 걸림돌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관광표지 및 안내판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연구 배경과 목적을 설정하고 본론에서 관광안내 표지와 정보디자인으로서의 역할, 정의, 개념, 특성 등을 파악하고 문제제기 해결을 위한 사례제시와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해결방법을 모색하고 관광안내표지의 선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Since tourist information signs in Korea often suggest different information about the same information or miss out some marking, foreign as well as even domestic visitors often feel physical inconvenience and psychological uneasiness due to confused and poorly social communication. Finally, it becomes obstacle factors to tourism to Korea. Also, many people indicate that poor and backward tourist information signs damage a national image. Thus, this problem becomes the chief obstacle to the attraction for foreign visitors and the advance of the tourism industry. Despite such a serious situation,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ourist information signs or information guide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Introduction established the background and purposes of study. The main subject examined tourist information signs and their roles as information design, definitio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suggested some cases to resolve problems, and explored ways to solve through semiotic analysis of visual communication. Finally, conclusion proposed how tourist information signs can be advanced.

      • KCI등재

        전통문양이 포장디자인 개발에 미치는 연구 : 농수산물 포장을 중심으로

        박일재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2000 한국디자인포럼 Vol.5 No.-

        Recently the markets for the regional special products about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in Korea oen the era of direc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it reaches to the competition for brand image because the quality and kinds of products become high-quality and diversity.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packing design becomes larger. In addition, the global markets make the efficiency of regional special products maximize by finding out globalism from original national culture each and by developing original design with nationality being highlighted of identity different from other cultures. For this, it needs the development of packing design that symbolizes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in Korea and makes use of it in a modern style.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concept of traditional pattern and the possibility of visual development in the design and to analyse harmony with the packing design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the traditional pattern in Korea. Also it i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identity and originality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packing design in the southern western sea and to solve the problems about design that raise a value added of products and promote the sales in the global markets. And there is significant meaning in offering the basic data for original and Koreanized packing design and the image development and the study that raises a value added of special products because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packing design in the southern western sea us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 centered on the visual formative arts as the object of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지방화 시대의 지역문화 특산품 패키지 표면디자인에 관한 연구-김치 포장디자인을 중심으로-

        박일재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2001 한국디자인포럼 Vol.6 No.-

        세계시장의 개방화, 국내시장의 수입 자유화등 정치, 경제, 문화의 대변혁 속에서 지방화 시대는 한층 더해가고 있다. 지역문화의 새로운 창출과 함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지역발전에 힘쓰고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주민, 민간단체 등이 함께 노력하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룩하고 경제자립을 이룩할 수 있다. 치열한 경재의 시장에서 'WTO(세계무역기구)' 의 출범은 각 국의 경제대립은 심해지고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후진국으로 전략하고 만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근래에 들어서 선진국에서는 DR(Design Round)를 가장 주목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디자인이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경쟁력이라는 것을 느끼고 있다. 디자인의 우수함은 이젠 국가적 과제가 되어버렸다. 그런데 디자인은 중앙정부에서만 노력히 필요한 것이 아니고 지자체에서도 각기 저마다 특성을 살린 노력이 필요하며 경쟁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 문화정책을 수립하고 이해하며,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이름만 어느 고장에서 생산된 제품이다' 라고 하는것 보다는 지역의 혼과 맛이 담긴 포장디자인이 되어야만 지역 특산품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고 특성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독특한 포장디자인 개발로 문화의 전도사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그 지역 특산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가치창조를 드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장디자인이 지역문화 전달의 첨병역할을 한다는 것과 이를 반영하는 실질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기존 제품 포장디자인 요소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이미지를 반영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한 개선된 포장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특산품에 대한 새로운 방향모색과 상품이 시장경쟁력을 갖추는데 있어서 포장디자인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한다. With a large reform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cluding the trend of opening a world market and liberalization of import of a domestic market, the localization era has accelerated. To anchor local culture correctly alon with new creation, when locals and private organizations as well as local autonomous entities who strive for local development do their best,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and economic independece will be accomplished. In keen market of competition, the sailing of WTO shows that economic antagonism will get deeper and that we will slide down to an underdeveloped country if we cope with it. Recently, the focus of developed countries is on DR(Design Round) and they have realized that design is competitiveness to lead a world market. The superiority of design has become a national task. But local autonomous entities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 must strive to make the most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Also they must establish and understand a local policy of culture which can cope with the competitive time to develop products. Only package design with local spirit and taste can play a missionary role in making public the excellence of local specialty and developing unique package design, not that just indicatingwhere the product comes from. In addition, it will enhance customer's reliance and value creation about the local special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in having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product and finding out a new direction in local specialty by showing that package design plays a role of leader in introducing local culture,by analyzing the problem of existing elements of package design, and by suggesting improved design which reflects a local image and meets customer's desire as a part of substantial effor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