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전에 나타난 자비실천의 통합적 고찰

        박용식 ( Park Yong-sic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본 논문은 불교 경전에 담긴 자비의 사상과 실천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그 내용을 요약해본다면, 첫째, 자비의 방법론으로 초기경전과 부파 논서 그리고 대승경론 상에 의하면, 공통적으로 모두 신명(身命)을 바쳐 자식을 사랑하는 어머니와 같이 생명 있는 모든 중생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자비사상의 실천에 관한 경전의 교설은 다양하며, 이들 경전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은 결국 보시사상의 실천이 곧 자비행을 실천하는 것이고, 이것은 불교사회복지의 실천행에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셋째, 자비를 바탕으로 한 정신적 법시(法施)로써 불교 사회복지를 최초로 실천한 사람은 붓다였으며, 붓다의 자비정신을 이어받아 불교 사회복지사업을 실행에 옮긴 사람은 인도 역사상 최고의 군주 중 한 사람으로 거론되는 아쇼카 대왕이었다. 넷째, 다양한 경전의 교설을 통해 자비의 종교적 활용으로서 유용함은 바로 ‘보시’에 있다. 보시는 재물보시와 법시 그리고 무외시가 있으며, 물질적인 측면과 정신적인 측면으로도 자비심만 있으면 남녀노소 빈부격차에 상관없이 누구든지 일체중생에게 베풀 수 있다. 그러므로 자비는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덕목이자 가치이며, 가장 귀중한 심성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자비는 나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타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어려움과 고통을 함께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자비는 괴로워하는 중생들에게 자비심을 내고 그들이 고통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인도하는 수단이며 방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비의 실천은 인간의 행복뿐만 아니라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중생에게 행복과 안락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은 자비로운 삶을 통해 지혜를 얻는다는 것에 있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thoughts and practices of maitrī(Jabi, 慈悲) presen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o summarize the contents, the firs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itrī. First, according to the early scriptures, the sectarian treatises, and the Mahayana commentarie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we should give unconditional love to all living beings like a mother who loves her children at risk of her life and limb. Second, the doctrines of the scriptures on the practice of the ideology of mercy are diverse, and the point to be emphasized in these scriptures is that the practice of the dāna(Bosi, 布施). Ideology is ultimately the practice of mercy,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practice of Buddhist social welfare. Third, it was the Buddha who first practiced Buddhist social welfare as a spiritual dāna of dharma(Beopsi, 法施) based on maitrī. The person who inherited the Buddha's spirit of mercy and put into practice Buddhist social welfare was King Ashoka, the 3rd emperor of the Maurya Dynasty, who is said to be one of the greatest monarchs in Indian history. Forth, through the teachings of various scriptures, the usefulness of mercy as a religious application lies in the dāna. There are three types of dāna: 1) Material gifts(財物布施). 2) Teaching or dissemination of the Dharma(法布施). 3) The offering of fearlessness(無畏布施). As long as there is compassion in terms of material and spiritual aspects, anyone can give to all living beings, regardless of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Therefore, it is said that mercy is the most basic ethical virtue and value of Buddhism, and it is the nature of the mind that is most precious. Because mercy is to feel their difficulties and pains together, not centered on me but centered on others. It can also be seen that mercy is a means and expedient for showing compassion to suffering living beings and guiding them to free themselves from suffering and reach the world of enlightenment. Therefore, in the practice of mercy, the most ideal human image that can bring happiness and comfort not only to human happiness but also to all beings on this earth is to acquire wisdom through a compassionat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