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임산부의 진통중 Estradiol , Estriol, Progesterone , B-hCG, hPL 및 Cortisol의 변화

        송유봉(SY Bong),박연환(YH Park),조동제(DJ Cho),박금자(KZ Park),송찬호(CH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2

        1983년 3월부터 1984년 2월까지 만 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분만하기 위하여 입원한 산모중, 정상임신 만삭에 자연진통후 정상질식분만한 산모 10명을 대상으로, 진통중 모체 말초혈액내의 estriol, estradiol, progesterone, hPL, B-hCG, cortisol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Estriol 및 estradiol은 초기진통시에 비하여 진통이 활성화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궁경관이 완전개대시 estriol은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2 Progesterone은 진통이 활성화되고 진행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Progesterone/Estradiol의 비율은, 초기 진통시 20 4에 비해, 진통이 활성화된 후 14 3 및 13 4로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4 B-hCG 및 hPL은 진통중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5 Cortisol은 진통이 진행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human placenta produces, the protein hormones, chorionic gonadotropin and placental lactogen as well as steroid hormones, progesterone and estrogens Some evidence has been accumulated that trophoblast also synthesizes hCT, hCG,B-endorpin,a -MSH, GnRH and TRH Assuming that quantitative determinations of hormones in maternal blood during labor may give information on the hormone production, hormonal changes at the end of the pregnancy and their role in the process of the parturition, various placental hormone assays during labor were undertake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4 determinations of estriol, estradiol, progesterone, human placental lactogen,B -hCG and cortisol concentrations in the peripheral blood of 10 normal pregnant women who had been admitted for delivery at the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March, 1983 to February, 1984 at given intervals before, during and immediate after delive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the labor progressed, the estriol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2 As the labor progressed, the progesterone level was decreased, but this tendency was not significant 3 As the labor progressed, the progesterone/estradiol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4 As the labor progressed, the changes of the B-hCG and hPL level were inconsistant 5 As the labor progressed, the cortisol level was gradually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