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은 나노 와이어 기반 신축성 전극의 소재 배합에 따른 성능 최적화에 대한 연구

        조혜선(H. S. Jo),박순범(S. B. Park),김해진(H. J. Kim)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최근 4 차 산업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빅데이터, 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로 Wearable, Flexible 기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Flexible Device 들은 늘어나지 않는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복잡한 구조로 변형되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고내구성 및 높은 신축성에 따라 저항 변화가 낮은 Stretchable Device 의 연구 개발이 필수적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1 차원 Silver Nanowire (AgNW)의 농도 및 고분자 고무인 Polydimethylsiloxane (PDMS)의 제작 비율에 따른 기계적 내구성과 신축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AgNW 와 PDMS 로 제작된 전극의 경우, 신축성에 대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차원 AgNW 전극의 신축성 향상을 목적으로 PDMS 와 Ecoflex 의 비율을 조절하여 전극의 전도도 및 내구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다양한 비율로 이루어진 PDMS 와 Ecoflex 에 AgNW 를 Embedding 하여 신축성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후, 4 Point Probe (4PP)를 이용하여 제작된 전극의 전도도를 비교하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활용하여 전극의 표면을 관찰했다. 또한, 수축-인장 시험기를 통해 반복 횟수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비교하여 제작된 소자에 대한 내구성을 평가하고, 탄성계수를 비교하여 Stretchable Device 에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Stretchable Device 및 웨어러블 기기는 보다 향상된 신축성과 고성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센서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