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박순길 ( Soong Il Park ),조증열 ( Jeung Ryeul Ch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실패내성)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G광역시 A, B초등학교 3, 4학년, 학습부진 61명, 일반 61명, 전체 120명을 대상으로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 차이와 상관관계,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학습부진아동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하위영역인 자기조절효능감에서 일반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학업적 실패내성과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영역에서도 일반아동보다 점수가 낮았다. 또한 자기결정성동기에서도 학습부진아동들은 하위영역인 외적원인, 통합/확인된 원인, 내적원인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학습부진아동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신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으며, 자기조절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다. 학업적 실패내성은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에서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원인과 상관이 있다. 셋째, 학습부진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자신감과 자기조절감이며,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영역인 감정이다. 그러나 초등학생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영역인 감정, 행동, 과제난이도선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self-efficacy,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and general, Gwangju A, B 3rd grade, 4th grade, learning disabilities, 61 people 61 people general total 120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1 First,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self-regulation was achieved lower scores than general children, academic failure and subordinate area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 score was lower than in the general children. In addition,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xternal cause, identified/integration cause, had lower scores on internal causes. Secon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in the academic self confidence and self-determination of the cause and the matter is internal and self efficacy, self-determination, identified/integrated cau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causes. Subordinate area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feelings, and actions found in / unified cause, were correlated with the internal causes. Thir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s that affect the child`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the subordinate areas related to each other academic self confid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ubordinate area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is feeling. The general children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the children include the factors that influence emotions, behavior, preferred task difficulty.

      • KCI등재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유영미 ( Young Mi Yu ),박순길 ( Soong Il Park ),김영숙 ( Young Suk Kim ),서아람 ( A Ram S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읽기학습장애,쓰기학습장애,수학학습장애,사회성기술 결함에 관한 국내 문헌들을 고찰하였다.2000년에서 2012년까지 연구한 학위논문 150편,학술지 41편을 대상으로 주제별 분석을 통하여 각 영역별로 고찰하였다.읽기학습장애 논문은 54편,쓰기학습장애 논문은 65편,수학학습장애 논문은 53편,사회성기술 결함 논문은 16편이다.연구결과로는 첫째,읽기학습장애의 중재연구는 독해력 증진 전략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는데,연구의 접근성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이것은 현장연구로서 실행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둘째,쓰기학습장애의 중재연구들은 전반적으로 다양해 졌다.연구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주제도 다양성을 지닌다고 할수 있다.셋째,수학학습장애의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면서 느낀 점은 읽기나 쓰기의 분류 기준보다는 그 기준이 덜 명확하다는 것이다.후속연구들이 이루어져서 일반화 과정이 필요하다.넷째,사회적 기술 능력 향상 중재연구는 지금까지 많이 연구된 편은 아니었다.지금까지는 학습장애 아동의 대인관계 향상,주의집중 향상 등의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졌지만 협력기술,자기통제력,자기 지각 기술 등의 프로그램 모색도 필요하다.전반적으로 읽기분야의 중재연구가 가장 많았으며,상대적으로 사회성 기술 능력 향상에 관한 중재연구가 부족한 편이었다.그리고 각 분야별 분류 기준의 공통성을 찾는 것도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d on reviewing national literature on learning disabilities in reading, writing, maths, and social skill deficits. 150 theses and 41 journal articles from 2000 to 201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54 theses on learning difficulties in reading, 65 theses on learning difficulties in writing, and 53 theses on learning difficulties in maths. There were 16 journal articles on social skill defici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st the journal articles that focused on learning difficulties in reading, they tended to study strategies for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he studies on writing-related learning difficulties mainly focused on strategies for the quality enhancement of forming sentences. Third, most of the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in maths analyzed the ability to use learning strategies. Fourth, most studies on social skill deficit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effective social skill programs. Therefore, it was believed that most Korean research was directed at various areas including reading, writing, and maths. However, the need for more research on social skill deficits should be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