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음(食飮) 테이블에서의 센터피스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박반야(Park Ban Ya) 한국식공간학회 2015 식공간연구 Vol.1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식음(食飮) 테이블에 있어 센터피스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려고 하였다. 최근. 소비자들은 먹는 음식뿐만 아니라 식음공간의 데코레이션 및 분위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식음공간을 운영하는 개인사업자 또는 회사들은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식음공간의 분위기 또한 자주 변화를 주어야만 함으로 비용적 부담이 발생 할 수 있다. 테이블 TOP 5요소 중 센터피스는 이러한 비용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요소이다. 센터피스에 대한 경험과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집단을 면접함으로써 식공간에 있어 센터피스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었으며, 소비자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센터피스를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전문가들이 자주사용 하는 센터피스를 바탕으로 각 센터피스의 차이점을 조사 하였으며, 두 번째로 심층면접을 통해 확장 질문에서 세부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용에 따라 센터피스의 선호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4가지의 비용 상황을 제시하였다. 같은 조건의 센터피스 선호도에서는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들이 꽃을 선호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들은 비용이 삼만 원 이하일 경우, 꽃을 선호하였으며, 삼만 원을 초과 할 경우, 실용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초 또는 피겨린을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eference for centerpieces on eating and drinking table. Nowadays, people focus not only on food but also on decorations and ambiences when they eat in the restaurants. Therefore, owners or companies who manage restaurants should understand the new trend and changes in decorations immediately; however, staying in trend requires a lot of costs. Nevertheless, among the Table Top 5 elements, centerpieces are the easiest choice to regularly change restaurant’s decoration. During this study, interviewing industry experts who have knowledge in centerpieces revealed that the importance of centerpieces in dining space could be emphasized. Also the study shows the preference for centerpieces could effect customer’s emotion in the positive direction. First, the experts examined the provided picturers of four centerpieces, which was taken in the same condition.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extended questions and sub-questions. Finally, four cost situations were given to the expert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preference was altered by cost. In the same condition, people preferred flowers as centerpieces; however, when the cost was over thirty thousand won, candles and figurines were considered suitable instead as a result of weighing costs and practicalities. In conclusion, flowers are the best centerpieces as long as the cost is less than thirty thousand won.

      • KCI등재

        내용분석을 통한 식공간 연출 연구 동향

        박반야(Park, Ban-Ya),이지은(Lee, Ji Eun) 한국식공간학회 2016 식공간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식공간연구]의 연구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의 [식공간연구]의 주제 및 연구 방법과 대상들을 살펴보고, 식공간 연출 새로운 시장의 영역확장에 대해 재검토함으로써 (사)한국식공간학회 뿐만 아니라 연구 발전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Excel을 이용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10년의 기간을 2년씩 분류하였다. 각 연구들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유목을 분류하였으며, 각 유목의 기준점을 정의 하였다.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식공간연구] 주제 물리적 환경, 문화·고서 와 소비자행동 부분이 꾸준히 연구되어 지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과 식품 관련 주제들이 뒤를 이었음 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음식점과 음식은 꾸준히 연구되어지는 대상이며, 소비채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설문대상은 소비자가 37편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네 번째로 연구자의 수는 1인이 54편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연구자의 소속시관의 경우, 학계에 소속된 연구자와 업계에 소속된 연구자가 공동을 참가한 경우도 점차 증가 하였다. 여섯 번째, 연구의 형식은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의 형식의 비율이 높았으며, 분석방법은 빈도/기술 통계분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분석방법 수의 경우 시기가 지날수록 한 가지 보다는 3개에서 4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ning space creation management stud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development of The Table & Food Coordinate of Korea. Analysing dining space creating management study’s subjects, methods and objects of researches will help to reexamine a new field of markets and studies. By using Excel, frequency analysis was done and 10-year period was classified by two years. Based on each article’s keyword, categorical data was classified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subjects about physical evidences, culture/ antique books and customer behavior were steadily studied. Education and food were the next. Second was about research view points. Restaurants and food were consistently studied and studying about consumption channel had increased. Third was about questionnaire and survey targets. Consumer was seen as frequently as in 37 articles. Forth was about the number of researchers. 54 articles were studies by single researcher. Fifth, collaborative researches between academia and business were on the rise. Sixth, quantitative research articles’ proportion was higher than that of qualitative ones. It is also found that three to fou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used over time instead of one method.

      • KCI등재

        외식산업 서비스품질 측정모델(OOSCAPE) 연구 : 온·오프라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박반야(Park, Ban-Ya),노연아(Noh, Yeon-Ah) 한국식공간학회 2020 식공간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외식산업에서 동일한 항목으로 가지 고 서비스품질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 문제점 도출 및 소비자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 인 통합 서비스 측정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50편의 선행연구 및 일간지 302건을 내용 분석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에 대한 측정문항 350개를 추출하였으며, 전문가 집단면접 및 예비조사를 통해 측정문항들을 85문항으로 재정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조사 에서 총 32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고, 그중 부적합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30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 결과, 4개의 차원에 11개의 하부요인으로 총 49개 측정문항을 가진 온·오프라인 서비 스품질 모델 OOSCAPE가 개발되었다. 1) 서비스환경은 전문성 4문항, 오락성 5문항, 편리성 4문항, 2) 디자인환경은 공간성 4문항, 배치성 5문항, 3) 정보환경은 충분성 5문항, 주변성 3문항, 4) 상품환경은 합리성 5문항, 다양성 4문항, 상품성 5문항, 안전성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integrative service quality measuring model for companies which supply both online and offline service to customers. This model makes companies compare qualities of two services, deduce problems and analyse customer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50 preceding researches and 302 newspapers were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350 online and offline service measuring questions were extracted. These questions were reorganized by interviewing professionals and conducting preliminary surveys and 85 questions were extracted in the end. A sample of 320 surveys was collected before 20 were removed and 300 were used to derive the results. The online and offline service quality measuring model(OOSCAPE) includes 4 categories, 11 factors and 49 questionsn and they are as follows. 1) Service environment includes 4 professionalism, 5 entertainment and 4 convenience questions. 2) Design environment includes 4 space and 5 arrangement questions. 3) Information environment includes 5 sufficiency and 3 circumjacence questions. 4) Product environment includes 5 rationality, 4 variety, 5 product and 5 safety questions.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이색카페 형태와 트렌드

        노연아(Noh, Yeon-Ah),장혜진(Chang, Hea-Jin),박반야(Park, Ban-Ya) 한국식공간학회 2020 식공간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 및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색카페 형태와 현재 이색카페 트렌드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메가트렌드 기준을 바탕으로 2010년 1월 1일–2020년 9월 30일까지 포털 순위 1위인 네이버(Naver)에서 사회적 환경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사 데이터만 텍스톰 4.5를 통해 수집하였다. 키워드 “이색카페”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는 총 2,489개이었으며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빈도수가 높은 200개의 단어 중 분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121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언어들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하여 중심성을 바탕으로 중요단어와 핵심단어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핵심단어를 통해 이색카페는 복합공간으로 힐링형과 체험형의 콘셉트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2) 총 4개의 그룹이 생성되었으며 그룹 1의 추출단어는 41개로 중요단어는 총 11개이다. 그룹 2의 추출단어는 30개로 중요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그룹 3의 추출단어는 29개로 중요단어는 총 1개이며 그룹 4의 추출단어는 21개로 중요 단어는 총 7개가 추출되었다. 결과에 따른 이색카페는 소비자가 일상에서 벗어나 심리 및 육체적 안정을 위해 먹고, 마시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는 공간이며, 일상과 여유가 공존하길 원하는 니즈를 바탕으로 형성되어있었다. 현재 이색카페 소비자층은 과거에 비해 확대되고 있으므로 주요 타깃 고객층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에 맞는 이색카페를 힐링형 또는 체험형 콘셉트를 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the differentiated cafes and analyze their trends by collecting big data and using text-mining technique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news on Naver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4.5 from January 1, 2010 to September 30, 2020. 2,489 data was collected and among 200 words with high frequency, 121 key words were extracted. For in-depth analysis, important words and key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centraliti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Differentiated cafes refer to a complex space which can be divided into a healing and experience type. (2) A total of four groups were created. The first group: 41 extractive words and 11 important words. The second group: 30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third group: 29 extractive words and 1 important word. The fourth group: 21 extractive words and 7 important words. The differentiated cafes were places where customers eat, drink and experience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bility; moreover, it was formed based on the needs that daily life and relaxation should co-exist. Compared to the past, customer base visiting the differentiated cafes is getting bigg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se the target customers and decide on whether a healing or an experience type the cafe should be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