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호박 "보짱" 장기저장을 위한 염소수 및 구연산 전처리 효과

        박도수 ( D. S Park ),현재영 ( J. Y. Hyun ),권혜순 ( H. S. Kown ),정천순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6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8 No.1

        단호박 ``보짱`` 장기 저장을 위한 염소수 및 구연산 전처리 후 적정 저장온도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량손실은 염소수 처리구 보다는 구연산 처리구에서 다소 많았고, 저장온도는 7℃보다는 10℃에서 적었다. 부패율은 저장 2 개월째부터 부패하기 시작하였으며, 무처리구>염소수>구연산 순으로 나타났다. 저장온도별로는 7℃ 보다는 10℃에서 저장 5 개월까지 살균 처리구에서 2% 내외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구연산 보다 염소수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10℃보다는 7℃에서 높았다. 그리고 저장초기(약 14°Brix)부터 저장 4 개월째(약 17°Brix)까지는 증가한 다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무처리구보다 염소수처리구가 단단하였고, 10℃ 보다는 7℃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과육의 색도는 살균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고, 7℃보다는 10℃에서 다소 높게 유지되었다. 전분함량은 수확직후에는 약 20%에서 저장 1 개월째부터 감소하였고, 저장온도 및 살균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단호박의 당함량은 주로 비환원당인 sucrose 가 환원당인 glucose+fructose 함량보다 약 2 배 이상 많았다. 당함량은 구연산 처리구에서 타 처리구보다 감소폭이 많았고, 10℃ 저장보다는 7℃ 저장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총페놀함량은 저장기간 및 살균처리 구간에서 일정한 경향은 없었지만, 저장 6 개월까지 점증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proper long term storage temperature of squash ``Bochang`` after pre-treatment with NaOCl and citric acid. Weight loss was somewhat higher in citric acid treatment group than NaOCl treatment and it is lower in 7℃ than 10℃ treatment. Decay rate the loss percentage after 2 months, it appeared as Untreated > NaOCl > citric acid. In both sterilization treatment groups, storage at 10℃ is better than 7℃ and stored up to 5 months with very low difference of about 2%. Soluble solids content was higher in NaOCl treatment than citric acid and it was higher in 7℃ than 10℃. At the beginning of storage total soluble solids content (TSS) was about 14°Brix and 4 months after storage it was reached about 17°Brix and then a decreasing trend was observed. Higher firmness values were observed in NaOCl treatment than control and treatments in 7℃ were firmer than 10℃.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sterilization treatments regarding flesh color, a slightly higher values were recorded in 10℃ than 7℃. Starch content immediately after harvest was about 20% and reduced after 3 months storag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torage temperature and sterilization treatments. Squash sugar content is mainly non reducing sugar sucrose and reducing sugar (glucose+fructose) were about 2 times of the content. The decline in sugar content was higher in citric acid treatment than the others and it was higher in 7℃ than 10℃. Even though; there exist no certain data regarding total phenolic content during storage period and sterilization period, it showed a tendency to an increasing storage 6 months.

      • KCI등재

        포장소재 및 전처리가 포도의 저장중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

        박도수 ( D S Park ),정천순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1

        기존의 포도 저장을 위한 포장소재 및 전처리 방법과 탈립 및 압상 방지를 위한 에어켑 적용 필름이 포도 저장 중 상품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손실률의 경우 대조구에서 저장기간 동안 가장 적었고, SO2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포장 소재 및 전처리별SSC 함량은 저장중 소폭 감소하였으며,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 중 포도의 경도는 대조구에서 저장기간 내내 가장 높은 경도를 유지하였다. 탈립률은 대조구와 SO2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는 저장 45일 이후급격히 증가하여 상품성을 상실하였고, 대조구에서 가장 낮은 탈립률을 보였다. The effect of several packaging and pre-treatment on the quality of grapes during storage were as follow. In case of weight loss, control treatment was lowest. And SO2 treatment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 In case of soluble solid contents, all treatments decreased slightly. The firmness of the grapes during storage, in the control treatment maintained the highest firmness. In case of shattering rate, control treatment and SO2 treatment was lowest. However, other treatment, 45 days after the store was rapidly increased and lost their marketability.

      • KCI등재

        에틸렌발생 타블렛이 토마토 후숙에 미치는 효과 검증

        박도수 ( D S Park ),정천순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에틸렌 가스와 개발한 에틸렌 발생 타블렛을 토마토 수확후 후숙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색도 변화는 에틸렌 및 타블렛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착색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Hunter ``a`` 값의 경우 수확직후 -13.69에서 저장 3일 대조 구는 -3.78로 증가한 반면, 에틸렌 처리구 7.93, 타블렛처리구 8.65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도변화는 8.02 N에서 처리직후 대조구는 5.06 N, 에틸렌 처리구 2.78 N, 타블렛 처리구 3.26 N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라이코펜 함량 또한 대조구에 비해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에틸렌 발생 타블렛과 에틸렌 가스 처리가 토마토 수확후 후숙에 미치는 효과는 유사하였고, 15℃ 보다는 25℃ 조건에서 처리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existing shortcomings ethylene treatment to supplement ethylene producing tablet development and verify the effects on tomato ripening. The coloring was speeding in ethylene gas and ethylene producing tablet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ase of hunter ``a``, the store three days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13.69 to -3.78. On the other hand, ethylene treatment 7.93, ethylene producing tablet 8.65,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se of firmness, the store one days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8.02 N to 5.06 N. Ethylene gas treatment group 2.78 N, ethylene producing tablet treatment group 3.26 N, declined immediately after harvest in the 8.02 N. Lycopene content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thylene gas and ethylene producing tablet effect on the tomato ripening were similar. The treatment effect of 25℃ was clear than 15℃.

      • KCI등재

        감자 저장 중 에테폰 및 에틸렌 주기적 전처리가 맹아억제 및 칩 색상에 미치는 영향

        안기석 ( K. S. An ),홍세진 ( S. J. Hong ),박도수 ( D. S. Park ),정천순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6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8 No.2

        감자 수확 후 가공용 감자의 장기저장 시 에틸렌 및 에테폰을 10 및 20일 간격으로 처리했을 때 맹아억제 및 칩가공 후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맹아율은 저장 4개월 후에 공시한 두 품종 모두 100% 나타났지만, ‘Atlantic’ 품종은 에테폰 3% 10일 간격처리구에서 7.8%, 20일 간격 처리구에서는 28.9%로 나타났지만, ‘Du Baek’ 품종은 10일 간격 처리구에서는 4개월까지 맹아되지 않았고, 20일 간격 처리구에서도 5.6%로 현저하게 낮았다. ‘Atlantic’ 품종은 에틸렌 50 μL/L 10일간격 처리구에서 25.6%, 20일 간격 처리구에서는 46.7%로 나타났고, ‘Du Baek’ 품종은 72.2% 및 80%로 품종간차이가 있었다. 중량손실은 저장기간 동안에 무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에틸렌 보다는 에테폰 처리구에서 적었고, ‘Atlantic’이 ‘Du Baek’ 품종에 비해 현저하게 적었다. 전분함량은 두 처리 모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은 에틸렌 및 에테폰 전처리 직후 보다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많이 축적되었고, 무처리보다는 처리구에서, 에테폰 보다는 에틸렌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칩 색상은 전처리 직후 무처리구에서 두품종 모두 Hunter ‘L’ 값이 57-60이었지만, 저장 1개월째 Hunter ‘L’ 값이 약 10정도 감소한 다음 2개월부터 4개월까지 증가하였다. 에테폰 보다는 에틸렌 처리구에서 Hunter ‘L’ 값이 높았고, 처리 간격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 of ethylene and ethephon treatment on inhibition of sprouting and on chips quality of potatoes during long-term post-harvest storage period. The sprouting rate in the control group was 100% on both ‘Du baek’ and ‘Atlantic’ varieties after 4 month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thephon treatment at 10 days interval, there was no sprouting in ``Du Baek`` and there was 7.8 % in ``Atlantic``. In case of ethephon treatment at 20 days interval, sprouting rate was 5.6% and 28.9% in ``Du Baek`` and ‘Atlantic’ varieties respectively. Ethylene treatment at 10 days interval resulted in sprouting of 72.2% in ``Du Baek’ and 25.6% in ``Atlantic``. Weight loss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treatment groups. Ethylene and ethephon treatment has negligible effect on the content of starch. Reducing sugars content was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proceed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hips color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 KCI등재

        가공감자 장기저장 시 생리 및 칩 가공에 적합한 에틸렌 최적농도 구명

        안기석 ( K. S. An ),박도수 ( D. S. Park ),정천순 ( C. S. Jeo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2

        우리나라에서 대표되는 칩 가공용 감자인 ‘Atlantic`` 과’Du Baek`` 품종의 맹아억제를 위한 에틸렌 적정농도를 구명하여 장기저장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호흡량, 에틸렌 발생량 및 중량손실은 무처리구 보다는 에틸렌 처리구에서 많았고, 에틸렌 처리 농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많았다. 그리고 품종간에는 ‘Atlantic’ 보다는 ‘Du Baek’이 에틸렌 처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맹아는 ‘Atlantic’은 저장 3개월째 무처리구에서 68.9%로 많이 발생한 반면, 에틸렌 50 μL/L 처리구에서는 53.3%로 약 15% 정도 적었다. ‘DuBaek``도 무처리구에서 72.2% 그리고 50 μL/L 처리구에서 53.3%로 약 19% 정도 적어서 품종 간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10 및 100 μL/L 처리구 보다는 50 μL/L 처리구에서 적게 발생되었다. 환원당 및 전분 함량은 무처리구보다는 에틸렌 처리구에서 높게 축적되었지만, 칩가공 시 갈변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칩색깔은 저장초기에는 Hunter ‘L’ 값이 50-60로 다소 어두웠지만, 저장 4개월째는 Hunter ‘L’ 값이 50 내외로 밝은 경향을 보였다. 무처리구와 에틸렌 처리구간에 칩색깔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품종간에는 ‘Atlantic’ 보다는‘Du Baek’에서 어두운 경향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pre-treatment effect of ethylene on sprouting inhibition of tuber and keeping quality of processed chip during storage of potato ``Atlantic`` and ``Du Baek`` which were represented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out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ethylene treatment for potato storage at 15℃ and relative humidity (RH) 90±5%. For respiration rate, ethylene production and weight loss, the ethylene treated potatoe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potatoes. The higher ethylene concentrations,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It showed that ‘Atlantic’ was less sensitive to ethylene treatment than ‘Du Baek’. Sprouting rate of ``Atlantic`` control group was 68.9%. On the other hand, Ethylene 50 μL/L treatment group was 53.3%. Sprouting rate of ``Du Baek`` was 72.2% for control group and 53.3% for ethylene 50 μL/L treatment group.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ultivars. Sprouting rate showed ethylene 10 μL/L and 100 μL/L treatments were higher than ethylene 50 μL/L treatment. The contents of sugar and starch were highly decreased in the ethylene treatments than the control, thereby being not affected the chip processing browning. Hunter ``L`` value was about 50 in 4 months after storag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thylene treatment group duration in chip color. Lightness was likely much darker in ``Du Baek`` than in ‘Atlan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