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의 사실성 근거가 관객의 프레즌스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박덕춘(주저자)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영화의 사실성 근거가 수용자의 프레즌스경험과 스토리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험연구이다. 실험을 위하여 대학생으로 구성된 2개의 집단 중하나의 집단에는 사실성 근거에 관한 자막이 있는 영상을 보여주고, 다른 집단에는 자막이 없는 영상을 보여주었다. 영상을 시청한 후 각 피험자들은 설문조사에 응하였으며, 그 결과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4.1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자막으로 영화의 사실성 근거를 제시한 영화를 관람한 수용자들이 경험한 프레즌스와 회상기억이 사실성 근거가 제시되지 않은 영화를 관람한 수용자들이 경험한 프레즌스와 회상기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실성 제시 여부와 수용자들의 프레즌스 경험과 회상기억 간에는 어느 정도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영화의 사실성 근거 제시는 수용자의 재인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clue of reality of movie on viewers’presence and memory.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2 groups of subjects composed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posed to different types of video clips which were manipulated by titles about reality. After watching these video clips, each group of subject is surveyed and the result of survey questions was analysed by statistical program SPSS 14.1. This research found that subjects exposed to video clip with titles showed higher degree of presence and recall memory than those exposed to video clip without titles, and movie titles as clue of reality have correlation to some extent. However suggestion of reality clue of movie has no effect on viewers’ recognition memory.

      • KCI등재

        TV 연설에서 정치인 의상의 색이 유권자에게 미치는 영향

        박덕춘(주저자)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TV연설에서 정치 후보자 의상의 색의 느낌과 명도가 유권자의 정서와 투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실험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선거 TV연설 영상물을 대상으로 후보자 의상의 색의 느낌과 명도 등을 달리하여 조작된 4가지 영상물을 제작하여 대학생들에게 시청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4.1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따뜻한 느낌을 주는 난색의 TV연설 영상물에 노출된 유권자들은 차가운 느낌을 주는 한색의 TV연설 영상물에 노출된 유권자들보다 정치 후보자에 대해더 호감을 나타내고, 명도가 높은 TV연설 영상물에 노출된 유권자들은 명도가 낮은 TV연설 영상물에 노출된 유권자들보다 정치 후보자에 대해 더 많이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색의 느낌은 유권자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색의 명도는 유권자의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색상과 명도의 이러한 효과들은 모두 해당 정치인에 대한 투표 지지도와 연결되지 못하였다. This experiment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color tone and brightness of politician``s costume on elector``s affect, trust and support.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4 groups of subjects composed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posed to different types of TV address video clips which were manipulated by color and brightness. After watching these video clips, each group of subject is surveyed and the result of survey questions was analysed by statistical program SPSS 14.1. This research found that subjects exposed to warm color tone video clip of politician``s address showed higher degree of affect than those exposed to cold color tone video clip of politician``s address . And those exposed to bright color video clip of politician``s address showed higher degree of trust than those exposed to dark color video clip of politician``s address. However the effect of warm color tone and bright color of politician``s costume is not connected to higher degree of support.

      • KCI등재

        앵커 음성의 고저와 전달 속도가 뉴스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

        박덕춘(주저자)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뉴스 앵커의 음성의 고저와 기사의 전달 속도가 앵커에 대한 수용자의 호감도, 신뢰도, 그리고 장단기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본 연구를 위해 KBS 뉴스타임 영상물을 바탕으로 동일한 내용의 TV뉴스를 음성의 고저와 기사의 전달 속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제작하여, 대학생으로 구성된 피험자 집단에게 시청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뉴스 기사에 대한 장단기 기억과 앵커의 호감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음의 앵커 음성에 노출된 집단이 고음의 앵커 음성에 노출된 집단보다 앵커에 대해 높은 호감도와 신뢰도를 보였다. 그리고 앵커의 기사 전달속도가 느린 뉴스에 노출된 집단이 전달 속도가 빠른 뉴스에 노출된 집단보다 장단기 기억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앵커 음성의 고저에 따른 수용자의 장단기 기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앵커의 전달 속도에 따라 수용자의 호감도, 신뢰도에도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high tone and low tone of news anchor on viewer``s favor, trust,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4 different video clips made from KBS newstime video clip, were exposed to 4 university student groups and degree of favor, trust,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were measured through survey questions and analysed with SPSS program.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ose students who watched TV news with anchor``s low tone showed higher favor and trust than those students who watched TV news with anchor``s high tone, and those students who watched TV news with low speed showed better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than those who watched TV news with high speed. However the effect of high tone and low tone of TV anchor on viewer``s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was not found, and the effect of anchor``s speed on viewer``s favor and trust was not found either.

      • KCI등재

        4D와 비트박스 영화관람이 관객의 몰입과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박덕춘(주저자)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영화의 관람방식인 4D 관람과 비트박스관람이 관객들이 느끼는 영화에 대한 몰입도와 동일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영화관 출구 면접조사를 통해 살펴본 실증연구이다. 영화를 감상하고 나온 관객들을 면접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SPSS14.1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4D로 관람한 관객들은 2D로 관람한 관객들보다 몰입도와 동일시 경험을 더 크게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트박스에서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은 일반 2D 방식으로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와 비교했을 때, 몰입도와 동일시 경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영화 미디어의 관람방식인 4D 관람은 관객의 몰입도와 주인공에 대한 동일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트박스 관람방식은 관객들의 몰입도와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느낌이 생생하게 남아있는 출구 면접조사 방식으로 4D 관람방식과 비트박스 관람방식이 관객의 몰입도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empiric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4D and veatbox watching style of movie on audience``s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by exit survey at the gate of theater. Survey question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were asked and analysed by T-test of statistical program SPSS 14.1. This research found that audience who watched movie in 4D style showed higher degree of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than those who watched movie in 2D style. Though this study couldn``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between audience who watched movie in veatbox and audience who watched movie in 2D style. Conclusively watching movie in 4D style has positive effect on audience``s experience of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