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lans for the Eucharist Sacrament in The Belgic Confession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5

        The Eucharist Sacrament verifies the Words of God, guarantees the good will and grace of God, and strengthens our faith. The reason God added the Eucharist Sacrament in his gospel was to make us remember Him through his Words, and incarnate within us to bring his presence, confidence, and proof of the salvation he promised. Guido de bres, who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the Eucharist Sacrament, indicated the meaning, proper attitude, and methods in The Belgic Confession Article 29 “The true church and The false church”, Article 33 “The Sacrament”, Article 35 “The Sacrament of the Lord’s Supper.” The media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has generated cyber churches and the number of Christians not attending the church has been increasing.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significance and meaning of the Sacrament were analyzed. Therefore, churches should have more sacraments and comply the following principles. Firstly, perform the Eucharist Sacrament intactly; secondly, restore the effervescence of salvation; third, have fear and respect for God; fourth, reflect oneself before the Eucharist Sacrament; and fifth, practice the life of warm loving heart for God and neighbors. I hope the meaning of the Eucharist Sacrament, which recorded and presented in the spiritual thoughts of Guido de bres, will be reflected in the innovation of the spirit of the modern churches 500 years after the Reformation to recover its principles.

      • KCI등재

        세족식의 의미와 실천 방안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가톨릭은 7성례를 시행하였으나, 종교개혁자들은 성례전을 오직 세례와 성찬으로 제한하였다. 그러므로 세족식은 어디에서도 성례전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세족식을 강력히 시행하라고 명하신 것을 기억한다면 겸손․섬김․사랑․죄 사함․성결․영광 돌리는 삶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세족식을 현대교회는 적극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현대교회는 세족식에 대한 필요성이나 의무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현대교회는 세족식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도가 무엇인지를 깨닫고 실천하도록 그 의미를 분명히 교육하고 어린이 주일학교에서부터 지도자들까지, 각종 집회와 정기적으로 교회력에 따라 세족식을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신앙 고백을 교회 안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서만 여러 가지 신앙신조를 믿고 인식하고 동의하는 것으로 끝내 버리는 현대교회가 세족식을 통하여 생활에서 신앙이 구체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야 하며, 신앙의 진실성을 증명하는 열매들이 맺어지도록 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지금까지 기독교회는 설교 중심 예배로 신앙을 이론적으로 추구하여 다양한 신학이론의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신앙적인 열매를 맺기 보다는 오히려 개인주의, 개교회주의, 교단주의, 이기주의가 지속된다면 기독교회는 전도의 문이 닫힐 뿐만 아니라, 마지막 때에 심판을 면치 못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이 기독교회에 지속되지 않도록 현대교회가 세족식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세족식은 창조주이시며, 메시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피조물인 제자들의 발을 직접 씻어 주심에서 유래되었다(요 13:1-15). 세족식은 누가 더 크냐는 제자들에게 논쟁을 그치고 겸손․섬김․사랑․죄 사함․성결․영광 돌리는 삶을 살게 하려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허리에 수건을 두르고 무릎을 꿇고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신 예식이다. 최근 한국의 대기업들이 협력사 대표들의 발을 씻어주며 갑을 관계가 아닌 동반자 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히려 기독교회가 앞장서야 하는 것이 아닌지 현대교회 지도자들을 통해 세족식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기를 소망해 본다. Although Catholic church conduced 7 holy ceremonies, the reformists restricts holy ceremonies to baptism and sacrament. Therefore, foot-washing ceremony was not accepted as an holy ceremony by any denominations. However, if modern church remembers Jesus washed His disciples' feet and commanded to conduct foot-washing ceremony, they have to actively conduct foot-washing ceremony which has the meanings of modesty, serving, love, forgiveness, holiness and glorious life. It seems that modern church does not feel the need or obligation for foot-washing ceremony. Modern church should provide education on the meaning of foot-washing ceremony and expand it from Sunday School to leaders, from assembly to regular program to enhance the awareness of the discipleship of Jesus through foot-washing ceremony. . This article proposes that modern church in which confession is limited to the ceremony to acknowledge and agree several creeds should let faith expressed specifically in everyday life and the fruit proving the honesty of faith born through foot-washing ceremony. Until now Christian church has pursued faith theoretically in the preaching-oriented worship to developed a variety of theological theories. However, if individualism, church-centered, denomination-centered egoism continue, christian church will close the door for evangelism and cannot avoid judgment on the final day. To prevent such phenomenon from continuing in christian church, it seems that modern church needs a new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the foot-washing ceremony. Foot-washing ceremony was originated from the event where Jesus Christ, the creator and messiah, washed His creatures 12 disciples (John 13:1-15). Foot washing ceremony is the ceremony to stop His disciples' arguments on who is higher and let them live the life of modest, serving, love, forgiveness and glory, with towel around His waist and kneeling down. Recently the large enterprises of Korea washed the feet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ir partner companies to build partnership rather than subordinate relationship. It seems that Christian church has to take initiatives on it. It is desired that the leaders of modern church begins a new discussion on the foot-washing ceremony.

      • KCI등재

        미디어를 통한 전도 방안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21세기의 현대인은 미디어의 지속적인 진화로 인하여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사 회에 살고 있다. 현대인들은 미디어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하고, 친구관계를 맺고, 교 제를 지속하고, 쇼핑을 하고, 교육을 하며, 종교생활에도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다. 현 대 그리스도인은 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어도 예수께서 “이르시되 우리가 다른 가까운 마을들로 가자 거기서도 전도하리니 내가 이를 위하여 왔노라 하시고”(막 1:38), 바울 도 “그리스도께서 나를 보내심은 세례를 베풀게 하려 하심이 아니요 오직 복음을 전 하게 하려 하심이로되 말의 지혜로 하지 아니함은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헛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고전 1:17) 라고 고백한 것을 기억하고 전도의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보혈로 죄 사함을 받고 새 생명을 얻은 하나님의 자녀는 “...모든 족속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마 28:18-20),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땅 끝 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 1:8)는 말씀을 기억하고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일평생 이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그러기에 전도는 아무리 강조해 도 지나치지 않다. 기독교는 전도의 사명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구에 복음을 담아 전달하여 왔다. 현대 사회가 어린이부터 장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디어를 사용하며 살아가 고 있기 때문에 풍성한 추수를 위하여 미디어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전 도 방안을 제시하고 훈련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도는 복음의 내용이 확 실히 전달되어야 하는데 미디어를 통한 전도는 가장 정확하고, 신속하며, 많은 사람들 에게 동시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21세기에 적합한 전도방법이 될 수 있다. 미디어를 통한 전도는 특히 노방전도, 축호전도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을 직접 만 나서 전도하는 것을 기피하는 소극적인 신자들이나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이들 까지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본고의 특징은 인쇄미디어, 영 상미디어, 멀티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전도 방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 님께서는 오늘도 이 시대 믿음의 사람들을 통해 복음을 듣지 못한 이들에게 다양한 도구를 통하여 땅 끝까지 복음이 전해지기를 원하신다. In the 21st century, people's life changes rapidly due to continuous evolution of media. The modern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make friends, continue fellowship, do shopping and make religious life through media. In media era, we have to remember and take the mission work that Jesus replied "Let us go somewhere else to the nearby village so I can preach there also. That is why I have come"(Mark 1:38) and Paul confessed "For Christ did not sent me to baptize but to preach the gospel, not with the words of human wisdom, lest the cross of Christ be emptied of its power" (1Corinthians 1:17). In other words, the children of God who gain a new life by the atonement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have to remember the words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Matthew 28: 18-20) and "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comes on you; and you will be my witness in Jerusalem and in all Judea and Samaria and th the end of the earth"(Acts 1:8) and have to love God and neighbors taking this mission. Thus, it is not excessive to emphasize mission so much. Protestantism has delivered gospel effectively with various tools. Since modern society has used a wide variety of media from children to the adults,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method for mission work appropriate for media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rich harvest. Thu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alternative. Since mission shall deliver the contents of gospel clearly, mission via media is most accurate, fast and reachable to many people simultaneously, it is a proper method for mission work in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it may be a method to embrace those believers who are passive in encountering many people on a face-to-face basis such as mission on the road or visiting house or those who have negative attitude toward such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wide variety of methods for mission work through printing media, video media and multimedia. God wants to preach his Words to those who do not hear the gospel through various tool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 예배의 시공간성에 관한 연구

        민장배,김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예배가 온라인 디지털 미 디어 네이티브 세대에게 어떤 양식으로 영과 진리에 합한 신앙적 실천을 이룰 수 있 는지를 고찰한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를 마주하고 있는 현재와 다음세 대에게 신앙의 합리적 양식을 모색하여 현 신앙 공동체에 유의미한 도전을 줄 수 있 을 것이다. 한 가지 분명히 할 점은, 본 글이 온라인 예배에 대한 긍정적 측면에 대한 합당성을 논증하려는 글이 아니라는 점이다. 온라인 예배에 대한 접근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신앙 공동체가 보다 신중을 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기독교 2020년 역사상 예배가 중단된 적은 없었다. 예배의 양식은 달라졌을지라도, 예배는 계 속되어왔고, 앞으로도 어떤 형식으로든 예배는 계속 될 것이다. 예배의 형식이나 각 요소의 배열이 당시 느끼는 예배 전통과 같지 않다하여서 그것을 예배가 아니라고 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짧게, 단순하게, 혹 관습과 예배 전통에 어긋나더라도 성령 하나님께서 하나 되게 하시는 신앙 안에서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성도들은 하나님께 예배한다. 예배는 문화에 적응하기도 하며 그것과 상관없이 하나님께 나아가는 양식 을 갖추기도 한다. 이것이 예배의 자유이며 유연성이다. 예배 전체를 가능하도록 주관 하시는 분은 성령 하나님이시며, 성령께서 이를 보장한다. 따라서 문화가 예배를 통제 하거나 예배의 초월적 신비보다 앞서 위치 될 수 없다. 이런 맥락에서 예배자는 어떤 절대적인 문화적 조건과 환경에 귀속된 예배의 시간과 공간에 의존되지 않으며, 예배 자는 이런 상황에서 예배의 초문화적 신비와 초월에 동참하는 존재적 정체성을 갖는다.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 예배의 시공간적 속성은 코로나19 이전 시대와 본질 적으로 달라진 것은 없다. 다만, 시대적 상황과 조건에 맞게 적응되는 예배 양식에 따 라 예배의 시공간적 자유와 그 유연성이 예배에 참여하는 회중 공동체와 각 지체에게 이전과는 다른 외연적 변화가 찾아 온 것이다. 이것은 예배의 다양성 중 하나로 드러 나는 ‘영과 진리의 예배’가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심’ 안에서 각 성도에게 ‘신앙의 초월 적 신비’로 뉴노멀 시대적 조건에 적응하여 나타난 것이다. 이것은 결국, 예배의 ‘시공 간적 자유와 유연성’ 안에서 또 다른 한 양식의 신앙적 삶을 의미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Worship in the New Normal era Post Covid-19 can achieve Christian faith practice that fits the Spirit and Truth in the online digital media generation. This presents a meaningful challenge to the present faith community by seeking a rational form of faith for the present and next generations facing the Post Covid-19 new normal era. One thing to be clear is that this article is not intended to argue the validity of the positive aspects of online Worship. Access to online Worship is not easily accessible, because the Faith Community needs to be more cautious. Through out the whold Christian history, Worship has never ceased. Although the style of Worship has changed, Worship has continued, and Worship will continue in any form in the future. It would not be possible to say that it was not worship because the form of worship or the arrangement of its elements was not the same as the worship practice at the time. Even if it is contrary to the current Worship practice, all believers who transcend time in the faith that God of the Holy Spirit unites us can Worship to God. Worship sometimes adapts to the culture and, regardless of it, has a style to approach God. This is Freedom and Flexibility of Worship. It is God the Holy Spirit who is in charge of making the whole Worship possible, and the Holy Spirit guarantees this. Thus, culture cannot control Worship or place it ahead of the transcendental mystery of Worship. In this context, worshipers are not dependent on the Time and Space of Worship attributable to certain absolute cultur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In this situation, worshipers have an existential identity that participates in the Transcultural mystery and Transcendence of Worship. In the 'Post Covid-19' New Normal era, the Time and Space of Worship have not changed essentially from the era 'Before Covid-19.' However, according to the style of Worship that is adapted to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 times, there has been a different external change in Worship. This is how the “Worship of Spirit and Truth,” which is revealed as one of the diversity of Worship, is shown by adapting to the conditions of the New Normal era as a “Transcendent mystery of Faith” for each believer in “Being One of the Holy Spirit.” This, in turn, means another form of Christian faith life within the “freedom and flexibility in time and space” of Worship.

      • KCI등재

        가정사역을 통한 선교방안 연구

        민장배,이수환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가정은 하나님께서 세우셨으며, 교육기관으로서 기능을 가진다. 인간에게 최초의 교사는 부모이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산업화로 소득의 관심이 증대되고 이혼율 증가 등 가정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되면서 이러한 기능이 약화되거나 잃어가고 있다. 교회 는 가정사역이 단순한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전락하면서 목회자에 따라 중 요성이 매우 다르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가정사역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가정의 참 된 의미를 회복하는 사역으로 진리 안에서 가정이 세워지도록 분명한 목적이 있기에 교회가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교회는 가정사역에 대한 목회적 중요성을 깨 닫고 성경적 방안을 실천해야 한다. 즉 가정사역은 목회의 한 축이 되어야 하며, 건강 한 가정을 통해 건강한 다음 세대를 세워나갈 때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어 효과적인 선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가정사역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국교회에서 효과적인 가정사역을 실시하고 있는 세 교회의 사례 프로그램을 고찰해 본 결과 성경적 배경에 따르기보다 프로그램화 되어 가고 있는 우려가 드러났다. 이 는 가정사역이 성경적으로 진행되기보다는 가정사역 프로그램이 진리보다 더 중요하 게 여길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정사역에 대한 연구들도 이혼율 증가에 따라 후속 조치로 가정사역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가정사역은 예방적 기능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가정사역은 단순히 가정을 유지하거나 깨어진 가정을 회복시 키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가정사역은 가정을 세우신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며, 성경적 가치관을 형성하고 세상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도를 실천하도록 분명한 목 표가 드러나야 한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가정,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가정, 서로에 게 사랑을 실천하는 삶의 방향이 분명한 가정사역이 될 때 단순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효과적인 선교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사역은 성경적 가정이 세워지도록 목회의 한 축으로 여기고 실천되어야 한다. 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적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가정을 개방해야 한다. 셋째, 식탁교제를 해야 한다. The family was established by God and functions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humans, the first teachers are parents. In modern society, however, people increase interest in wealth in line with industrialization and changes in family values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increased divorce rates, so such family education function is being weakened or lost. In churches, the importance of family ministry is considered varied depending on the pastor, as the family ministry has been reduced to a simple problem-solving program. However, the family ministry is designed to restore the true meaning of the family established by God, and should not be neglected by the church, which has a clear purpose to found families on the truth. Instead, the church must realize the pastoral importance of family ministry and put its biblical plan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the family ministry should form one of the pillars of the ministry, and when a healthy next generation is established through healthy families, the kingdom of God can be expanded, thereby enabling an effective mission.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studies on family ministry have yet to be boosted. In addition, the family ministry programs of three Korean churches, known to be successful, were examined, revealing that they were being programmed instead of adhering to biblical teachings. Those cases were thought to compromise the importance of biblical truth over family ministry programs. Studies on family ministry also raise the need for family ministry as a follow-up measure as the divorce rate increases, but the family ministry is more focused on prevention. Family ministry should not be viewed as simply maintaining a home or restoring a broken home. Family ministry should define its clear goals so as to glorify the God who established the family, embrace biblical values, and practice the discipleship of Jesus Christ in the world. The family ministry will achieve effective ministry goals, rather than a simple program, only when it is devoted to restoring the family established by God, the family that glorifies God, and the family that loves each other. Thus, the family ministry should be regarded and practiced as a pillar of ministry so that a biblical family can be established. The plan for family ministr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orm a biblical view of values. Second, families need to be open. Third, table fellowship should be practiced.

      • KCI등재

        영적 안녕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죽음불안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본 연구는 영적 안녕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그리고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종교적 영적 안녕감으로 구성된 영적 안녕감이 그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노인종합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회관, 주민센터, 문화센터 등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60명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SPSS과 sobel-test를 이용하여 노인의 영적 안녕감과 삶의 질,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에서 죽음불안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종교적 영적 안녕감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실존적 영적 안녕감도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노인의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노인의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은 죽음불안에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죽음불안은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삶의 질 간을 매개한 반면, 죽음불안은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삶의 질 간을 매개하지 않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우울은 종교적 영적 안녕감과 삶의 질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우울은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삶의 질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이론적 측면에서, 노인의 높지 않은 실존적 영적 안녕감 또는 종교적 영적 안녕감으로 인해 그들의 삶의 질이 낮아질 수 있는 상황에서 우울과 죽음불안과 같은 매개요인을 찾아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천적·정책적 측면에서, 우울을 낮추거나, 죽음불안의 감소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between spiritual well-being composed of the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For the purpose, 260 data, which was surveyed from The elderly’s Welfare Centers, Total Social Welfare Centers, Senior Halls, Community Service Centers, Cultural Centers located in Kyunggi-do were utilized. SPSS and Sobel-test was methodologically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we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And, The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were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elderly’s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2) Death anxiety mediated between the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but Death anxiety did not mediate between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3) Depression mediated between the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mediated between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theoretical, it ha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found the mediated effects such as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situations that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could decrease due to the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By practical and polic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through reducing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 KCI등재

        교회의 본질적 기능인 사회봉사활동 실천 방안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1

        교회의 기능이 예배, 교육, 교제, 봉사이며, 교회를 세우는 두 기둥은 복음전도와 사회봉사로서 불가분리의 관계이며, 교회의 존재형태를 표현하는 수단임을 지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알고 있으면서도 잘 실천하지 못하여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사회로부터 부정적인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도의 문을 막아 교회의 마이너스 성장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지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사회봉사활동이 교회의 본질적인 기능이며, 성경과 교회 역사가 증명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지역 교회의 규모나 예산과 관계없이, 그리스도인은 재산의 유무나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참여 가능한 사회봉사활동을 제시하였다. 지역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은 외면하고 사회구원을 외치는 것이나, 사회봉사활동은 소극적이고 오직 복음만을 전해야 한다는 이원론적인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특히 지역 교회가 건물에만 관심을 갖고 확장을 지속하면서 사회봉사활동은 이제 전문 사회복지 기관에 맡기고 오직 복음전파만을 추구한다면 교회는 본질적인 기능에서 이탈 한 것이며, 그 결과는 사회로부터 더욱 외면당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교회는 선교초기부터 선교사들에 의하여 교육, 의료, 장애우, 사회계몽운동,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역과 함께 복음을 전파하여 대 부흥을 이룩한 사실을 기억하고 선교 2세기를 맞이하여 교회의 본질적 기능인 사회봉사활동을 전략적이고, 적극적으로 감당하여 교회에 대한 선한 이미지를 형성함과 더불어 모범적인 섬김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The functions of church include worship, education, companionship and community service. Evangelical preaching and community service are two inseparable primary functions on which church is built. Although the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are well aware that community service is the means to express the type of the church's existence, they gain negative images because they do not put it into practice well. Such phenomenon created a situation where it is hard to approach to the local community and non-christians with the gospel, which in turn led to the consistent minus growth of church. Of course, weakened community service of church is not fully responsible for the minus growth of church. However, as all kinds of statistics indicate, the community service felt by the local community and non-christians is ignorable. The financial operation of church for community service and relief also indicates that it is only 3.11%, which suggests that the current community service of church is far away from the essential function or principle of the financial operation of church.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the need for community service by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and specific measures to put it into practice in order to guide church to perform its inherent function. As the measures, this study proposes the community services that the local church regardless of its size or budget and the christians regardless of economic status or age may participate in. The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have to break out the dualistic attitude in which they only seek for social salvation ignoring gospel or only preach gospel being passive in community service. In particular, where the local churches are only interested in building expansion and they shift their responsibility of community service to the social welfare institutes, they can be regarded as deviated from the inherent function of church, which in turn results in social disregard. The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should remember that the early Korean churches were able to settle down due to the community services including education, medical services and enlightenment movement as well as evangelical preaching. They should also strategically and actively perform community service as an essential function of church to create positive image for church through exemplary serving and loving.

      • KCI등재

        세례 예비자 교육에 대한 소고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고는 초고속 성장을 지속하던 한국교회의 쇠퇴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세례 예비자 교육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라는 전제하에 세례 예비자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교육 과정과 내용을 제안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약 성경에 세례 예비자에 대한 교육 과정과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복음이 전파되고, 듣는 자가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회개가 수반 될 때 세례 성례전이 실시되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Didache』와『사도전승』에 의하면 세례 예비자 교육이 3년간 엄격하게 실시되었고, 세례 예비자에 대한 교육은 수세자로 하여금 삶의 전환, 성숙한 그리스도인, 이단에 대한 대처 등을 위한 분명한 목적을 갖고 실시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세례 예비자 교육이 약화된 시기는 유아 세례의 확대와 양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시대였다. 종교개혁자들과 독일교회가 예비자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확대하였으나, 한국교회는 또다시 양적 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세례 예비자 교육에 대한 양과 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려 형식화 하고 있다. 세례 예비자에 대한 교육의 약화는 육에 속한 그리스도인을 양산하게 되고, 장기적으로 개인과 교회 공동체의 영적인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비그리스도인들에게 기독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고, 이는 한국교회 쇠퇴에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세례 예비자 교육의 필요성을 성경과 초기 문헌을 중심으로 제기하고, 세례 예비자 교육 과정과 교육 내용을 이론과 실습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육체의 소욕을 십자가에 못 박고 성령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는 삶이 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위의 것을 생각하고 찾는 삶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혜자의 언어생활이 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삶이 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고난을 받아들이는 삶이 되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전도자의 삶을 살도록 해야 한다. 일곱째, 분노를 다스리는 절제의 삶이 되도록 해야 한다. 본고를 통하여 한국교회 목회자와 그리스도인들이 세례에 대한 바른 의미를 인식함은 물론 세례 예비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고, 세례 예비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기회가 되어 건강한 교회로 성장해 가기를 소망해 본다.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of baptism candidates under the assumption that one of the reasons for decline of Korean church is weakened education of baptism candidates and to propose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such education. Although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baptism candidate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New Testament, it is clear that the baptism sacraments were performed when the gospel is spread, and the listener receives it in faith along with repentance. In addition, according to『Didache』and『Apostolic Succession』, the education for baptism candidates was performed strictly for 3 years, which had clear purposes such as life transition of the baptized, mature christian and handling heresies. Historically the period in which the education of baptism candidates was weakened was the time whe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infant baptism was sought for. Although the reformists and German church recognized and expanded the need for candidate education, Korean church remarkably lowere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of baptism candidates and fell into formalism while they were seeking for quantitative growth. The weakening of education of baptism candidates may produce massive christians who belong to the world and bring spiritual weakening among individuals and church communities in the long term. This phenomenon may have non-christians have negative images on church, which in turn may affect the decline of Korean church.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need for baptism candidate education focusing on the Bible and the early literatures and divided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education of the baptism candidates into theory and practice to propose as follows: First, we have to crucify the desires of the nature and comply with the guidance of the Spirit. First, our life should think about and restore the above mentioned. Third, we have to say like a wise man. Fourth, we have to put neighbor loving into practice. Fifth, we have to accept the hardships. Sixth, we have to live a life like a evangelist. Seventh, we have to live moderate life controlling anger.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help Korean christians and pastors realize the true meaning of baptism as well as the need for education of baptism candidates and provide the opportunity to enhance such education to make Korean church grow healthy.

      • KCI등재

        기독교인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민장배,송진영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본 연구는 기독교인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가 그들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군포시와 안양시에 있는 방문요양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18명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방법론으로는 SPSS Indirect macro를 활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과 직무소진의 하위요인 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은 직무소진에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직무소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과 직무소진의 하위요소인 성취감 저하,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이론적 측면에서, 요양보호사의 소명의식으로 인해 직무소진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같은 매개요인을 찾아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천적·정책적 측면에서, 소명의식을 향상하거나, 직무스트레스의 낮춤을 통해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을 낮출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calling of christian caregiver and job burnout. For the study, 259 data, which was surveyed from caregivers of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 located in Anyang and Gunpo city of the south area of Kyunggi-do were utilized. Methodologically, SPSS Indirect Macro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mediated effects of job stress between calling of christian caregiver and job burnou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alling of christian caregiver was negatively influenced on job burnout. (2) Job stress was mediated between calling of christian caregiver and depersonalization, emotional exhaustion, diminished achievement, lower factors of job burnout. In terms of theoretical, it ha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found the mediated effects such as job stress, in situations that christian caregiver’s burnout could increase due to calling of christian caregivers. By practical and polic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reduce christian caregiver’s burnout through improving calling or decreasing job stress.

      • KCI등재

        John Wesley의 삶을 통한 목회자의 경건 훈련 방안

        민장배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현대의 목회자들은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을 부인하는 자들과 같이 세상에 비추어지고 있다. 혹자는 18세기 영국 국교회 사제들보다 더 정치적이고, 세속적이고, 직업적이라고 현대 목회자들의 모습을 평가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상황은 목회자들이 초기부터 경건 훈련을 소홀히 하고 있기 때문이다. 18세기 세속정치와 오락에 심취하고 직업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던 영국 교회에 경건한 삶의 본이 되고 완전한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도록 영향력을 끼친 John Wesley는 어머니 Susanna Wesley의 가정교육, 성결한 모임을 결성, 경건 서적과의 만남, Aldersgate Street 집회 참여, 자기 성찰의 기도 등을 통하여 일평생 경건한 삶을 살뿐 아니라 많은 영향력을 끼친 목회자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Wesley의 경건한 삶에 영향을 끼친 요인들을 중심으로 현대 목회자들이 실천할 수 있는 경건 훈련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목회자 가정에서 규칙적인 생활과 절제 훈련 등을 해산하는 고통을 겪는 심정으로 자녀들에게 실시해야 한다. 둘째, 성경을 읽을 때는 하나님을 의식하며 경외하는 마음으로 읽어야 하며,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차례대로 정기적으로 읽고, 내게 명령하시는 말씀으로 듣고, 순종하려는 자세로 읽어야 하며, 가족과 양 무리들에게 가르치려는 마음으로 실천의 본을 보이려는 자세로 읽고, 성경 읽기를 위한 모임을 구성하여 읽어야 하며, 눈을 열어 주의 율법의 놀라운 것을 보기를 원하는 마음으로 읽고, 육체의 소욕을 통해 받을 심판의 말씀을 주의하며 읽고, 경건한 삶을 주제로 설교와 성경공부에 관심을 갖고 읽어야 한다. 셋째, 개인적으로 매일 경건 서적을 읽을 시간과 장소를 정하여, 경건한 삶을 위한 실천 사항을 순수한 마음을 깨닫기를 기도하는 마음과 정독을 하는 습관을 갖고, 경건 훈련에 도움이 되는 주요 내용을 공격적으로 활용하고, 삶에서 열매로 맺어지기를 성령에 의탁하는 마음으로 기도하고, 목회자들과 경건 서적을 읽는 모임을 정기적으로 갖고 서로 깨달은 내용을 나누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넷째, 자기 성찰과 회개 기도를 통하여 경건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기타 방법으로는 주재권이 분명해야 하며, 자족의 비결을 배우고, 육체의 소욕을 십자가에 못 박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경건 훈련을 위한 모임을 결성하는 방안이다. Contemporary pastors may look pious but are often seen together with those who deny the power of piety. Some might say that they are more political, secular, and professional than those of the 18th century English national church. This is because these pastors did not pay attention to piety training from the beginning. John Wesley became a model of pious life and had an influence over churches of England which were interested in secular politics, entertainmen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o live lives of sincere Christians in the 18th century. Education at home provided by his mother, Susanna Wesley, establishment of groups for holiness and purity, encounter with piety-related books, participation in the Aldersgate Street demonstration, prayers of self-reflection were the elements of his lifetime piety and the force which made him become a very influential pastor. The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ways for piety training to be conducted by contemporary pastors based on the factors which have affected piety in life of Wesley. First, families of pastors shall provide regular lives and self-control training to children with the utmost dedication. Second, when reading the Bible, we shall be conscious of and fear God, read from Genesis to Revelation regularly, listen to God's order, and maintain an attitude of obedience. We shall maintain an attitude of practice and teaching for families and establish groups to read the Bible. When reading, we shall open our eyes and pray to witness miracles of God's commandments, think of the words of the judgment to be given against physical desires, and take interest in sermons and the Bible. Third, time and place to read piety-related books personally shall be decided with a habit of praying and perusal. Also, we shall use information helpful for piety training aggressively and pray that this results in fruition in our lives with our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At the same time, we shall have regular chances to read piety-related books with pastors ad discuss our realization. Fourth, piety training shall be conducted through self-reflection and repentance. As for others, we should maintain clear ownership, learn about the secrets of self-sufficiency, render physical desires to the cross, and finally, set up a group for piety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