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적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미친 영향

        민규량 ( Gyuryang Min ),이철희 ( Chulhee Lee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0 勞動經濟論集 Vol.43 No.4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이 보육시설공급률에 따라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육시설공급률이 높을수록 보육료 지원에 의해 보육시설 입소에 유리한 다자녀모의 경력유지 확률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첫째 자녀의 출산율이 높아졌고,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경우에는 보육비 지원 이후 둘째 자녀 출산율도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보여 준다. 이는 보육료 지원정책의 효과가 출생순위에 따른 보육시설 입소 우선순위, 거주지역 보육시설의 양적, 질적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provision of full child care subsidy to infants and toddlers differently affected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rate depending on the level of supply of child care centers in the place of residence. Our results on labor supply show that the higher the supply rate of childcare centers in residential are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career maintenance for multi-child mothers who are more likely to be admitted to a childcare facility. The results on the fertility rate show that the first child's fertility rate has increased since the support of childcare expenses in areas with higher rates of childcare centers. In the places where the supply rate of publicly-funded childcare centers is high, the second child's fertility rate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support of childcare expenses. This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child care is an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birth rat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child care support on women's labor supply and fertility rate may differ depending on the priority of entering child care centers according to birth order and the degre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pply of child care centers in the place of residence.

      • KCI등재

        어린이집 시간연장보육이 부모의 실업, 노동시간 및 삶의 만족감에 미친 영향

        민규량(Min, Gyuryang)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들을 위해 어린이집에서 시행하는 시간연장보육정책이 영유아부모의 노동공급과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연장보육정책의 효과가 어린이집 공급률의 영향은 받지 않는 반면, 국공립어린이집의 공급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의 공급이 높은 지역에서는 시간연장보육비율이 1%p 증가할때 영유아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약 0.1점가량 증가하는데 이는 평균값 대비 약 3%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시간연장보육비율이 1%p 증가할 때, 국공립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영유아모의 실업률이 0.1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은 시간연장보육정책이 영유아부모의 실업감소 및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보육시설의 충분한 공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time extension childcare policy implemented at child care centers for dual-income couples on labor supply and life satisfaction. The paper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time-extended childcare policy is not affected by the supply rate of childcare centers, while it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upply of publicly funded childcare centers. Specifically, in areas where the supply of publicly funded centers is high, when the ratio of time-extended childcare increases by 1%p, the satisfaction level of infants’ life increases by about 0.1 points, which means about 3%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Also, when the ratio of time-extended childcare increased by 1%p, the unemployment rate of infants and children decreased by 0.17%p in areas with a high supply rate of publicly funded childcare centers. The ideal suggests that the time-extended childcare policy requires a sufficient supply of reliable childcare facilities to reduce unemployment and enhance life satisfac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