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천자 3,503예에 대한 세포 유전학적 분석: CUMC 경험 (2)

        박인양 ( Park In Yang ),신종철 ( Sin Jong Cheol ),김석찬 ( Kim Seog Chan ),안현영 ( An Hyeon Yeong ),문희봉 ( Mun Hui Bong ),박철훈 ( Park Cheol Hun ),이희중 ( Lee Hui Jung ),이영 ( Lee Yeong ),나종구 ( Na Jong Gu ),김수평 (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목적 : 산전 유전진단을 위해 시행된 양수천자술을 이용한 염색체 분석의 검사 이유와 결과를 분석하여 임신 중기 양수천자술의 효용성과 적절한 검사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세포유전연구실에서 1997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산전유전진단의 적응증이 있거나 유전상담 및 본인이 원하여 양수천자술에 의한 염색체 검사를 시행 받은 3,50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총 대상 임신부 3,503예 중 Objective : To analyze chromosomal abnormalities according to patient`s age and indications of patients in midtrimester amniocentesis for prenatal genetic diagnosi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503 cases of midtrimester prenatal genetic amnioc

      • KCI등재

        배양된 인간 영양배엽세포주에성 ATP와 Adenosine이 세포 성장과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영향

        박인양 ( Park In Yang ),이지현 ( Lee Ji Hyeon ),이권행 ( Lee Gwon Haeng ),양동은 ( Yang Dong Eun ),문희봉 ( Mun Hui Bong ),김사진 ( Kim Sa Jin ),신종철 ( Sin Jong Cheol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세포외액의 ATP와 Adenosine의 인간태반에서의 작용은 규명되어 잇지 않았으냐, 세포의 성장과 국소적 혈류 조절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ATP와 Adenosine이 인간영양배엽세포에서 세포성장과 세포고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TL 세포주에 다양한 농도의 ATP와 Adenosine을 처리한 후 24, 48, 72시간 배양하여 각 농도별, 배양시간별 세포성장을 측정하였으며, 아폽토시스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Hoechst 3258 염색으로 세포내의 질과 핵의 농축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각 군의 p53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 TL 세포주의 성장은 ATP와 Adenosine 처리군에서 약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ATP 보다는 Adenosine 처리군에서 세포성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Hoechst 33258 염색을 한 결과, ATP 처리군에서 세포질과 핵의 농축과 DNA 분해 소견이 명확히 나타났으며, p53 단백질의 발현은 Adenosine 처리군에서 ATP 군 보다 강하고 신속하게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부터 ATP와 Adenosine이 인간의 영양배엽세포에서 세포고사를 유발하여 성장을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아폽토시스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간전증이나 자궁내 성장 부전과 같은 비정상 임신에 ATP나 Adenosine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Although nucleotides -like Adenosine Triphosphate (ATP) and its derivatives Adenosine, were known to induce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 diverse cell lines, little is known about their effects on trophoblast. Objective : To elucidate the effects of extracellular ATP and adenosine on trophoblast cell growth and to delineate if apoptosis is involved in this mechanism. Materials and Methods : We used TL cell line, derived from human term placenta. The cells were cultured for 24, 48, and 72 hours after being treated with ATP and adenosine, each. Also, cell growth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TP and adenosine was evaluated. To test whether apoptosis was induced by each nucleotide, DNA fragmentation and nuclear condensation by Hoechst 33258 stain and P53 protein expression were evaluated. Results :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ATP and adenosine in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adenosine was stronger than ATP, whereas sings of DAN fragmentation and nuclear condensation were observed in ATP treated cells, but not in adenosine treated ones. Conclusion : Our results shows that ATP and adenosine exert inhibitory effect on growth in TL cell li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thological production of ATP or its metabolites, adenosine, may lead to a pathologic status such as preeclampsia or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 KCI등재

        난소임신에 대한 임상분석

        이연정 ( Lee Yeon Jeong ),신화정 ( Sin Hwa Jeong ),진태영 ( Jin Tae Yeong ),김수연 ( Kim Su Yeon ),김소영 ( Kim So Yeong ),박인양 ( Park In Yang ),안현영 ( An Hyeon Yeong ),문희봉 ( Mun Hui Bong ),신종철 ( Sin Jong Cheol ),김수평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9

        목적 : 최근 여러 원인에 의하여 자궁 외 임신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있다. 이중 특히 난소임신의 경우 아직 명확한 수술 전 진단 기준이 정립되지 못한 상황이다. 임상적 고찰을 통하여 향후 난소임신이 의심되는 경우 진단에 도움을 얻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방법 : 199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받았으며 조직 검사상 난소 임신으로 진단된 2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진단시 Objective : The frequency of ectopic pregnancy has been recently increased by various causes. Especially in ovarian pregnancy, definitive preoperative diagnostic criteria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is aimed to focus on helpful clinical charac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