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결정요인 : 세무요인과 비세무요인을 중심으로

        무원원(Wu Yuanyuan),곽지영(Kwak Ji-young)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5 No.1

        본 논문은 중국에 직접투자를 하고 있는 나라들을 대상으로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중국이라는 급부상하고 있는 매력적인 시장에 투자하는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세무요인(법정세율, 관세율)과 비세무요인(GDP, 임금수준, 거리, 기술차이, 문화적 차이, 연도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다. 외국인직접투자금액의 누계액에 세무요인 및 비세무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무변수 중에서는 관세율차이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법정세율은 유의적이지 않았다. 즉 현지국의 관세율이 본국의 관세율보다 높을수록 현지국에 대한 FDI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비세무변수 중에서는 투자자 본국의 GDP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국의 GDP가 클수록 현지국에 대한 FDI유입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국과 현지국의 임금수준과 양국 간의 기술이이용수준의 차이도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국과 현지국의 거리가 멀수록 외국인직접투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국과 현지국의 문화차이 또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글로벌화 되어가는 경제 환경에서는 문화적 차이의 극복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전태영, 변용환 2010) This paper is a direct investment in China,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the country aim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Especially that of China emerging as an attractive market to invest in the determinants of FDI to the tax factor (statutory tax rates, tariffs) and non-tax factors (GDP, wage levels, distance, technical differences, cultural differences, year, etc.) separated by a previous studies in that it looked at and differentiation. The cumulated amount of FDI in the various tax and non-tax factors, factor analysis of the impact, the tariff of the tax variables,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utory tax rates did not never mind. That local country s tariff rates higher than the tariff for local country appeared to be decreasing FDI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Non-tax variables, the GDP of the home country of the investor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respectively. The country s GDP is larger local country which means that a lot of FDI inflows. Local country-home contry and wage levels and the use of technology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difference in levels, respectively. However, the distance is farther local country-home contry and FDI decreased. In addition,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home and local country did not show a significant factor. This is becoming globalized economic environment that is relatively easy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makes it possible to interpret(Jun Tae Young, Byun Young Whan. 20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