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에서의 이순신(李舜臣) 접촉과 전파

        모정(毛靜,Mao Jing),박현규(朴現圭,Park Hyun-kyu)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7

        본 논문은 조선 이순신이 중국에서 알려진 제반 모습과 흐름에 대해 분석한 글이다. 이순신은 임진왜란에서 바다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민족 영웅이고, 한반도에서 가장 저명한 역사인물 중의 한 분이 되었다. 이웃 중국에서도 비교적 높은 지명도를 가졌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명장 이순신은 여러 해상 전투에서 일본수군을 물리쳐서 명나라 군사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다. 명 조정의 ≪명실록(明實錄)≫에서 조선 이순신을 본국에서 표창하라는 말을 남겼다. 학자와 중국에 망명한 한국 애국지사들이 임진왜란 때 완승을 거둔 이순신을 다시 주목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이순신을 주로 국제외교와 정치적의 입장에서 바라보았다. 1992년 한중 수교를 전후하여 양국 관계가 정상적인 궤도로 진입하고, 이와 동시에 이순신에 대한 연구와 보도가 심도 있고 다양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 이순신과 임진왜란은 한중 양국의 우호교류를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진다. 근대에 들어와서 조선과 중국은 내우외환을 함께 겪었다. 중국학자와 중국에 망명한 한국 애국지사들이 임진왜란 때 완승을 거둔 이순신을 다시 주목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이순신을 주로 국제외교와 정치적의 입장에서 바라보았다. 1992년 한중 수교를 전후하여 양국 관계가 정상적인 궤도로 진입하고, 이와 동시에 이순신에 대한 연구와 보도가 심도 있고 다양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 이순신과 임진왜란은 한중 양국의 우호교류를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진다. This article analyzed on the spreads and influence of Yi Sun Sin in China. Yi Sun Sin is the national hero, defeating Japanese army in the naval battle, being one of the famous historical people in Korea. He also had a relatively high reputation in Chin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Yi Sun Sin defeated the Japanese naval forces in several naval battles and made a strong impression on the Ming army. According to Ming shilu(明實錄), Ming government let Joseon dynasty appreciate and honor Admiral Yi Sun Sin. In the modern era, both Joseon and China experienc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Chinese scholars and Korean patriots, exiled to China brought the spotlight back onto Admiral Yi Sun Sin. Since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in 1949, Yi Sun Sin was look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diplomacy and politic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normalized, and many in-depth researches on Yi Sun Sin have been carried on. Yi Sun Sin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y play a role as a bridge between Korea and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